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合議制 行政機關의 設置에 관한 條例 制定의 許容 與否 = Die Rechtswidrigkeit der Satzung zur Gremienbildung in Jeju-Kommun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281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den koreanischen Kommunen herrscht das dualistische System, das die Aufgaben und Verantwortung auf Kommunalrat und Bürgermeister verteilt. Die Kommunalrat entscheidet die Grundlinie des Kommunalpolitiks und kontrolliert die kommunalen Verwaltungsorgane. Zu seinen wichtigen Zuständigkeiten gehören der Beschluss über den Erlass, die Änderung und Aufhebung von Satzungen. Der Bürgermeister repräsentiert die Kommune und ist Verwaltungschef. Als Verwaltungschef verfügt er über Ernennungsrecht des Personals, Bildungsrecht des Verwaltungsorgans und das Beanstandungsrecht über Beschlüßen.
      Diese Arbeit handelt sich um die Entscheidung über die Satzung der Gremiensbildung in Jeju, die vom koreanischen obersten Gerichtshof als nichtig erklärt wurde(KOGH Beschluss vom 2009. 9. 24, 2009chu53). Die Entscheidung schrob vor, dass diese Satzungsvorlagen nur vom Zuständigkeiten habende Buergermeister erbringen solle.
      Nach meiner Sicht, ist es anders. Wenn das Erbringungsrecht der Satzungsvorlagen nach Zuständigkeit begrenzt wird, wird die Kompetenz der Kommunalratmitglieder nicht übrig bleiben. Insbesondere, bei diesem Fall könnte die Ratsmitglieder auch die Erbringungsrecht der Satzungsvorlagen zur Bildung des Gremiens fuer Befreiung der Interessenkonflikten. Nachdem untersuche ich, dass der Bürgermeister seine Zuständigkeiten beim Ernennungsfall mit dem Kommunalrat zusammen beteiligen kann.
      번역하기

      In den koreanischen Kommunen herrscht das dualistische System, das die Aufgaben und Verantwortung auf Kommunalrat und Bürgermeister verteilt. Die Kommunalrat entscheidet die Grundlinie des Kommunalpolitiks und kontrolliert die kommunalen Verwaltungso...

      In den koreanischen Kommunen herrscht das dualistische System, das die Aufgaben und Verantwortung auf Kommunalrat und Bürgermeister verteilt. Die Kommunalrat entscheidet die Grundlinie des Kommunalpolitiks und kontrolliert die kommunalen Verwaltungsorgane. Zu seinen wichtigen Zuständigkeiten gehören der Beschluss über den Erlass, die Änderung und Aufhebung von Satzungen. Der Bürgermeister repräsentiert die Kommune und ist Verwaltungschef. Als Verwaltungschef verfügt er über Ernennungsrecht des Personals, Bildungsrecht des Verwaltungsorgans und das Beanstandungsrecht über Beschlüßen.
      Diese Arbeit handelt sich um die Entscheidung über die Satzung der Gremiensbildung in Jeju, die vom koreanischen obersten Gerichtshof als nichtig erklärt wurde(KOGH Beschluss vom 2009. 9. 24, 2009chu53). Die Entscheidung schrob vor, dass diese Satzungsvorlagen nur vom Zuständigkeiten habende Buergermeister erbringen solle.
      Nach meiner Sicht, ist es anders. Wenn das Erbringungsrecht der Satzungsvorlagen nach Zuständigkeit begrenzt wird, wird die Kompetenz der Kommunalratmitglieder nicht übrig bleiben. Insbesondere, bei diesem Fall könnte die Ratsmitglieder auch die Erbringungsrecht der Satzungsvorlagen zur Bildung des Gremiens fuer Befreiung der Interessenkonflikten. Nachdem untersuche ich, dass der Bürgermeister seine Zuständigkeiten beim Ernennungsfall mit dem Kommunalrat zusammen beteiligen kan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단체는 기관대립형을 취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장은 지방자치단체의 통할대표권과 국가의 지도․감독 아래 사무를 관리․집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지방의회는 당해 자치구역 내의 모든 자치사무에 관한 최상위의 의결기관이다.
      이 논문은 대법원 2009추53판결에 대한 평석이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의 의원 10인이 발의하고, 의결, 재의결한 제주특별자치도 연구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안에 대하여 대법원은 행정기관설치는 지방자치법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때, 지방자치단체장의 고유권한이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장만이 조례안발의권도 가지고 있다고 판시하였다. 위원회위원위촉의 경우도 지방의회나 교육감이 추천하도록 하는 것은 지방의회가 지방자치단체장의 권한에 사전,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것이므로, 위법하다고 판시하였다.
      이 논문은 지방자치단체가 합의제 행정기관을 설치하는 조례를 제정하는데 있어서 발의권자가 꼭 지방자치단체장이어야만 하는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된다. 지방자치단체의 일반적 행정기구가 아니라 중립적이고도 공정한 집행이 필요하거나 주민의사의 반영과 이해관계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 설치되는 합의제행정기관의 성질상 지방자치단체장뿐 아니라, 지방의회에서도 그 제안권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장의 인사권독점에 대해서도 기관대립형제에서 지방의회가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은 전혀 없는가, 특히 합의제기관이 이해관계의 조정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라면, 지방의회의 인사추천권 내지 동의권을 일정범위 내에서는 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번역하기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단체는 기관대립형을 취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장은 지방자치단체의 통할대표권과 국가의 지도․감독 아래 사무를 관리․집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지방의회는 ...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단체는 기관대립형을 취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장은 지방자치단체의 통할대표권과 국가의 지도․감독 아래 사무를 관리․집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지방의회는 당해 자치구역 내의 모든 자치사무에 관한 최상위의 의결기관이다.
      이 논문은 대법원 2009추53판결에 대한 평석이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의 의원 10인이 발의하고, 의결, 재의결한 제주특별자치도 연구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안에 대하여 대법원은 행정기관설치는 지방자치법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때, 지방자치단체장의 고유권한이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장만이 조례안발의권도 가지고 있다고 판시하였다. 위원회위원위촉의 경우도 지방의회나 교육감이 추천하도록 하는 것은 지방의회가 지방자치단체장의 권한에 사전,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것이므로, 위법하다고 판시하였다.
      이 논문은 지방자치단체가 합의제 행정기관을 설치하는 조례를 제정하는데 있어서 발의권자가 꼭 지방자치단체장이어야만 하는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된다. 지방자치단체의 일반적 행정기구가 아니라 중립적이고도 공정한 집행이 필요하거나 주민의사의 반영과 이해관계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 설치되는 합의제행정기관의 성질상 지방자치단체장뿐 아니라, 지방의회에서도 그 제안권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장의 인사권독점에 대해서도 기관대립형제에서 지방의회가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은 전혀 없는가, 특히 합의제기관이 이해관계의 조정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라면, 지방의회의 인사추천권 내지 동의권을 일정범위 내에서는 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철용, "행정법 Ⅱ, 제9판" 박영사

      2 박석희, "합의제 행정기관 현황분석과 유형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소 42 (42): 163-187, 2004

      3 김귀영, "지방정부 위원회제도 개선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3 (23): 195-222, 2009

      4 홍정선, "지방자치법학, 제2판" 박영사

      5 백형배, "지방의회와 집행기관 간 갈등과 협력요인에 관한 사례분석"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 (20): 55-, 2006

      6 조성규, "조례의 제정과정에 대한 법적 검토" 한국지방자치법학회 7 (7): 70-100, 2007

      7 강재호, "제주특별자치도 특례의 시범과 과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2 (22): 51-78, 2008

      8 조성규, "자치입법의 활성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장의 역할" 한국지방자치법학회 8 (8): 97-122, 2008

      9 최환용, "자치입법의 현황과 과제" 한국지방자치법학회 8 (8): 71-96, 2008

      10 문상덕, "단체장 중심 구조의 자치행정시스템의 개선- 민주·법치적 자치행정시스템 확립의 관점에서 -" 한국지방자치법학회 5 (5): 49-, 2005

      1 김철용, "행정법 Ⅱ, 제9판" 박영사

      2 박석희, "합의제 행정기관 현황분석과 유형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소 42 (42): 163-187, 2004

      3 김귀영, "지방정부 위원회제도 개선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3 (23): 195-222, 2009

      4 홍정선, "지방자치법학, 제2판" 박영사

      5 백형배, "지방의회와 집행기관 간 갈등과 협력요인에 관한 사례분석"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 (20): 55-, 2006

      6 조성규, "조례의 제정과정에 대한 법적 검토" 한국지방자치법학회 7 (7): 70-100, 2007

      7 강재호, "제주특별자치도 특례의 시범과 과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2 (22): 51-78, 2008

      8 조성규, "자치입법의 활성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장의 역할" 한국지방자치법학회 8 (8): 97-122, 2008

      9 최환용, "자치입법의 현황과 과제" 한국지방자치법학회 8 (8): 71-96, 2008

      10 문상덕, "단체장 중심 구조의 자치행정시스템의 개선- 민주·법치적 자치행정시스템 확립의 관점에서 -" 한국지방자치법학회 5 (5): 49-,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6 0.513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