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우리의 근대를 크게 넷으로 나누고, 코퍼스 자료에서 각 시대의 주요 키워드를 산출하여, 우리의 근대를 엿보려고 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파악할 수 있었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195495
이성우 (한림대학교)
2022
Korean
빅데이터 ; 근대 ; 코퍼스 ; 시대 ; big data ; modernity ; Korean language corpus ; modern Korea
KCI등재
학술저널
45-79(3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우리의 근대를 크게 넷으로 나누고, 코퍼스 자료에서 각 시대의 주요 키워드를 산출하여, 우리의 근대를 엿보려고 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 글에서는 우리의 근대를 크게 넷으로 나누고, 코퍼스 자료에서 각 시대의 주요 키워드를 산출하여, 우리의 근대를 엿보려고 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일제 강점기 이전 시기(1905~1910)에는 우리의 국가관, 국민관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었던 시기인 것으로 파악된다. 둘째, 이른바 무단통치기(1910~1919)에는 ‘사회’에 대한 개념이 정립되고, ‘지식’에 대한 수요가 있었던 시기인 것으로 간접적으로 확인된다. 즉 근대 사회, 근대 지식에 대한 궁금증이 증폭된 시기인 것이다. 셋째, 이른바 문화 통치기(1920~1933)에는 ‘사회주의’에 대한 관심이 크게 일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다음 시기(1934~1945)에는 일본의 제국주의에 대한 키워드가 주로 포착된다. 즉 시기에 따른 이념에 따라 사용되는 주요 키워드에 큰 차이가 있었던 것이다. 이처럼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 방법은 우리의 근대를 포착하는데 크게 기여한다. 또한 『한국근대잡지코퍼스』는 각 시대의 모습을 균형 있게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우리가 그동안 알지 못했던 사실들도 정량적 접근을 통해 보여 줄 것으로 확신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2008
2 도재학, "키워드를 통해 보는 근대 잡지의 문예사조적 특성 —《백조》와 낭만주의를 중심으로—" 한림과학원 (26) : 183-210, 2020
3 김일환, "키워드,공기어,그리고네트워크:신문빅데이터가보여주는것" 소명출판 2017
4 장만호 ; 김일환, "일제강점기 신문 독자투고시의 시어 사용 양상-통계적 키워드와 공기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58) : 301-327, 2018
5 안예리, "유의어 분석을 통한 어휘사 연구 -1930년대 대중종합지 '三千里'를 중심으로-" 언어정보연구원 27 : 209-235, 2011
6 허수, "언어연결망 분석으로 본 20세기 초한국의 ‘문명’과 ‘문화’ — 주요 언론 기사에서의 논의 맥락을 중심으로 —" 한림과학원 (22) : 241-279, 2018
7 전성규 ; 김병준, "디지털인문학 방법론을 통한 『서북학회월보』와 『태극학보』의 담론적 상관관계 연구" 한림과학원 (23) : 141-188, 2019
8 한용진, "근대 교육 개념의 수용에 관한 개념사적 고찰" 한국교육사상학회 28 (28): 339-361, 2014
9 이지성, "근대 ‘국민’, ‘인민’, ‘백성’의 개념사 연구" 한국어문학연구소 (39) : 59-83, 2021
10 이기문, "국어사개설" 태학사 1998
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2008
2 도재학, "키워드를 통해 보는 근대 잡지의 문예사조적 특성 —《백조》와 낭만주의를 중심으로—" 한림과학원 (26) : 183-210, 2020
3 김일환, "키워드,공기어,그리고네트워크:신문빅데이터가보여주는것" 소명출판 2017
4 장만호 ; 김일환, "일제강점기 신문 독자투고시의 시어 사용 양상-통계적 키워드와 공기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58) : 301-327, 2018
5 안예리, "유의어 분석을 통한 어휘사 연구 -1930년대 대중종합지 '三千里'를 중심으로-" 언어정보연구원 27 : 209-235, 2011
6 허수, "언어연결망 분석으로 본 20세기 초한국의 ‘문명’과 ‘문화’ — 주요 언론 기사에서의 논의 맥락을 중심으로 —" 한림과학원 (22) : 241-279, 2018
7 전성규 ; 김병준, "디지털인문학 방법론을 통한 『서북학회월보』와 『태극학보』의 담론적 상관관계 연구" 한림과학원 (23) : 141-188, 2019
8 한용진, "근대 교육 개념의 수용에 관한 개념사적 고찰" 한국교육사상학회 28 (28): 339-361, 2014
9 이지성, "근대 ‘국민’, ‘인민’, ‘백성’의 개념사 연구" 한국어문학연구소 (39) : 59-83, 2021
10 이기문, "국어사개설" 태학사 1998
11 박명규, "국민·인민·시민. 한국개념사총서" 소화 2009
12 박상섭, "국가·주권. 한국개념사총서" 소화 2008
13 김일환, "광복 이후부터 한국전쟁 직후까지의 핵심어 분석 - 동아일보 1946~1955년 기사를 대상으로 -" 국제어문학회 (66) : 9-35, 2015
14 김일환 ; 이도길, "개화기 잡지 코퍼스의 구축과 활용" 한림과학원 (25) : 5-31, 2020
15 신중진, "개화기 신문과 잡지 자료의 국어사적 현황과 분류" 국어사학회 (13) : 111-137, 2011
16 구현주, "개념사 연구에서 빅데이터 연구방법의 활용 가능성 — 한국사회 1960-1990년대 노동 개념 변천을 중심으로 —" 한림과학원 (27) : 299-336, 2021
17 전성규, "『대한협회회보』의 국가관과 ‘복종’ — 어휘사와 개념사적 관점에서 —" 한림과학원 (15) : 109-154, 2015
18 연세대학교근대한국학연구소, "20세기 전환기 동아시아 지식장과 근대 한국학탄생의 계보" 소명출판 2020
19 안예리, "20세기 전반기 국어의 문장 구성에 대한 연구 : 대중종합지 『삼천리(1929∼1942)』의 말뭉치 언어학적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언어의 소외’와 ‘과학적’ 언어 연구의 (불)가능성에 대하여 —1920~1930년대 조선어 연구를 중심으로—
유비적 환대의 미학—박완서의 「저문 날의 삽화(揷話)」를 중심으로—
시에예스에서 다시 홉스로— “우리(들) 대한국민”의 정치사상—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6 | 1.426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