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경동 교수의 생애와 가치지향, 그리고 학문 = Life, Value Orientation, and Disciplines of Professor Kim Kyong-Dong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ofessor Kim Kyong-Dong was born in 1936 in Andong, North Gyeongsang Province. He has two daughters with Professor Lee Onjuk. He gradua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with a degree in sociology. He earned his doctorate from Cornell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In 1977, he was appointed as a professor of sociolog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retired in 2002. What can be confirmed by shedding light on Professor Kim Kyong-Dong's life and learning is "faithfulness(誠)". Faithfulness is the "end and first" of things and phenomena on the world. Therefore, the attitude and orientation of life 'doing my best to be sincere' are the most honorable. He did his best faithfully in whatever he did throughout his life.
      Underlying this book, "Modern Sociology(Pakyoungsa)", which is truly epoch-making, is "humanist sociology," or humanistic philosophy and ideas.
      These philosophy and ideas are well revealed in the “Humanistic Sociology (Minumsa)”, which was published together in 1978. In addition to these two books published in the late 1970s, the basis of both his lifelong research and work contains the value orientation of humanistic sociology. Professor Kim Kyong-Dong's sociology can also be seen as a practical anthropology based on humanistic sociology, as it can be said to be a humanistic system of thought and practical anthropology. The task of humanistic sociology is to pursue the true self and complete the other person while 'interpretation approximation' about the existence of human beings and the essential nature of society. Since his youth as a researcher, he has explored and authored the sociological calling given to him as a "social interest" in humanistic sociology.
      Professor Kim Kyong-Dong published a masterpiece titled "The Light and Shadow of Seonbi Culture(선비문화)" in 2022. Through this vast station book, it discusses its philosophical ideas, the form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scholar culture, and modern succession issues with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As an "intellectuals who read, accumulate, spread, and practice writing", a concept and analysis framework is being established focusing on scholars, their culture, the power of intellectuals, and power elites. The analysis frame addresses the following key topics.
      In the shock of the great transformation of civilization, the request of scholar culture, philosophical discourse of scholar culture during the Joseon Dynasty, ideal human image of scholar during the Joseon Dynasty = philosophy and practice guidelines of Sugi(修己), ideal worldview and politics of scholar. It explores and analyzes economic and social ideas and activities, the Seonbi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s power elite, and the new Seonbi culture as the spirit of the times, and further predicts the future of Seonbi culture and humanity. Furthermore, it presents a desirable social value and normative system and culture that our society should pursue in the great transformation of complex crises, risks, and century structural changes.
      Analysis of the Joseon Dynasty from an ambitious and socio-scientific perspective through the lens of Seonbi and Seonbi culture. It's a problem piece and a masterpiece that I'm reflecting on.
      번역하기

      Professor Kim Kyong-Dong was born in 1936 in Andong, North Gyeongsang Province. He has two daughters with Professor Lee Onjuk. He gradua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with a degree in sociology. He earned his doctorate from Cornell University in t...

      Professor Kim Kyong-Dong was born in 1936 in Andong, North Gyeongsang Province. He has two daughters with Professor Lee Onjuk. He gradua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with a degree in sociology. He earned his doctorate from Cornell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In 1977, he was appointed as a professor of sociolog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retired in 2002. What can be confirmed by shedding light on Professor Kim Kyong-Dong's life and learning is "faithfulness(誠)". Faithfulness is the "end and first" of things and phenomena on the world. Therefore, the attitude and orientation of life 'doing my best to be sincere' are the most honorable. He did his best faithfully in whatever he did throughout his life.
      Underlying this book, "Modern Sociology(Pakyoungsa)", which is truly epoch-making, is "humanist sociology," or humanistic philosophy and ideas.
      These philosophy and ideas are well revealed in the “Humanistic Sociology (Minumsa)”, which was published together in 1978. In addition to these two books published in the late 1970s, the basis of both his lifelong research and work contains the value orientation of humanistic sociology. Professor Kim Kyong-Dong's sociology can also be seen as a practical anthropology based on humanistic sociology, as it can be said to be a humanistic system of thought and practical anthropology. The task of humanistic sociology is to pursue the true self and complete the other person while 'interpretation approximation' about the existence of human beings and the essential nature of society. Since his youth as a researcher, he has explored and authored the sociological calling given to him as a "social interest" in humanistic sociology.
      Professor Kim Kyong-Dong published a masterpiece titled "The Light and Shadow of Seonbi Culture(선비문화)" in 2022. Through this vast station book, it discusses its philosophical ideas, the form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scholar culture, and modern succession issues with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As an "intellectuals who read, accumulate, spread, and practice writing", a concept and analysis framework is being established focusing on scholars, their culture, the power of intellectuals, and power elites. The analysis frame addresses the following key topics.
      In the shock of the great transformation of civilization, the request of scholar culture, philosophical discourse of scholar culture during the Joseon Dynasty, ideal human image of scholar during the Joseon Dynasty = philosophy and practice guidelines of Sugi(修己), ideal worldview and politics of scholar. It explores and analyzes economic and social ideas and activities, the Seonbi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s power elite, and the new Seonbi culture as the spirit of the times, and further predicts the future of Seonbi culture and humanity. Furthermore, it presents a desirable social value and normative system and culture that our society should pursue in the great transformation of complex crises, risks, and century structural changes.
      Analysis of the Joseon Dynasty from an ambitious and socio-scientific perspective through the lens of Seonbi and Seonbi culture. It's a problem piece and a masterpiece that I'm reflecting 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김경동 교수는 1936년 경북 안동에서 태어났다. 이온죽 교수와의 사이에 두 따님을 두고 있다. 그는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했다. 미국 코넬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77년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로 부임하여 2002년 정년퇴직하였다. 김경동 교수의 생애와 학문을 조명하면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성(誠)’이다. 성실함이야말로 지상 사물과 현상의 ‘끝과 처음(終始)’이다. 그래서 ‘성실하려고 최선을 다하는’ 삶의 태도와 지향은 가장 존귀하다. 그는 평생에 걸쳐 그 어떤 일을 수행하든 성실하게 최선을 다하였다.
      한 시대를 가르는, 그야말로 epoch-making한 이 현대의 사회학(박영사) 저서 밑바탕엔 ‘인간주의 사회학(humanist sociology) 내지 인간주의적 철학및 사상이 자리잡고 있다. 1978년에 함께 출간했던 인간주의 사회학(민음사)에 이러한 철학 및 사상이 잘 드러나고 있다. 1970년대 말에 간행된이 두 저서 이외에 그가 평생을 두고 연구하며 펼쳐낸 저작 모두의 근저에는 인간주의 사회학의 가치지향이 깃들어 있다. 유학의 선비들이 지향하는 학문을 일컬어 인간주의적 사유체계, 실천적인 인간학이라고 할 수있듯이 김경동 교수의 사회학 또한 인간주의 사회학에 기초한 실천적 인간학이라고 볼 수 있다. 인간의 존재됨과 사회의 본질적 성격에 대해 ’절문근사(切問近思‘)하면서 참된 자아를 추구하고 타자를 완성시키려고 하는것이 인간주의 사회학의 과제이다. 그는 젊은 연구자 시절부터 이러한 ’절문근사‘의 태도로써 그에게 주어진 사회학적 소명을 인간주의 사회학의 ’사회학적 관심‘으로 탐구하고 저술해냈던 것이다.
      김경동 교수는 2022년 선비문화의 빛과 그림자(박영사)란 대작을 출간했다. 이 방대한 역저(力著)를 통하여, 조선시대 선비들과 그 철학사상, 선비문화의 형성과정 및 특성, 현대적 계승 문제 등을 논의하고 있다. ‘글을 읽고 지식을 쌓아 전파하며 실천하는 지식인’으로서 선비와 그 문화, 지식인의 권력 및 파워엘리트 등을 중심으로 개념 및 분석틀을 마련하고 있다. 그 분석 프레임을 통해 다음과 같은 핵심 주제들을 다룬다.
      문명사적 대전환의 충격에서 선비문화의 요청, 조선시대 선비문화의 철학적 담론, 조선시대 선비의 이상적 인간상=수기(修己)의 철학과 실천지침, 선비의 이상적 세계관과 정치.경제.사회사상 및 활동, 조선시대 파워엘리트의 선비문화, 시대정신으로서의 새로운 선비문화 등을 탐색하고 연구 분석하였으며 나아가 선비문화와 인류의 미래를 전망하고 있다. 나아가 복합적인 위기 및 위험, 세기적인 구조변동의 대전환 속에서 우리 사회가 지향해야 할 바람직한 사회적 가치 및 규범 체계와 문화를 제시하고 있다. 선비와 선비문화의 렌즈를 통해 조선시대를 새롭게 야심적으로, 사회과학적으로 통합적 관점에서 분석. 성찰하고 있는 문제작이자 대작이다.
      번역하기

      김경동 교수는 1936년 경북 안동에서 태어났다. 이온죽 교수와의 사이에 두 따님을 두고 있다. 그는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했다. 미국 코넬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김경동 교수는 1936년 경북 안동에서 태어났다. 이온죽 교수와의 사이에 두 따님을 두고 있다. 그는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했다. 미국 코넬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77년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로 부임하여 2002년 정년퇴직하였다. 김경동 교수의 생애와 학문을 조명하면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성(誠)’이다. 성실함이야말로 지상 사물과 현상의 ‘끝과 처음(終始)’이다. 그래서 ‘성실하려고 최선을 다하는’ 삶의 태도와 지향은 가장 존귀하다. 그는 평생에 걸쳐 그 어떤 일을 수행하든 성실하게 최선을 다하였다.
      한 시대를 가르는, 그야말로 epoch-making한 이 현대의 사회학(박영사) 저서 밑바탕엔 ‘인간주의 사회학(humanist sociology) 내지 인간주의적 철학및 사상이 자리잡고 있다. 1978년에 함께 출간했던 인간주의 사회학(민음사)에 이러한 철학 및 사상이 잘 드러나고 있다. 1970년대 말에 간행된이 두 저서 이외에 그가 평생을 두고 연구하며 펼쳐낸 저작 모두의 근저에는 인간주의 사회학의 가치지향이 깃들어 있다. 유학의 선비들이 지향하는 학문을 일컬어 인간주의적 사유체계, 실천적인 인간학이라고 할 수있듯이 김경동 교수의 사회학 또한 인간주의 사회학에 기초한 실천적 인간학이라고 볼 수 있다. 인간의 존재됨과 사회의 본질적 성격에 대해 ’절문근사(切問近思‘)하면서 참된 자아를 추구하고 타자를 완성시키려고 하는것이 인간주의 사회학의 과제이다. 그는 젊은 연구자 시절부터 이러한 ’절문근사‘의 태도로써 그에게 주어진 사회학적 소명을 인간주의 사회학의 ’사회학적 관심‘으로 탐구하고 저술해냈던 것이다.
      김경동 교수는 2022년 선비문화의 빛과 그림자(박영사)란 대작을 출간했다. 이 방대한 역저(力著)를 통하여, 조선시대 선비들과 그 철학사상, 선비문화의 형성과정 및 특성, 현대적 계승 문제 등을 논의하고 있다. ‘글을 읽고 지식을 쌓아 전파하며 실천하는 지식인’으로서 선비와 그 문화, 지식인의 권력 및 파워엘리트 등을 중심으로 개념 및 분석틀을 마련하고 있다. 그 분석 프레임을 통해 다음과 같은 핵심 주제들을 다룬다.
      문명사적 대전환의 충격에서 선비문화의 요청, 조선시대 선비문화의 철학적 담론, 조선시대 선비의 이상적 인간상=수기(修己)의 철학과 실천지침, 선비의 이상적 세계관과 정치.경제.사회사상 및 활동, 조선시대 파워엘리트의 선비문화, 시대정신으로서의 새로운 선비문화 등을 탐색하고 연구 분석하였으며 나아가 선비문화와 인류의 미래를 전망하고 있다. 나아가 복합적인 위기 및 위험, 세기적인 구조변동의 대전환 속에서 우리 사회가 지향해야 할 바람직한 사회적 가치 및 규범 체계와 문화를 제시하고 있다. 선비와 선비문화의 렌즈를 통해 조선시대를 새롭게 야심적으로, 사회과학적으로 통합적 관점에서 분석. 성찰하고 있는 문제작이자 대작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석만, "현대사회의 위기와 동양사회사상" 다산출판사 2016

      2 국제문화재단, "한국의 선비문화" 시사영어사 1982

      3 "퇴계전서"

      4 김병일, "퇴계의 길을 따라" 나남 2019

      5 정학섭, "퇴계사상의 확장성 재조명, 퇴계아카데미 2021년 가을 강연 자료집" (사)퇴계학진흥회 2021

      6 "중용"

      7 "주자서절요"

      8 정옥자, "우리 선비(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현암사 2006

      9 이종호, "안동의 선비문화" 아세아문화사 1997

      10 김윤제, "안동의 선비문화" 아세아문화사 1997

      1 최석만, "현대사회의 위기와 동양사회사상" 다산출판사 2016

      2 국제문화재단, "한국의 선비문화" 시사영어사 1982

      3 "퇴계전서"

      4 김병일, "퇴계의 길을 따라" 나남 2019

      5 정학섭, "퇴계사상의 확장성 재조명, 퇴계아카데미 2021년 가을 강연 자료집" (사)퇴계학진흥회 2021

      6 "중용"

      7 "주자서절요"

      8 정옥자, "우리 선비(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현암사 2006

      9 이종호, "안동의 선비문화" 아세아문화사 1997

      10 김윤제, "안동의 선비문화" 아세아문화사 1997

      11 정학섭, "심미의식과 도덕적 지향의 통합: 퇴계의 수양여가론" 동양사회사상학회 (23) : 39-72, 2011

      12 정학섭, "심광체반의 기상과 부동심의 호연" 국제개발협력학회 6 (6): 2014

      13 백승종, "신사와 선비" 사우 2018

      14 정학섭, "수양공부와 출사의 변증법: 상상력의 충돌과 통합" 동양사회사상학회 19 (19): 1-31, 2016

      15 김병일, "선비처럼" 나남 2015

      16 박균섭, "선비정신연구: 앎,삶,교육" 문음사 2015

      17 김기현, "선비의 수양학" 민음사 2014

      18 정광호, "선비: 소신과 처신의 삶" 눌와 2003

      19 김기현, "선비" 민음사 2009

      20 정민, "삶을 바꾼 만남: 스승 정약용과 제자 황상" 문학동네 2011

      21 정학섭, "사회학적 관심의 동양사상적 지평" 다산출판사 2014

      22 정학섭, "사물의인화의 Friendship과 친밀성의 전이" 동양사회사상학회 20 (20): 91-125, 2017

      23 성백효, "맹자집주(개정증보판)" 전통문화연구회 2010

      24 "맹자"

      25 "동호문답"

      26 "대학"

      27 성백효, "논어집주(개정증보판)" 전통문화연구회 2009

      28 "논어"

      29 "고문진보"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