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에 위치하고 있지만 서로 문화가 다른 두 나라, 한국과 태국은 남성중심의 가부장적 사회에서 모성성은 많은 여성들에게 고통과 박탈감을 주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그런 모성 안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52692
-
2006년
Korean
한태 여성소설 비교 ; 한태 현대 여성시 비교 ; 여성의 주변성 ; 굴레 ; 웃체니 ; 김승희 ; 찌라난 핏쁘리차 ; 깐라야 ;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와 여성문학 ; 젠더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아시아에 위치하고 있지만 서로 문화가 다른 두 나라, 한국과 태국은 남성중심의 가부장적 사회에서 모성성은 많은 여성들에게 고통과 박탈감을 주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그런 모성 안에...
아시아에 위치하고 있지만 서로 문화가 다른 두 나라, 한국과 태국은 남성중심의 가부장적 사회에서 모성성은 많은 여성들에게 고통과 박탈감을 주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그런 모성 안에서 풍부한 창조성과 기쁨의 잠재력이 포함되어 있기도 하다. 모성성이 여성의 본성이고 선천적 자질이라고 간주할 경우에는 가족을 위한 여성의 희생과 인내가 당연시되며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합리화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혼 여성은 가족 내에서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는 주체가 아니라 가족의 요구에 헌신적으로 반응하는 순종자로서 자신을 인식하도록 교육되어졌다. 그러나 여성은 사회의 일원이고 가정은 사회를 이루어나가는 절대적인 최소단위라는 견지에서 볼 때 여성들의 이러한 사회와 가정에서의 불평등은 억압이고 고통이 된다. 이 고통에서 벗어나 여성의 자질과 능력 그리고 인격을 회복하려는 여성의 몸짓과 목소리는 남성지배 이데올로기 속에서 굴절되었을 때 표출되며 여성문학은 무의식 속에 남아 있는 억압되고 분출된 소망의 회고라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소설부문과 시부문으로 나누어서 연구하고 2편의 논문을 발표했는데, 소설부문에서는 "한태 소설에 나타난 여성의 '주변성'연구"라는 제목으로, 시부문에서는 "한태 현대시의 여성적 담론과 글쓰기 연구"라는 제목으로 표현하였다. 소설부문은 태국의 소설가 안찬의 작품 <머티쿳마이억(연구자가 '굴레'라고 번역>과 한국의 박완서의 <꿈꾸는 인큐베이터>를 중심으로 여성주체의 주변성에 관하여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여성 주체에 대한 또 하나의 해답이나 근거를 제공하는 틀을 마련코자 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ntemplate the lives of woman's subject under the androcentic society and the paterfamilias in syuding and comparing modern woman's literatures - fictions and poetic works- in Korea and Thailand. This thesis is also a...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ntemplate the lives of woman's subject under the androcentic society and the paterfamilias in syuding and comparing modern woman's literatures - fictions and poetic works- in Korea and Thailand. This thesis is also approaches literatures in that a discussion depends on a woman's 'Peripherality' from a point of feminism and anti-colonialism,
In an audrocentic society, maternity occasionally give women deprivation and suffering. Sometimes the maternity has made patrichial ideology reasonable that sacrificing and having patience have become woman's original nature and qualities. Against these patrichial ideology korean writers and poets such as Wanseo Park and Seunghee Kim and thai writers and poets such as Anchan, Utchenee, Chiranan Phitpricha Kanlaya and Jintana are arguing for freeing from the culture ficusing on man. For this study reserchers choose work of Wanseo Park, Dreaming Incubator" and short story of Anchan , Mo thi kud mai ook, poems of tje korean poet Seunghee Kim and poems of thai poets such as Utchenee, Chiranan Phitpricha Kanlaya and Jintana.
This study is devided into 2 parts, one is about lives of woman which is argued in short stories and the other is showed in poetic texts with the title of "A Study on Woman's 'Peripherality' Exposed in Korean Thailand Fiction" and "A Study on the composition and the Feminine Discussion of modern poems in Korea and Thai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