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초록]
- I. 문제제기
- II. 산업연관표로 살펴본 문화산업의 경제적 위상
- IV. 맺음말
- [참고문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91575
2015
Korean
323
KCI등재
학술저널
172-191(20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은행, "통화정책방향"
2 전승훈, "콘텐츠산업의 고용창출효과 제고를 위한 정책개선방안 연구" 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3 한국콘텐츠진흥원, "콘텐츠산업의 고용창출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의 모색" 2013
4 정헌일, "콘텐츠산업의 경제적 효과 및 전망 분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4
5 박신의, "정부 문화예술 예산의 지원 유형 분류와 간접 지원의 개념ㆍ양상 분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 : 33-59, 2008
6 노영순, "저성장 사회에 대비한 문화‧관광 정책방향과 과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3
7 전승훈, "외국인노동자 유입의 생산 및 부가가치 유발효과 분석"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3 (3): 1-37, 2013
8 김승원, "서비스업 발전을 통한 내 ‧ 외수 균형성장" 한국은행 2014
9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2010"
10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박근혜 정부 국정비전 및 국정목표"
1 한국은행, "통화정책방향"
2 전승훈, "콘텐츠산업의 고용창출효과 제고를 위한 정책개선방안 연구" 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3 한국콘텐츠진흥원, "콘텐츠산업의 고용창출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의 모색" 2013
4 정헌일, "콘텐츠산업의 경제적 효과 및 전망 분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4
5 박신의, "정부 문화예술 예산의 지원 유형 분류와 간접 지원의 개념ㆍ양상 분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 : 33-59, 2008
6 노영순, "저성장 사회에 대비한 문화‧관광 정책방향과 과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3
7 전승훈, "외국인노동자 유입의 생산 및 부가가치 유발효과 분석"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3 (3): 1-37, 2013
8 김승원, "서비스업 발전을 통한 내 ‧ 외수 균형성장" 한국은행 2014
9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2010"
10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박근혜 정부 국정비전 및 국정목표"
11 한국은행, "문화콘텐츠산업의 현황과 과제" 2009
12 양혜원, "문화재정과 삶의 질 간의 관계 연구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7 (27): 9-29, 2013
13 대한민국 청와대, "국정운영 4대 국정기조: 문화융성"
14 김덕기, "관광진흥개발기금 지원사업과 일자리 창출 연계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3
15 이강욱, "관광산업의 경제효과 분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1
16 김희수, "관광부문 재정운용체계 개편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4
17 주무현, "경제 · 산업정책 및 주요 재정사업의 고용효과 예측 방법론연구, 고용노동부 용역 보고서" 2010
18 전승훈, "가계의 소비구조, 소비불평등, 한계소비성향의 변화와 정책시사점" 국회예산정책처 2008
19 권태현, "SAS를 이용한 산업연관분석" 도서출판 청람 2004
20 문화체육관광부, "2014년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 개요" 2014
21 기획재정부 예산정책과, "2014~2018년 국가재정운용계획" 2014
문화예술 향유권 확대를 위한 ‘문화매개’ 및 ‘문화매개자’에 관한 연구
장애인의 문화예술향유를 위한 장애인 무용의 개념 및 가치 재탐색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11-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Culture&Tourism Institute ->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6-25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Culture&Trourism Institute -> Korea Culture&Tourism Institute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7 | 1.57 | 1.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8 | 1.43 | 1.95 | 0.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