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규철, "특집 : 조선 성종대 외교의례 변경에 대한 논의와 대명의식" 한국역사연구회 (98) : 169-197, 2015
2 김선희, "조선의 행궁: 국왕의 행차를 중심으로" 9 : 132-136, 2016
3 "조선왕조실록"
4 서동천, "조선시대 태평관과 동평관의 특징: 문헌사료의 분석을 중심으로" 51 : 593-596, 2007
5 김경록, "조선시대 서울의 외교활동 공간" 서울학연구소 (31) : 1-46, 2008
6 안주혁, "조선 전기 明使의 사행과 迎詔勅 의례의 明禮 수용" 성균관대학교 2015
7 김경태, "임진전쟁기 강화교섭의 결렬 원인에 대한 연구" 대동문화연구원 (87) : 323-358, 2014
8 정은주, "임진전쟁기 明 將官에 대한 接待都監 운영 양상" 명청사학회 (57) : 203-270, 2022
9 "연려실기술 권15"
10 "신증동국여지승람 권3"
1 이규철, "특집 : 조선 성종대 외교의례 변경에 대한 논의와 대명의식" 한국역사연구회 (98) : 169-197, 2015
2 김선희, "조선의 행궁: 국왕의 행차를 중심으로" 9 : 132-136, 2016
3 "조선왕조실록"
4 서동천, "조선시대 태평관과 동평관의 특징: 문헌사료의 분석을 중심으로" 51 : 593-596, 2007
5 김경록, "조선시대 서울의 외교활동 공간" 서울학연구소 (31) : 1-46, 2008
6 안주혁, "조선 전기 明使의 사행과 迎詔勅 의례의 明禮 수용" 성균관대학교 2015
7 김경태, "임진전쟁기 강화교섭의 결렬 원인에 대한 연구" 대동문화연구원 (87) : 323-358, 2014
8 정은주, "임진전쟁기 明 將官에 대한 接待都監 운영 양상" 명청사학회 (57) : 203-270, 2022
9 "연려실기술 권15"
10 "신증동국여지승람 권3"
11 김한규, "사조선록 역주 3" 소명출판사 2012
12 "通文館志 권4"
13 大庭脩, "豊臣秀吉を日本国王に封ずる誥命について: わが国に現存する明代の誥勅" 4 : 29-77, 1971
14 "經國大典 권3"
15 유바다, "朝鮮 初期 迎詔勅 관련 儀註의 성립과 朝明關係" 한국역사민속학회 (40) : 123-160, 2012
16 "明神宗實錄"
17 김문식, "明使 龔用卿이 경험한 외교의례" 조선시대사학회 (73) : 195-228, 2015
18 高艳林, "明代中朝使臣往来硏究" (5) : 69-76, 2005
19 成俔, "慵齋叢話 권1"
20 한형주, "對明儀禮를 통해 본 15세기 朝-明관계" 한국역사민속학회 (28) : 39-75, 2008
21 윤정, "宣祖후반~광해군 초반 궁궐 경영과 ‘慶運宮’의 수립" 서울학연구소 (42) : 259-299, 2011
22 김성준, "宗學에 대하여" 26 : 3-20, 1966
23 "大東野乘 권55"
24 "大東地志"
25 "大明會典 권60"
26 정정남, "壬辰倭亂 이후 南別宮의 公廨的 역할과 그 공간 활용 - 장서각 소장 『소공동홍고양가도형』․『사대부가배치도형』의 분석을 통하여 -" 한국건축역사학회 18 (18): 43-62, 2009
27 "國朝喪禮補編"
28 "國朝五禮儀序例"
29 "國朝五禮儀"
30 "典錄通考"
31 "儐禮總覽 권1"
32 "儐禮總攬 권2"
33 龔用卿, "使朝鮮錄"
34 "中國正史朝鮮傳 역주4" 국사편찬위원회 1990
35 장지연, "15세기 漢城의 使臣 客館 형성과 그 의미" 서울역사편찬원 (104) : 7-36,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