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어의 모순어에 대하여 = A Study on Contronymy in Kore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222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contronymy in Korean. A polysemy is a word with several, related meanings. But some polysemy have the exactly opposite meaning together. We call this words the contronymy. For example 'Siwonhada' is used to express cold soup or hot soup. Which one among the opposite meanings the contronymy express depends on context. There are two types of Contronymy in Korean. The first type is the case that a word itself has the exactly opposite meaning, i.e. Jjochda, Chilchilmajda, Jjeolda, Seolsayag, Juchaeg. The second type is the case that it has the exactly opposite meaning when specific constituent of sentence is combined with it, i.e. Gogsigeul palda, Hagwoneul kkeunhda, Gugmuli Siwonhada, Jaliga Issda. The contronymy are caused by the vagueness of meaning, the meaning contagion, the results of diachronic change, the coexistence of cause and effect, and the existence of ellipsis components.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contronymy in Korean. A polysemy is a word with several, related meanings. But some polysemy have the exactly opposite meaning together. We call this words the contronymy. For example 'Siwonhada' is us...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contronymy in Korean. A polysemy is a word with several, related meanings. But some polysemy have the exactly opposite meaning together. We call this words the contronymy. For example 'Siwonhada' is used to express cold soup or hot soup. Which one among the opposite meanings the contronymy express depends on context. There are two types of Contronymy in Korean. The first type is the case that a word itself has the exactly opposite meaning, i.e. Jjochda, Chilchilmajda, Jjeolda, Seolsayag, Juchaeg. The second type is the case that it has the exactly opposite meaning when specific constituent of sentence is combined with it, i.e. Gogsigeul palda, Hagwoneul kkeunhda, Gugmuli Siwonhada, Jaliga Issda. The contronymy are caused by the vagueness of meaning, the meaning contagion, the results of diachronic change, the coexistence of cause and effect, and the existence of ellipsis compon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경(李玲景), "형용사 ‘싸다’의 統辭ㆍ意味에 대한 史的 考察"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6 (36): 87-106, 2008

      2 심재기, "의미론서설" 집문당 1984

      3 김동식, "부정 아닌 부정" 언어학회 6 (6): 99-116, 1981

      4 임지룡, "다의어의 판정과 의미 확장의 분류 기준" 한국어의미학회 28 : 193-226, 2009

      5 임지룡, "국어의미론" 탑출판사 1992

      6 조항범, "국어의미론" 와이제이학사고시방송교육본부 1993

      7 윤평현, "국어의미론" 도서출판 역락 2008

      8 심재기, "국어어휘론" 집문당 1982

      9 이기문, "국어 어휘사 연구" 동아출판사 1991

      10 심재기, "국어 어휘론 신강" 태학사 2000

      1 이영경(李玲景), "형용사 ‘싸다’의 統辭ㆍ意味에 대한 史的 考察"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6 (36): 87-106, 2008

      2 심재기, "의미론서설" 집문당 1984

      3 김동식, "부정 아닌 부정" 언어학회 6 (6): 99-116, 1981

      4 임지룡, "다의어의 판정과 의미 확장의 분류 기준" 한국어의미학회 28 : 193-226, 2009

      5 임지룡, "국어의미론" 탑출판사 1992

      6 조항범, "국어의미론" 와이제이학사고시방송교육본부 1993

      7 윤평현, "국어의미론" 도서출판 역락 2008

      8 심재기, "국어어휘론" 집문당 1982

      9 이기문, "국어 어휘사 연구" 동아출판사 1991

      10 심재기, "국어 어휘론 신강" 태학사 2000

      11 김광해, "국어 어휘론 개설" 집문당 1993

      12 조항범, "‘전염’에 의한 의미 변화에 대하여" 충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7 : 1-42, 1999

      13 Allan,Keith, "The connotations of English colour terms:Colour-based X-phemisms" 41 (41): 626-637, 2009

      14 Ullmann,S, "Semantics" Basil Blackwell 1962

      15 Leech,G.N, "Semantics" Penguin Books 1974

      16 Karaman,Burcu I, "On Contronymy" Oxford University Press 21 (21): 173-192, 2008

      17 Cruse,D.A, "Lexical Seman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18 Sohn,Ho-min, "Korean in Contact with Chinese, Korean language in culture and society" University of Hawaii Press 44-56,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5 1.45 1.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1 1.52 2.57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