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1960년대 이후 우리 나라 학생들의 총량적인 4년제대학 진학 수요의 변화를 양화하여 종속변인으로 하고, 같은 기간 동안의 취업률, 임금 격차 등의 경제 및 노동 시장 요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819809
1994
-
370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79-101(2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1960년대 이후 우리 나라 학생들의 총량적인 4년제대학 진학 수요의 변화를 양화하여 종속변인으로 하고, 같은 기간 동안의 취업률, 임금 격차 등의 경제 및 노동 시장 요인...
이 연구에서는 1960년대 이후 우리 나라 학생들의 총량적인 4년제대학 진학 수요의 변화를 양화하여 종속변인으로 하고, 같은 기간 동안의 취업률, 임금 격차 등의 경제 및 노동 시장 요인,정원 정책 둥 국가의 교육 정책 요인, 등록금 및 가계의 교육비 지출 둥 교육비 요인, 학령 인구 등 인구학적 요인, 가구당 월평균 소비 지출 등 생활 수준 요인 및 1인당 GNP와 같은 경제 성장 관련 요인의 변화를 독립 변인으로 하여 시계열 분석(time serie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함으로써 대학 진학 수요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대학 진학 수요와 구조적, 제도적 요인과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고등교육 정원 , 가구당 교육비, 졸업자의 취업률과 학력간 임금 격차, 생활 수준, 경제 성장 정도 등은 대학 진학 수요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율동을 통한 시각장애 아동의 보행능력 개선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