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한국어 문어 교재 개발: 균형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 A study on the Material Development to Improve Korean Literal Language Ability of Multi-cultural Children: Based on Balanced Approa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01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aterials to improve Korean literal language ability of multi-cultural children. This study introduced the balanced approach that enhances literacy and reading comprehension as integrated approach to improve literal language ability. This study claimed to provide balanced reading program based on the 'whole-part-whole' steps of balanced approach to multi-cultural children prior to their regular school year. Three steps of balanced reading program are whole, part, and another whole: In Whole 1, children are exposed to what reading is and the letter system by storytelling. It includes story introduction by brainstorming, story reading, story review, and story retelling.; in Part, children are taught sight words and phonemic awareness by intended wide exposure to various phonemic traits. It includes correspondence between sound and letter, phonemic awareness, reading books pointing the words, introduction of sight words, syntactic awareness, and spelling.; and finally, in Whole 2, children read, comprehend, and expand stories with new vocabulary and expression. It includes story introduction, story reading, story retelling, story comprehension, syntactic awareness, and story expansion and writing. The study demonstrated the whole syllabus and showed a lesson sample with teaching methodologies based on the balanced approach.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aterials to improve Korean literal language ability of multi-cultural children. This study introduced the balanced approach that enhances literacy and reading comprehension as integrated approach to improve l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aterials to improve Korean literal language ability of multi-cultural children. This study introduced the balanced approach that enhances literacy and reading comprehension as integrated approach to improve literal language ability. This study claimed to provide balanced reading program based on the 'whole-part-whole' steps of balanced approach to multi-cultural children prior to their regular school year. Three steps of balanced reading program are whole, part, and another whole: In Whole 1, children are exposed to what reading is and the letter system by storytelling. It includes story introduction by brainstorming, story reading, story review, and story retelling.; in Part, children are taught sight words and phonemic awareness by intended wide exposure to various phonemic traits. It includes correspondence between sound and letter, phonemic awareness, reading books pointing the words, introduction of sight words, syntactic awareness, and spelling.; and finally, in Whole 2, children read, comprehend, and expand stories with new vocabulary and expression. It includes story introduction, story reading, story retelling, story comprehension, syntactic awareness, and story expansion and writing. The study demonstrated the whole syllabus and showed a lesson sample with teaching methodologies based on the balanced approa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한국어 문어 능력 향상을 위한 교재 개발 방안과 아울러 단원 모형 제시를 목표로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어 능력 향상을 위한 문식력과 이해력을 강조하는 통합 교육 방법으로 균형적 접근법을 소개하며 균형적 접근법에 기초한 교재 개발 방안과 함께 교재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자는 다문화 가정 아동들에게 정규 학교 교육으로 가기 전에 음운 인식과 글 이해를 향상시키는 ‘whole-part-whole’에 기초한 균형적 읽기 교육을 제공해야 함을 주장하였는데 균형적 읽기 교육은 첫 단계로 ‘whole 1’ 즉 이야기 중심의 읽기 활동에서 읽기 기능과 문자에 대한 노출을 시도하고, 이어서 ‘part’로 의미 속에서 음운적 자질 노출을 극대화하여 시각 단어 인식과 음운 인식을 교육하며, 마지막 단계인 ‘whole 2’에서는 의미 이해를 위한 읽기 활동으로 의미 이해와 함께 어휘ㆍ구문 확장과 의미 확장을 시도하는 교육 방안이다. 본고에서는 이를 활용한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고 교재 단원 모형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한국어 문어 능력 향상을 위한 교재 개발 방안과 아울러 단원 모형 제시를 목표로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어 능력 향상을 위한 문식력과 이해력을 강...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한국어 문어 능력 향상을 위한 교재 개발 방안과 아울러 단원 모형 제시를 목표로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어 능력 향상을 위한 문식력과 이해력을 강조하는 통합 교육 방법으로 균형적 접근법을 소개하며 균형적 접근법에 기초한 교재 개발 방안과 함께 교재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자는 다문화 가정 아동들에게 정규 학교 교육으로 가기 전에 음운 인식과 글 이해를 향상시키는 ‘whole-part-whole’에 기초한 균형적 읽기 교육을 제공해야 함을 주장하였는데 균형적 읽기 교육은 첫 단계로 ‘whole 1’ 즉 이야기 중심의 읽기 활동에서 읽기 기능과 문자에 대한 노출을 시도하고, 이어서 ‘part’로 의미 속에서 음운적 자질 노출을 극대화하여 시각 단어 인식과 음운 인식을 교육하며, 마지막 단계인 ‘whole 2’에서는 의미 이해를 위한 읽기 활동으로 의미 이해와 함께 어휘ㆍ구문 확장과 의미 확장을 시도하는 교육 방안이다. 본고에서는 이를 활용한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고 교재 단원 모형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차숙, "한글의 특성에 따른 한글 해독 지도 방법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23 (23): 5-26, 2003

      2 배은주, "한국 내 이주노동자 자녀들의 학교생활에서의 갈등 해결 방안: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9 (9): 2006

      3 김갑성, "한국 내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연구" 서울교대 교육대학원 초등교육학과 2008

      4 김나연, "하루 일과에서의 한글 특성에 기초한 균형적 언어 프로그램이 만5세 유아의 단어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9

      5 김영주, "전래동화와 스토리텔링" 한국문화사 2009

      6 김영주, "전래동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 - 다문화 및 재외동포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80) : 97-124, 2008

      7 교육과학기술부, "전국 시·도 교육청 다문화교육 관계자 워크숍 및 연구학교 성과 보고" 2008

      8 이성옥, "이주 아동의 실태와 교육" 2009

      9 주영희, "유아 문해 교육에 대한 접근 방법 탐색"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0 서상규, "연세말뭉치 1-9를 대상으로 한 현대 한국어의 어휘빈도" 언어정보개발연구원 1998

      1 이차숙, "한글의 특성에 따른 한글 해독 지도 방법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23 (23): 5-26, 2003

      2 배은주, "한국 내 이주노동자 자녀들의 학교생활에서의 갈등 해결 방안: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9 (9): 2006

      3 김갑성, "한국 내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연구" 서울교대 교육대학원 초등교육학과 2008

      4 김나연, "하루 일과에서의 한글 특성에 기초한 균형적 언어 프로그램이 만5세 유아의 단어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9

      5 김영주, "전래동화와 스토리텔링" 한국문화사 2009

      6 김영주, "전래동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 - 다문화 및 재외동포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80) : 97-124, 2008

      7 교육과학기술부, "전국 시·도 교육청 다문화교육 관계자 워크숍 및 연구학교 성과 보고" 2008

      8 이성옥, "이주 아동의 실태와 교육" 2009

      9 주영희, "유아 문해 교육에 대한 접근 방법 탐색"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0 서상규, "연세말뭉치 1-9를 대상으로 한 현대 한국어의 어휘빈도" 언어정보개발연구원 1998

      11 오소정, "서울 및 경기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언어특성과 관련변인에 대한 기초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8 (8): 137-161, 2009

      12 장경숙, "멘토링을 통한 초임교사 영어수업능력 신장: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3 (13): 65-96, 2007

      13 유주연, "마주이야기로 하는 균형적 교수법 실제" 2009

      14 김광해, "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 박이정 2003

      15 이재근, "동화를 활용한 의사 소통 기능 중심 학습 자료 개발 연구-초등 영어 5?6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3 (13): 165-193, 2007

      16 이재분, "다문화가정자녀 교육실태연구: 국제결혼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8

      17 김민화, "다문화가정 취학 전 유아 한국어교육 지원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아동학회 29 (29): 155-179, 2008

      18 김영주,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 언어문화 교재 개발 방안"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4 (4): 21-46, 2008

      19 전재완, "다문화가정 아동 국어교육 지도 사례-1·2학년 다문화가정 학생을 중심으로" 2009

      20 우인혜, "다문화 사회에 따른 한국어 교육의 동향과 과제" 한국국어교육학회 (79) : 281-310, 2008

      21 오은순,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지원 방안 연구(Ⅲ)-한국어교육 지원 방안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22 권순희, "다문화 가정을 위한 언어 교육 정책 모색 - 호주의 언어 교육 정책 검토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27) : 223-252, 2006

      23 김정숙, "다문화 가정 학생을 위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운영 지원 및 협력 체제'에 대한 토론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24 원진숙, "다문화 가정 학생을 위한 한국어(KSL)교육 프로그램, 다문화 가정 학생을 위한 한국어(KSL)교육 프로그램"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25 유혜경, "다문화 가정 학생을 위한 한국어(KSL)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토론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26 박진욱, "다문화 가정 자녀의 교과적응을 위한 학습 언어 연구- 학령기 아동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7 김영주, "다문화 가정 아동 한국어 문어 교육 방안- 균형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09

      28 이옥섭, "균형 있는 문해 프로그램이 유아의 읽기, 쓰기 발달에 미치는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29 오성배, "국제결혼 가정 자녀의 교육기회 실태와 대안 모색" 가톨릭대 인간학연구소 2006

      30 김정원, "국내 몽고 출신 외국인 근로자 자녀 학교교육 실태 분석" 16 (16): 2006

      31 Moerk, E. L., "book reading by mothers and young children and its impact upon language development" 9 : 1985

      32 Allen, P., "Who sank the boat?" Coward-McCann 1990

      33 Strickland, D. S., "What is basic in beginning reading? Finding common ground" 55 (55): 6-10, 1998

      34 Elley, W. B., "Vocabulary acquisition from listening to stories" 24 : 1989

      35 McNeil, J. H., "Using story reading to encourage children’'s conversations in: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1996

      36 Catts, H. Hogan, "The simple view of reading. Changes over time" 2003

      37 Hoover, W., "The simple view of reading" 2 : 127-160, 1990

      38 Beck, I. L., "Text talk: Capturing the benefits of read-aloud experiences for young children" 55 (55): 10-20, 2001

      39 Ediger, Anne, "Teaching children literacy skills in a second language in: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Heinle & Heinle 171-186, 2001

      40 Johnson, L. M., "Teaching beginning reading: A balanced approach" Fearson Teacher Aids 1997

      41 Nagy, W.E., "Teaching Vocabulary to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1994

      42 Snow, C. E., "Success for all: A relentless approach to prevention and early intervention in elementary schools" Educational Research Service 1992

      43 Scott, J., "Sight word reading in pre-schoolers: Use of logographic vs alphabetic access routes" 22 : 149-166, 1989

      44 Nicholson, T., "Reading the Writing on the Wall" Dunmore Press 2000

      45 Mason, J. M., "Reading stories to preliterate children: A proposed connection to reading in: Reading Acquisition" Lawrence Erlbaum & Associates 215-241, 1992

      46 Pressley, G. M., "Reading instruction that works: The case for balanced instruction" Guilford Press 1998

      47 Williams, J. P.,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ies and teacher preparation in: What Research Has to Say about Reading Instruction" IRA 2002

      48 Carbo, "Phonics and Whole Language: Use both!" 61 (61): 60-64, 1996

      49 Ehri, L. C., "Phases of word learning: Implications for instruction with delayed and disabled readers" 14 : 135-163, 1998

      50 Dale, P. S., "Parent-child book reading as an intervention technique for young children language delays" 16 (16): 1996

      51 Pressley, G. M., "Metacognition and self-regulated comprehension in: What Research Has to Say about Reading Instruction" IRA 291-309, 2002

      52 Farris, P., "Language arts: Process, product, and assessment (3rd ed.)" McGraw -Hill 2001

      53 Torgensen, J. K., "Individual differences in response to early interventions in reading: The lingering problem of treatment resisters" 5 (5): 55-64, 2000

      54 Leung, C. B., "Incidental learning of word meanings by kindergarten and first grade children through repeated read aloud events" National Reading Conference 1990

      55 Kuhn, M., "Fluency: A review of developmental and remedial practices, University of Michigan" Center for the Improvement of Early Reading Achievement 2000

      56 Uhry, J. K., "Finger-point reading in kindergarten: The role of phonemic awareness, one-to-one correspondence, and rapid serial naming" 6 (6): 175-214, 2002

      57 Duke, N. K., "Effective practices for developing reading comprehension in: What research has to say about reading instruction" IRA 205-242, 2002

      58 Bowey, J., "Early onset-rime sensitivity training in at-risk children in: Prediction and prevention of reading failure" New York Press 217-246, 2000

      59 Gough, P. B., "Decoding, reading and reading disability" 7 : 6-10, 1986

      60 Adams, M. J., "Beginning to read: Thinking and learning about print" MIT Press 1990

      61 Center, Yola, "Beginning Reading: A balanced approach to teaching literacy during the first three years at school" Continuum 2005

      62 Fowler, D., "Balanced reading instruction in practice" 55 (55): 11-12, 1998

      63 Arnold, D. H., "Accelerating language development through picture book reading: Replication and extension to a videotape training format" 86 (86): 1994

      64 Whitehurst, G. J., "Accelerating language development through picture book reading" 24 : 19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5 1.47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