이 연구에서는 조사 ‘에’가 명사항이 서술어와 가지는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거나 서술어에 의해 명사항에 할당된 ‘의미역’을 나타내는 ‘격조사’가 아니라, 조사 ‘에’가 결합한 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822204
고석주 (연세대학교)
2011
Korean
background. postposition ; meaning ; case marker ; inherent case. ; 배경 ; 후치사 ; 의미 ; 사격 ; 내재격 ; 격조사
KCI등재
학술저널
93-115(23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조사 ‘에’가 명사항이 서술어와 가지는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거나 서술어에 의해 명사항에 할당된 ‘의미역’을 나타내는 ‘격조사’가 아니라, 조사 ‘에’가 결합한 명...
이 연구에서는 조사 ‘에’가 명사항이 서술어와 가지는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거나 서술어에 의해 명사항에 할당된 ‘의미역’을 나타내는 ‘격조사’가 아니라, 조사 ‘에’가 결합한 명사항이 문장이 나타내는 사태에서 ‘배경’임을 의미하는 ‘후치사’임을 보이고자 하였다. 먼저, 조사 ‘에’를 ‘격표지’나 ‘격할당자’로 보는 관점은 국어 명사의 형태적 실현, 명사 논항의 조사 교체와 생략 등의 현상을 온전히 설명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조사 ‘에’가 결합한 명사항의 다양한 의미역이, [명사의 의미 + ‘에’의 의미 + 서술어의 의미]에 의한 합성적인 것으로 파악됨을 보였다. 이를 통해, 조사 ‘에’는 그것이 결합한 명사항이 문장으로 표현된 사태에서 ‘배경’임을 나타내는 후치사로 파악될 수 있음을 보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석주, "현대 한국어 조사에 대한 연구 1" 한국문화사 2004
2 홍재성, "현대 한국어 동사구문의 연구" 탑출판사 1987
3 남윤진, "현대 국어의 조사에 대한 계량언어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1997
4 임동훈, "한국어 조사의 하위 부류와 결합 유형" 국어학회 (43) : 119-154, 2004
5 고석주, "한국어 조사의 연구" 연세대 2000
6 박철우, "한국어 정보구조에서의 화제와 초점" 서울대 1998
7 노마 히데키, "한국어 문장의 계층구조" 한국언어학회 19 : 133-180, 1996
8 목정수, "한국어 격조사와 특수조사의 지위와 그 의미" 한국언어학회 23 : 47-77, 1998
9 Hajičová, E, "주제-초점, 삼분 구조, 의미 내용" 월인 2002
10 고석주, "조사 ‘가’의 의미" 국어학회 40 : 221-246, 2002
1 고석주, "현대 한국어 조사에 대한 연구 1" 한국문화사 2004
2 홍재성, "현대 한국어 동사구문의 연구" 탑출판사 1987
3 남윤진, "현대 국어의 조사에 대한 계량언어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1997
4 임동훈, "한국어 조사의 하위 부류와 결합 유형" 국어학회 (43) : 119-154, 2004
5 고석주, "한국어 조사의 연구" 연세대 2000
6 박철우, "한국어 정보구조에서의 화제와 초점" 서울대 1998
7 노마 히데키, "한국어 문장의 계층구조" 한국언어학회 19 : 133-180, 1996
8 목정수, "한국어 격조사와 특수조사의 지위와 그 의미" 한국언어학회 23 : 47-77, 1998
9 Hajičová, E, "주제-초점, 삼분 구조, 의미 내용" 월인 2002
10 고석주, "조사 ‘가’의 의미" 국어학회 40 : 221-246, 2002
11 박용한, "정보 구조와 문장 형식" 月印 2000
12 양정석, "의미구조론" 한신문화사 1999
13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문화사 1983
14 이기동, "언어와 의식"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6 : 29-50, 1981
15 임지룡, "시점의 역전 현상" 담화·인지언어학회 14 (14): 179-206, 2007
16 김영희, "사격 표지와 후치사" 국어학회 34 : 31-58, 1999
17 김영희, "무표격의 조건" 계명대 언어연구소 9 : 1991
18 최호철, "기계 번역을 위한 한국어 논항 체계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3 : 1-39, 1998
19 선우용, "국어조사 ‘이/가’, ‘을/를’에 대한 연구" 서울대 1994
20 남기심, "국어의 격과 격조사에 대하여" 한국겨레문 화연구원 5 : 25-42, 1991
21 최재희, "국어의 격 표지 비실현 현상과 의미해석" 한글학회 245 : 49-78, 1999
22 남기심, "국어문법에서 격(자리)은 어떻게 정의되어 왔나" 애산학회 5 : 57-71, 1986
23 유현경, "국어 형용사 연구" 한국문화사 1998
24 남기심, "국어 조사의 용법―‘-에’와 ‘-로’를 중심으로―" 박이정 1993
25 민현식, "국어 조사에 대한 화용론적 연구" 서울대국문과 7 : 87-102, 1982
26 임홍빈, "국어 명사구와 조사구의 통사 구조에 대하여" 서울대 국문과 24 : 1-62, 1999
27 홍재성, "견디다 구문의 기술을 위하여" 한글학회 208 : 35-64, 1990
28 성광수, "격표현과 조사의 의미" 월인 1999
29 이남순, "격표지의 비실현과 생략" 국어학회 31 : 338-360, 1998
30 Blake, B. J, "격" 한신문화사 1998
31 이남순, "‘에’와 ‘로’의 통사와 의미" 한국언어학회 8 (8): 213-239, 1983
32 Van Valin, "Syntax"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33 강영세, "Korean Syntax and Universal Grammar" 한신문화사 1986
34 Dick, "Functional Grammar" North-Holland Publishing Co 1978
35 Lyons, "Definiten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36 허 웅,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샘문화사 1995
37 허 웅, "20세기 우리말의 통어론" 샘문화사 1999
38 이정민, "(비)한정성/(불)특정성 대 화제/초점" 국어학회 22 : 397-424, 1992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8-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1998-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5 | 1.45 | 1.4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1 | 1.52 | 2.572 | 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