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7세기 후반 신라의 백제·고구려 유이민 정책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095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통일전쟁의 결과로 7세기 후반 신라에는 많은 유이민이 백제와 고구려로부터 유입되었다. 이들은 유입 경로나 성격에 따라서, 첫째 전쟁 과정에서 신라에 투항하거나 망명한자, 둘째 전쟁의 결과 신라군에 생포된 포로, 그리고 셋째 자신들의 터전과 함께 신라에 병합되어 귀속된 遺民 집단 등 크게 세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통일전쟁 중 신라는 유이민들을 전략적으로 받아들여 활용함으로써 전황을 유리하게 끌어가려 하였고, 전쟁이 종식된 후에는 이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방책을 모색하였다. 이에 따라서 신라는 7세기 후반, 국내외 정세의 변화에 따라서 정책목표를 달리한 백제・고구려 유이민 정책을 단계적으로 펼쳐나갔다.
      7세기 후반 신라의 유이민 정책은 크게 세 시기로 구분이 가능하다. Ⅰ기는 통일전쟁이 개시된 660년부터 나당전쟁 발발 직전인 669년까지로, 신라는 전쟁에서 투항하거나 포로로 사로잡힌 유이민 중 고위층 인사를 중심으로 적극 포섭・등용하는 정책을 펼쳤다. Ⅱ기는 나당전쟁기인 670년부터 676년까지로, 백제 故地를 당으로부터 공취한 결과, 새롭게 유입된 백제계 유이민에게 신라의 관등을 일괄적으로 사여해 주는 정책을 단행하였다. Ⅲ기는 통일전쟁 종결 이후로, 유이민 정책이 전시의 포섭책에서 전후의 통합책으로 새롭게 전환된 시기였다.
      한편, 이 시기 신라가 고구려계 유이민에 비해서 백제계 유이민에게 차별적인 정책을 폈다는 주장이 일찍부터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그 근거들을 검토해 본 결과, 이는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이기 어려웠다. 실제로는 골품제에 기반한 신라 사회에서 백제나 고구려 계통의 유이민 모두에 대해서 차별이 구조적으로 이루어졌다. 이 때문에 통일전쟁 이후의 유이민에 대한 통합정책이 다방면에서 이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신라인과 유이민의 통합은 유기적인 단계로까지 나아가지 못했다.
      번역하기

      통일전쟁의 결과로 7세기 후반 신라에는 많은 유이민이 백제와 고구려로부터 유입되었다. 이들은 유입 경로나 성격에 따라서, 첫째 전쟁 과정에서 신라에 투항하거나 망명한자, 둘째 전쟁의...

      통일전쟁의 결과로 7세기 후반 신라에는 많은 유이민이 백제와 고구려로부터 유입되었다. 이들은 유입 경로나 성격에 따라서, 첫째 전쟁 과정에서 신라에 투항하거나 망명한자, 둘째 전쟁의 결과 신라군에 생포된 포로, 그리고 셋째 자신들의 터전과 함께 신라에 병합되어 귀속된 遺民 집단 등 크게 세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통일전쟁 중 신라는 유이민들을 전략적으로 받아들여 활용함으로써 전황을 유리하게 끌어가려 하였고, 전쟁이 종식된 후에는 이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방책을 모색하였다. 이에 따라서 신라는 7세기 후반, 국내외 정세의 변화에 따라서 정책목표를 달리한 백제・고구려 유이민 정책을 단계적으로 펼쳐나갔다.
      7세기 후반 신라의 유이민 정책은 크게 세 시기로 구분이 가능하다. Ⅰ기는 통일전쟁이 개시된 660년부터 나당전쟁 발발 직전인 669년까지로, 신라는 전쟁에서 투항하거나 포로로 사로잡힌 유이민 중 고위층 인사를 중심으로 적극 포섭・등용하는 정책을 펼쳤다. Ⅱ기는 나당전쟁기인 670년부터 676년까지로, 백제 故地를 당으로부터 공취한 결과, 새롭게 유입된 백제계 유이민에게 신라의 관등을 일괄적으로 사여해 주는 정책을 단행하였다. Ⅲ기는 통일전쟁 종결 이후로, 유이민 정책이 전시의 포섭책에서 전후의 통합책으로 새롭게 전환된 시기였다.
      한편, 이 시기 신라가 고구려계 유이민에 비해서 백제계 유이민에게 차별적인 정책을 폈다는 주장이 일찍부터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그 근거들을 검토해 본 결과, 이는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이기 어려웠다. 실제로는 골품제에 기반한 신라 사회에서 백제나 고구려 계통의 유이민 모두에 대해서 차별이 구조적으로 이루어졌다. 이 때문에 통일전쟁 이후의 유이민에 대한 통합정책이 다방면에서 이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신라인과 유이민의 통합은 유기적인 단계로까지 나아가지 못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a result of the Unification War(三國統一戰爭), many immigrants(流移民) came from Baekje(百濟) and Goguryeo(高句麗) during the late 7th century Silla(新羅). They can be grouped into three main groups. The first group is that surrendered or defected to Silla during the war, and the second group is priso ners who were captured by Silla forces as a result of the war. And the last one is a group of refugees whose territory were annexed to Silla. Silla tried to take advantage of the war situation by strategically accepting and utilizing the immigrants during the war. After the war, they sought ways to efficiently manage the immigrants along with the kingdom’s greatly expanded territory. Accordingly, Silla implemented policies on immigrants from Baekje and Goguryeo in the late 7th century, depending on the changes in domestic and foreign situations.
      Meanwhile, it has been argued from early on that Silla had differentiated Baekje immigrants compared to Goguryeo immigrants. However, after reviewing the arguments, it was not historical. In fact, in the Silla society based on the bone-rank status system(骨品制, kolp’umche), discrimination was structured for both the Baekje and Goguryeo immigrants. As a result, Silla’s integration policy for immigrants after the Unification War was implemented in many ways, but Silla’s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did not achieve organic integration between Silla and its immigrants.
      번역하기

      As a result of the Unification War(三國統一戰爭), many immigrants(流移民) came from Baekje(百濟) and Goguryeo(高句麗) during the late 7th century Silla(新羅). They can be grouped into three main groups. The first group is that surrende...

      As a result of the Unification War(三國統一戰爭), many immigrants(流移民) came from Baekje(百濟) and Goguryeo(高句麗) during the late 7th century Silla(新羅). They can be grouped into three main groups. The first group is that surrendered or defected to Silla during the war, and the second group is priso ners who were captured by Silla forces as a result of the war. And the last one is a group of refugees whose territory were annexed to Silla. Silla tried to take advantage of the war situation by strategically accepting and utilizing the immigrants during the war. After the war, they sought ways to efficiently manage the immigrants along with the kingdom’s greatly expanded territory. Accordingly, Silla implemented policies on immigrants from Baekje and Goguryeo in the late 7th century, depending on the changes in domestic and foreign situations.
      Meanwhile, it has been argued from early on that Silla had differentiated Baekje immigrants compared to Goguryeo immigrants. However, after reviewing the arguments, it was not historical. In fact, in the Silla society based on the bone-rank status system(骨品制, kolp’umche), discrimination was structured for both the Baekje and Goguryeo immigrants. As a result, Silla’s integration policy for immigrants after the Unification War was implemented in many ways, but Silla’s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did not achieve organic integration between Silla and its immigra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통일전쟁 전개와 유이민 발생
      • Ⅲ. 유이민 정책의 단계적 시행
      • Ⅳ. 백제계 유이민 차별론 再考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통일전쟁 전개와 유이민 발생
      • Ⅲ. 유이민 정책의 단계적 시행
      • Ⅳ. 백제계 유이민 차별론 再考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주성, "연기 불상군 명문을 통해 본 연기지방 백제유민의 동향" 15 : 2000

      2 정선여, "신라로 유입된 고구려 유민의 동향 - 報德國 주민을 중심으로 -" 호서사학회 (56) : 71-106, 2010

      3 한준수, "신라 통일기 三武幢의 설치와 麗濟 유민"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0) : 151-184, 2018

      4 임기환, "신라 삼국통합의 배경과 통합 정책" 1 : 2000

      5 성재현, "불비상 염원을 새기다" 국립청주박물관 2013

      6 조법종, "백제 복속 후 전라북도 지역에 대한 신라의 정책" 백제학회 (7) : 111-132, 2012

      7 임기환, "고구려정치사연구" 한나래 2004

      8 朴胤珍, "高麗時代 王師・國師 硏究" 경인문화사 2006

      9 朴胤珍, "高麗前期 王師 國師의 임명과 그 기능" 116 : 2004

      10 이기백, "韓國史 講座 1 古代編" 一潮閣 1982

      1 김주성, "연기 불상군 명문을 통해 본 연기지방 백제유민의 동향" 15 : 2000

      2 정선여, "신라로 유입된 고구려 유민의 동향 - 報德國 주민을 중심으로 -" 호서사학회 (56) : 71-106, 2010

      3 한준수, "신라 통일기 三武幢의 설치와 麗濟 유민"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0) : 151-184, 2018

      4 임기환, "신라 삼국통합의 배경과 통합 정책" 1 : 2000

      5 성재현, "불비상 염원을 새기다" 국립청주박물관 2013

      6 조법종, "백제 복속 후 전라북도 지역에 대한 신라의 정책" 백제학회 (7) : 111-132, 2012

      7 임기환, "고구려정치사연구" 한나래 2004

      8 朴胤珍, "高麗時代 王師・國師 硏究" 경인문화사 2006

      9 朴胤珍, "高麗前期 王師 國師의 임명과 그 기능" 116 : 2004

      10 이기백, "韓國史 講座 1 古代編" 一潮閣 1982

      11 "資治通鑑"

      12 盧重國, "統一期 新羅의 百濟故地支配-『三國史記』 職官志・祭祀志・地理志의百濟關係記事 分析을 中心으로-" 1 : 1988

      13 崔根泳, "統一新羅時代의 地方勢力硏究" 신서원 1990

      14 서영교, "百濟의 滅亡과 復興運動"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7

      15 "癸酉銘全氏阿彌陀佛碑像銘"

      16 강진원, "癸酉銘 阿彌陀三尊四面石像 銘文 검토" 12 : 2014

      17 소현숙, "燕岐地域 佛敎造像碑 연구 -石碑形의 形式과 癸酉銘像의 銘文을 中心으로"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6) : 117-152, 2017

      18 "泉男生墓誌銘"

      19 "東文選"

      20 이미경, "新羅의 報德國 지배정책" 대구사학회 120 : 101-131, 2015

      21 이기백, "新羅政治社會史硏究" 일조각 1974

      22 末松保和, "新羅史の諸問題" 東洋文庫 1954

      23 金壽泰, "新羅 文武王代의 對服屬民 政策-百濟遺民에 대한 官等授與를 中心으로-" 16 : 1999

      24 "新唐書"

      25 "新唐書"

      26 韓泰植, "憬興의 生涯에 관한 再考察"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8 : 1991

      27 "冊府元龜"

      28 盧泰敦, "三韓에 대한 認識의 變遷" 38 : 1982

      29 邊太燮, "三國統一의 民族史的 意味" 2 : 1985

      30 "三國史記"

      31 金壽泰, "『李基白先生古稀紀念 韓國史學論叢』上" 1994

      32 최희준, "Silla’s Perception of the International World Order as Seen through Diplomatic Documents" 한국사연구소 24 (24): 171-207, 2019

      33 盧重國, "7세기 百濟와 倭와의 관계" 52 :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8 0.98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