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념기반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정보 교육 성취기준 개선방안 = Improvement Plan for Elementary School Information Education Achievement Standards According to the concept-based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053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but from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e emphasis and strategy on how to develop competency will change. The direction of the new curriculum is to transferable knowledge education called ‘conceptual understan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new achievement standards required for a new curriculum. To this end, a proposal to improve the achievement standards was presented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the Delphi technique was used to secure its validity. Through the Delphi survey, it was possible to secure objective validity and to propose a new elementary school information curriculum improvement plan suitable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prepared a practical achievement standard reform plan that teachers in the field can easily understand and apply.
      번역하기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but from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e emphasis and strategy on how to develop competency will change. The direction of the new curriculum is to transferable knowledge education called ...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but from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e emphasis and strategy on how to develop competency will change. The direction of the new curriculum is to transferable knowledge education called ‘conceptual understan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new achievement standards required for a new curriculum. To this end, a proposal to improve the achievement standards was presented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the Delphi technique was used to secure its validity. Through the Delphi survey, it was possible to secure objective validity and to propose a new elementary school information curriculum improvement plan suitable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prepared a practical achievement standard reform plan that teachers in the field can easily understand and app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은 역량기반 교육과정이었으나 2022년 개정 교육과정부터는 역량을 어떻게 기를 것인가에 대한 강조점과 전략이 변화된다. ‘개념적 이해’라는 질 높고 전이 가능한 지식교육을 통해 역량을 갖추는 새 교육과정의 기조에 따라 위 연구는 새로운 교육과정에 요구되는 성취기준을 개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성취기준 개선안을 제시하고 그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 10인의 교육과정 및 교육 전문가집단의 검증 및 분석을 통해 객관적인 타당도를 확보할 수 있었고 2022년 개정 교육과정에 알맞은 새로운 초등학교 정보 교육과정 개선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현장의 교사들이 쉽게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성취기준 개편안이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은 역량기반 교육과정이었으나 2022년 개정 교육과정부터는 역량을 어떻게 기를 것인가에 대한 강조점과 전략이 변화된다. ‘개념적 이해’라는 질 높고 전이 가능한 지...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은 역량기반 교육과정이었으나 2022년 개정 교육과정부터는 역량을 어떻게 기를 것인가에 대한 강조점과 전략이 변화된다. ‘개념적 이해’라는 질 높고 전이 가능한 지식교육을 통해 역량을 갖추는 새 교육과정의 기조에 따라 위 연구는 새로운 교육과정에 요구되는 성취기준을 개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성취기준 개선안을 제시하고 그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 10인의 교육과정 및 교육 전문가집단의 검증 및 분석을 통해 객관적인 타당도를 확보할 수 있었고 2022년 개정 교육과정에 알맞은 새로운 초등학교 정보 교육과정 개선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현장의 교사들이 쉽게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성취기준 개편안이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소경희,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1-22, 2007

      2 김지숙, "초등 실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목표에 반영된 기능 분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8 (28): 19-35, 2022

      3 이은경, "정보교육의 전망과 과제: 미래 정보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1 (21): 1-10, 2018

      4 임윤진, "수정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개선방향 탐색" 대한공업교육학회 47 (47): 67-96, 2022

      5 Ministry of Education, "The main points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6 Jin, E. 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s-sessment standards of practcal arts subject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5

      7 Ministry of Education, "Practical arts (technology․homeeconomics)/information curriculum"

      8 Ministry of Educati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guidelines (draft: for in-stalling National Communication Channel)"

      9 Ministry of Educati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10 Lynn, M. R.,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35 (35): 382-385, 1986

      1 소경희,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1-22, 2007

      2 김지숙, "초등 실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목표에 반영된 기능 분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8 (28): 19-35, 2022

      3 이은경, "정보교육의 전망과 과제: 미래 정보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1 (21): 1-10, 2018

      4 임윤진, "수정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개선방향 탐색" 대한공업교육학회 47 (47): 67-96, 2022

      5 Ministry of Education, "The main points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6 Jin, E. 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s-sessment standards of practcal arts subject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5

      7 Ministry of Education, "Practical arts (technology․homeeconomics)/information curriculum"

      8 Ministry of Educati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guidelines (draft: for in-stalling National Communication Channel)"

      9 Ministry of Educati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10 Lynn, M. R.,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35 (35): 382-385, 1986

      11 Erikson, H. L., "Concept-bas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for the thinking classroom" Corwin Press 2017

      12 Bae, J. K., "Analysis of current state of curric-ulum operation in 2015: Focusing on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020

      13 Kim, S. L., "A study on the policy process of strengthening character education" Hongik University. 2018

      14 Lawshe, C. 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28 (28): 563-575, 1975

      15 이화영,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역량, 기능, 성취기준 연계성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 59 (59): 357-371, 2020

      16 이광우 ; 백경선 ; 이수정,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핵심역량 관련 이슈 고찰: 인간상, 교육 목표, 교과 역량과의 관계"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67-94,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