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체육에서 ICT 활용 의미 탐색: 빅 데이터 토픽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ICT 기반 학교체육 연구주제 분석 = Exploring Significances of ICT-based Physical Education: Utilizing Big Data Topic-modeling to examine topics on ICT-based Physical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467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we have confronted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various fields including physical education in academia have frequently discussed on the ways in which ICT and technologies should applied into their fields. This kind of research trend in Korea is to connect curricula with a variety of technologies in order to foster ‘creative human resource’, which is the latest concept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this milieu,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ICT and technologies usages in PE class. This study also critically discussed the ways in which ICT and technologies would be utilized as an educational tool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in a practical manner so as to promote educational value of physical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big data topic-modeling was used as a research tool an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convergence education; 2) web-based education; 3) movement analysis; 4) applying IC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most of researches related the topic have agreed the necessity of the usage of ICT and various technologies into PE classes. However, suggesting academical and political significances should actively discussed to guarantee effectiveness of ICT and technologies based school physical education so as not only to provide educational values of physical education, but also to utilize technologies in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without any more burdens for teachers.
      번역하기

      As we have confronted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various fields including physical education in academia have frequently discussed on the ways in which ICT and technologies should applied into their fields. This kind of research tren...

      As we have confronted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various fields including physical education in academia have frequently discussed on the ways in which ICT and technologies should applied into their fields. This kind of research trend in Korea is to connect curricula with a variety of technologies in order to foster ‘creative human resource’, which is the latest concept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this milieu,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ICT and technologies usages in PE class. This study also critically discussed the ways in which ICT and technologies would be utilized as an educational tool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in a practical manner so as to promote educational value of physical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big data topic-modeling was used as a research tool an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convergence education; 2) web-based education; 3) movement analysis; 4) applying IC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most of researches related the topic have agreed the necessity of the usage of ICT and various technologies into PE classes. However, suggesting academical and political significances should actively discussed to guarantee effectiveness of ICT and technologies based school physical education so as not only to provide educational values of physical education, but also to utilize technologies in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without any more burdens for teach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함에 따라 학교체육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ICT 및 테크놀로지 활용에 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 동향은 최근 국내 교육계가 내세우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해 다양한 기술을 교과 콘텐츠와 연결시키고자 하는 움직임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체육 분야에서 15년간수행되어진 학교체육 및 체육수업 현장에서 ICT 및 테크놀로지 활용에 관한 연구주제의 동향을 면밀히 살펴보고, 미래 학교체육 현장에서 체육교과가 제공하는 교육적 가치 실현을 위한 효율적인 ICT 및 테크놀로지 활용방안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해당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토픽모델링 기법을활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1)융합교육, 2) 웹 기반 교육, 3) 신체활동분석, 4) ICT활용으로 총 4가지 주요 주제로범주화 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학교체육 분야에서 ICT 및 테크놀로지 활용에 관한 논의는 학교체육 현장에서 그 필요성을 인정받음에 따라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하지만, 체육수업이 제공하는 교육적 가치를 학생들에게 온전히 전달하고 수업을 설계하는 교사가 과도한 업무부담 없이 자신의 수업에 테크놀로지를활용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ICT기반 체육수업의 실효성을 담보할 수 있는 학술적, 정책적 연구는 필요하다.
      번역하기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함에 따라 학교체육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ICT 및 테크놀로지 활용에 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 동향은 최근 국내 교육계가 내세우는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함에 따라 학교체육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ICT 및 테크놀로지 활용에 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 동향은 최근 국내 교육계가 내세우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해 다양한 기술을 교과 콘텐츠와 연결시키고자 하는 움직임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체육 분야에서 15년간수행되어진 학교체육 및 체육수업 현장에서 ICT 및 테크놀로지 활용에 관한 연구주제의 동향을 면밀히 살펴보고, 미래 학교체육 현장에서 체육교과가 제공하는 교육적 가치 실현을 위한 효율적인 ICT 및 테크놀로지 활용방안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해당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토픽모델링 기법을활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1)융합교육, 2) 웹 기반 교육, 3) 신체활동분석, 4) ICT활용으로 총 4가지 주요 주제로범주화 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학교체육 분야에서 ICT 및 테크놀로지 활용에 관한 논의는 학교체육 현장에서 그 필요성을 인정받음에 따라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하지만, 체육수업이 제공하는 교육적 가치를 학생들에게 온전히 전달하고 수업을 설계하는 교사가 과도한 업무부담 없이 자신의 수업에 테크놀로지를활용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ICT기반 체육수업의 실효성을 담보할 수 있는 학술적, 정책적 연구는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윤기, "학교폭력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민간경비학회 11 (11): 177-202, 2012

      2 이규일,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을 위한 신체활동 기반 프로그램의 타당성 논증 및 운영 모델 개발"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3 (23): 923-946, 2012

      3 이상훈, "학교보안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민간경비학회 13 (13): 161-184, 2014

      4 박자현,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동향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0 (30): 7-32, 2013

      5 황서이,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예술경영 연구동향 분석" 한국예술경영학회 (47) : 5-29, 2018

      6 안주영,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매체별 에볼라 주제 분석 - 바이오 분야 연구논문과 뉴스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 한국문헌정보학회 50 (50): 289-307, 2016

      7 주형철, "테크놀로지 체육수업의 필요성에 대한 중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연구" 한국웰니스학회 13 (13): 81-99, 2018

      8 강선영, "체육수업 ICT 콘텐츠에 관한 연구" 한국융합보안학회 16 (16): 17-22, 2016

      9 김보경, "체육교사의 ICT 활용수업에 관한 실태 분석"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2-2) : 655-674, 2004

      10 정준상, "중학교 체육수업의 ICT활용에 관한 실행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5 (15): 137-157, 2008

      1 박윤기, "학교폭력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민간경비학회 11 (11): 177-202, 2012

      2 이규일,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을 위한 신체활동 기반 프로그램의 타당성 논증 및 운영 모델 개발"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3 (23): 923-946, 2012

      3 이상훈, "학교보안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민간경비학회 13 (13): 161-184, 2014

      4 박자현,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동향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0 (30): 7-32, 2013

      5 황서이,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예술경영 연구동향 분석" 한국예술경영학회 (47) : 5-29, 2018

      6 안주영,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매체별 에볼라 주제 분석 - 바이오 분야 연구논문과 뉴스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 한국문헌정보학회 50 (50): 289-307, 2016

      7 주형철, "테크놀로지 체육수업의 필요성에 대한 중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연구" 한국웰니스학회 13 (13): 81-99, 2018

      8 강선영, "체육수업 ICT 콘텐츠에 관한 연구" 한국융합보안학회 16 (16): 17-22, 2016

      9 김보경, "체육교사의 ICT 활용수업에 관한 실태 분석"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2-2) : 655-674, 2004

      10 정준상, "중학교 체육수업의 ICT활용에 관한 실행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5 (15): 137-157, 2008

      11 김시형, "중등학교 체육교사 ICT활용 수업의 방해요인 개선방안" 22 : 55-82, 2010

      12 이재무, "이해중심게임 학습모형을 적용한 체육과 ICT 교수학습 과정안"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8 (8): 143-151, 2013

      13 유정애, "역량중심 체육교육과 테크놀로지 통합의 가능성" 교육과학연구소 50 (50): 131-152, 2019

      14 김일환, "신문 빅 데이터 기반의 단어 사용과 트렌드 분석: 신문의 명사 빈도 사용 패턴을 중심으로" 언어정보연구소 (22) : 41-62, 2016

      15 임영택, "선생님! 비 오는데 체육해요?: 다양한 웹 기반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교실체육수업의 실천"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1 (21): 1076-1093, 2010

      16 이예슬, "미디어 담론에 나타난 무용 의미 탐색" 대한무용학회 77 (77): 105-120, 2019

      17 박세원, "가상현실(VR) 스포츠실을 활용한 ICT 융합 체육 수업의 현황 및 발전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003-1025, 2018

      18 한태명, "ICT활용교육 장학지원요원 연수교재"

      19 김명미, "4차 산업혁명시대, ICT 스포츠재활과 학교체육 융합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45-156, 2019

      20 주형철, "4차 산업혁명사회에서 요구하는 학교체육의 교육패러다임과 변화 방향에 대한 탐색" 한국체육과학회 28 (28): 755-777, 2019

      21 홍정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교육 에듀테크" 책밥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11-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Asis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2-06-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스포츠과학연구소 -> 학교체육연구소
      영문명 : chungang university -> Physical Education Lab of Chung-Ang Universit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