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 발명영재 교수-학습에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 분석 = An Analysis on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Gifted in the Elementary Inven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817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n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gifted in the elementary inven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appears that although the majority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n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gifted in the elementary inven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appears that although the majority of teachers & students are spontaneously joining in that learning course due to lots of interest, the response rate for how to come in that learning course has been higher in the case of a male teacher being obligatory and female students being recommend by their teacher or parents. Second, the teachers who take disjun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think that they are dealing with the basic knowledge or necessity of the invention and the content of a class for how to create a clever idea. However, it has analysed that phenomenon of estrangement for teaching & learning occur because students meaningfully recognize that learning arise less than the recognition from teaching teacher statistically. Third, it has analysed that the intention of teaching from teachers such as, evaluation, debate, and presentation is not well reflected in student’s learning. Finally, it has shown that the class satisfaction from students and teachers is generally higher. Hence, in order to minimize the phenomenon of estrangement, it needs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Moreover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should be studied to facilitate learning and systematically manage a invention of the gifted education efficient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초등 발명영재 교수-학습에서 교사와 학생들간의 인식 차이를 조사하여 교수-학습 상호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발명영재...

      본 연구에서는 초등 발명영재 교수-학습에서 교사와 학생들간의 인식 차이를 조사하여 교수-학습 상호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발명영재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와 학생들의 과반수 이상이 발명에 관심이 많아 자발적으로 발명영재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남자교사들은 의무적으로 담당하거나 여학생들의 경우 부모님이나 교사의 권유로 참여하게 되었다는 응답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명영재 담당 교사들은 발명의 필요성이나 기초 지식, 창의적 아이디어 창출에 관한 수업 내용을 많이 다루고 있다고 생각하나, 학생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교사들의 교수에 대한 인식보다 학습은 적게 일어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교수-학습의 괴리현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호 평가와 발표, 토론 등의 활동은 교사의 교수 의도와 다르게 학생들의 학습에서 잘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발명영재 담당교사들과 학생들의 수업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발명영재 교수-학습에서 나타나는 괴리 현상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교수-학습의 상호작용을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발명영재 수업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기법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창재, "학습양식" 형설출판사 1996

      2 곽영순, "좋은 수업에 대한 질적 연구: 중등 과학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3 (23): 144-154, 2003

      3 윤정아, "유아사회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15 (15): 107-127, 1998

      4 대통령직속 여성특별위원회, "여학생에 친화적인 과학프로그램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대통령직속 여성특별위원회 용역 연구보고서 1999

      5 박완희, "수업총론"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4

      6 신종호, "사고 유형에 따른 영재 아동과 일반 아동의 학습 선호 활동의 차이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5 (25): 495-506, 2007

      7 박기문, "발명영재학급 담당교사의 요구에 터한 발명영재교육의 연구영역 조사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6 (26): 91-109, 2013

      8 이재호, "발명영재상 수립을 위한 발명영재의 특성 이해" 한국영재학회 22 (22): 551-573, 2012

      9 문대영, "발명영재를 위한 교육과정 차별화: 내용과 과정" 한국실과교육학회 26 (26): 77-90, 2013

      10 서혜애, "발명영재교육프로그램 개발" 특허청․한국교육개발원 2006

      1 임창재, "학습양식" 형설출판사 1996

      2 곽영순, "좋은 수업에 대한 질적 연구: 중등 과학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3 (23): 144-154, 2003

      3 윤정아, "유아사회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15 (15): 107-127, 1998

      4 대통령직속 여성특별위원회, "여학생에 친화적인 과학프로그램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대통령직속 여성특별위원회 용역 연구보고서 1999

      5 박완희, "수업총론"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4

      6 신종호, "사고 유형에 따른 영재 아동과 일반 아동의 학습 선호 활동의 차이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5 (25): 495-506, 2007

      7 박기문, "발명영재학급 담당교사의 요구에 터한 발명영재교육의 연구영역 조사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6 (26): 91-109, 2013

      8 이재호, "발명영재상 수립을 위한 발명영재의 특성 이해" 한국영재학회 22 (22): 551-573, 2012

      9 문대영, "발명영재를 위한 교육과정 차별화: 내용과 과정" 한국실과교육학회 26 (26): 77-90, 2013

      10 서혜애, "발명영재교육프로그램 개발" 특허청․한국교육개발원 2006

      11 맹희주, "발명영재교육 운영체제별 초등 발명영재 수업내용 및 수업활동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9 (29): 1-12, 2010

      12 김용익, "발명영재교육 내용표준 체계의 재구조화 및 타당성" 한국실과교육학회 25 (25): 281-305, 2012

      13 최유현, "발명영재 담당교사를 위한 교수-학습 모형과 전략 이러닝 콘텐츠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 9 (9): 199-217, 2009

      14 박기문, "발명영재 교원 및 전문직 인식에 기반한 발명영재교육의 방향 탐색" 한국영재학회 22 (22): 1-21, 2012

      15 김희필, "발명 영재 교육의 개념 고찰 및 기술교과 교육에서의 활성화를 위한 실천전략" 14 (14): 45-62, 2012

      16 김종서, "교수과정의 분석" 교육출판사 1973

      17 권낙원, "교수-학습 이론의 이해" 문음사 2008

      18 동효관, "과학영재가 선호하는 수업형태와 수업환경 조사를 통한 수업 전략의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 31 (31): 16-23, 2003

      19 조희형,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11

      20 서혜애, "공교육 차원의 발명영재교육 체제 구출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2

      21 이대원, "고등학교 영재 학생들이 선호하는 수학 수업형태와 수업환경" 한국영재학회 22 (22): 23-37, 2012

      22 김재춘, "‘좋은 수업’의 의미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17 (17): 373-382, 2005

      23 Maker, C. J., "Teaching models in the education of the gifted(2nd ed. )" PRO-ED 1995

      24 최유현, "STEM 기반 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효과" 한국기술교육학회 8 (8): 143-164, 2008

      25 Sternberg, R. J., "Mental self government : A theory of intellectual styled and their development" 31 : 197-224, 1997

      26 Davis, G. A.,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Allyn and Bacon 1994

      27 Renzulli, J. S., "A guide for developing defensible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Creative Learning Press 1997

      28 이재호, "3대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한 미래지향적 발명영재상 정립에 대한 연구" 한국영재학회 23 (23): 435-452,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7 1.47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9 1.961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