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마산 창신학교 체육활동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of Changshin School in Mas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467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analyzed the physical activities of Changshin School, a Christian School in Masan, as part of efforts to identify the overall picture of the introduction of modern sports and sports in Korea. Changshin School, founded in 1909, was born with the need for evangelical propagation by the Australian Missionary Department and education projects for local people. Started as a spac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Christian spirit and practice of national education, it functioned as a pioneering educational institution for modern sports activitie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disseminated Western modern sports culture and developed military gymnastics and wood dumbbell gymnastics. Linked to the athletic meets, its physical activities expanded to the cultural festival of Masan local people, making it a facilitator for the cohesion and harmony of Masan local people. Furthermore, such sports activities served as a springboard to express the latent national spirit of modern intellectuals, soldiers and local people who aspired for national independent amid the crisis of losing national sovereignty.
      번역하기

      The study analyzed the physical activities of Changshin School, a Christian School in Masan, as part of efforts to identify the overall picture of the introduction of modern sports and sports in Korea. Changshin School, founded in 1909, was born with ...

      The study analyzed the physical activities of Changshin School, a Christian School in Masan, as part of efforts to identify the overall picture of the introduction of modern sports and sports in Korea. Changshin School, founded in 1909, was born with the need for evangelical propagation by the Australian Missionary Department and education projects for local people. Started as a spac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Christian spirit and practice of national education, it functioned as a pioneering educational institution for modern sports activitie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disseminated Western modern sports culture and developed military gymnastics and wood dumbbell gymnastics. Linked to the athletic meets, its physical activities expanded to the cultural festival of Masan local people, making it a facilitator for the cohesion and harmony of Masan local people. Furthermore, such sports activities served as a springboard to express the latent national spirit of modern intellectuals, soldiers and local people who aspired for national independent amid the crisis of losing national sovereign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근대체육과 스포츠 도입의 전체상을 파악하기 위한 일환으로 마산 지역의 기독교계 학교인 창신학교의 체육활동을 분석했다. 1909년 설립된 창신학교는 호주 선교부의 복음 전파와 지역민들의 교육사업의필요가 공존하며 태동했다. 기독교 정신의 구현과 민족교육의 실천을 위한 공간으로 시작된 창신학교는 경남지역의 근대적 체육활동을 위한 선구적인 교육기관으로 기능하며, 서구 근대 스포츠문화의 보급과 병식체조와목아령체조를 개발했다. 창신학교의 체육활동은 운동회와 연계되며, 마산 지역민들의 문화적 축제로 확대되어마산 지역민들의 응집과 화합을 위한 촉진제가 되었다. 이러한 창신학교의 체육활동은 국권상실의 위기 속에서민족의 자주독립을 열망했던 근대적 지식인과 군인, 지역민들의 숨은 민족의식의 발로로 기능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 근대체육과 스포츠 도입의 전체상을 파악하기 위한 일환으로 마산 지역의 기독교계 학교인 창신학교의 체육활동을 분석했다. 1909년 설립된 창신학교는 호주 선교부의 복음 ...

      본 연구는 한국 근대체육과 스포츠 도입의 전체상을 파악하기 위한 일환으로 마산 지역의 기독교계 학교인 창신학교의 체육활동을 분석했다. 1909년 설립된 창신학교는 호주 선교부의 복음 전파와 지역민들의 교육사업의필요가 공존하며 태동했다. 기독교 정신의 구현과 민족교육의 실천을 위한 공간으로 시작된 창신학교는 경남지역의 근대적 체육활동을 위한 선구적인 교육기관으로 기능하며, 서구 근대 스포츠문화의 보급과 병식체조와목아령체조를 개발했다. 창신학교의 체육활동은 운동회와 연계되며, 마산 지역민들의 문화적 축제로 확대되어마산 지역민들의 응집과 화합을 위한 촉진제가 되었다. 이러한 창신학교의 체육활동은 국권상실의 위기 속에서민족의 자주독립을 열망했던 근대적 지식인과 군인, 지역민들의 숨은 민족의식의 발로로 기능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광열 전화 인터뷰"

      2 "현광열 인터뷰"

      3 이만열, "한국기독교와 역사의식" 지식산업사 1981

      4 한국교회 100년기념사업회, "한국교회 100년" 제일문화사 1985

      5 곽애영, "한국 개화기 기독교계 학교의 체육활동 연구" 한국체육사학회 16 : 27-41, 2005

      6 하남길, "체육사 신론" 경상대학교 출판부 2010

      7 "창신교운동회성황"

      8 조정규, "지역기반 학교체육사 연구: 1900〜1949년 전주신흥학교의 학교체육활동 사례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1 (21): 1-15, 2014

      9 손환, "일제하 朝鮮體育協會의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42 (42): 13-22, 2003

      10 송성안, "일제강점기 창신학교의 민족교육과 폐교" 인문과학연구소 40 : 131-162, 2016

      1 "현광열 전화 인터뷰"

      2 "현광열 인터뷰"

      3 이만열, "한국기독교와 역사의식" 지식산업사 1981

      4 한국교회 100년기념사업회, "한국교회 100년" 제일문화사 1985

      5 곽애영, "한국 개화기 기독교계 학교의 체육활동 연구" 한국체육사학회 16 : 27-41, 2005

      6 하남길, "체육사 신론" 경상대학교 출판부 2010

      7 "창신교운동회성황"

      8 조정규, "지역기반 학교체육사 연구: 1900〜1949년 전주신흥학교의 학교체육활동 사례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1 (21): 1-15, 2014

      9 손환, "일제하 朝鮮體育協會의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42 (42): 13-22, 2003

      10 송성안, "일제강점기 창신학교의 민족교육과 폐교" 인문과학연구소 40 : 131-162, 2016

      11 박귀순, "일제강점기 부산 일신(日新)여학교의 체육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사학회 19 (19): 45-57, 2014

      12 손환, "이화체육이 한국근대체육 발전에 미친 영향" 한국체육학회 40 (40): 2001

      13 김재우, "서울 YMCA 體育運動 100年史" 상록문화 2009

      14 "사립창신학교규칙집"

      15 "분규로 막을 종한 마산소년야구회 원인은 심판 잘못"

      16 피터 버크(Peter Burke), "문화 혼종성 (Cultural Hybridity)" 이음 67-, 2012

      17 문창교회100년사편찬위원회, "문창교회100년사" 한국장로교출판사 2001

      18 문창교회 100년사 편찬위원회, "문창교회100년사" 한국장로교출판사 2001

      19 "마산체육회정구회"

      20 김형윤, "마산야화" 마산문화원 1996

      21 "마산소년야구대회"

      22 "마산공보교운동회"

      23 "동아일보"

      24 "동아일보"

      25 "동아일보"

      26 한국학술진흥재단, "대한계년사" 소명출판. 정교 2004

      27 변성호, "구한말 운동회의 정치적 성격에 대한 고찰-운동회와 민족주의의 관계" 한국학중앙연구원 36 (36): 186-214, 2013

      28 "계성대창신 풋뽈"

      29 "각교운동회일속"

      30 경남대학교 경남지역문제연구원, "馬山市體育史" 마산시 2004

      31 마산시편찬위원회, "馬山市史" 마산시편찬위원회 2011

      32 이학래, "韓國近代體育史硏究" 지식산업사 1990

      33 오정석, "東萊學園100年史" 학교법인 동래학원 1995

      34 창신기독학원, "昌信百年史" 다락방 2008

      35 이가람, "Philip L. Gillett의 한국근대스포츠 발전에 미친 영향" 한국체육사학회 19 (19): 101-114,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11-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Asis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2-06-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스포츠과학연구소 -> 학교체육연구소
      영문명 : chungang university -> Physical Education Lab of Chung-Ang Universit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