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유비쿼터스 Privacy-Aware Web Services Framework 설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1953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웹서비스는 플랫폼 독립적인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이기종간 상호 연동성이 필요한 유비쿼터스 컴퓨팅에 가장 적합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유비쿼터스 웹서비스는 어떠한 단말이나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연계/융합/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미래형 웹서비스 기술이다.[7] 유비쿼터스의 주요 특징으로서 상황 인식(context-aware)을 고려하여 유비쿼터스 웹서비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상황 인식에 대한 처리가 필요하다. 아울러 상황 인식은 실시간으로 변하는 개인정보를 수집하므로 사용자에 대한 프라이버시 문제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웹서비스 표준은 Context의 전달에 대해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고 있으며 따라서 Context정보를 유연성 있게 부가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 구조가 필요하다. 제안한 프레임워크는 Context에 대한 확장성을 부여하고 셰션마다 Context정보를 유연하게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프레임워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 SOAP메시지의 Context 오버헤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Preference에 따라 Context의 공개 여부가 결정되므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번역하기

      웹서비스는 플랫폼 독립적인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이기종간 상호 연동성이 필요한 유비쿼터스 컴퓨팅에 가장 적합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유비쿼터스 웹서비스는 어떠한 단말이...

      웹서비스는 플랫폼 독립적인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이기종간 상호 연동성이 필요한 유비쿼터스 컴퓨팅에 가장 적합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유비쿼터스 웹서비스는 어떠한 단말이나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연계/융합/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미래형 웹서비스 기술이다.[7] 유비쿼터스의 주요 특징으로서 상황 인식(context-aware)을 고려하여 유비쿼터스 웹서비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상황 인식에 대한 처리가 필요하다. 아울러 상황 인식은 실시간으로 변하는 개인정보를 수집하므로 사용자에 대한 프라이버시 문제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웹서비스 표준은 Context의 전달에 대해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고 있으며 따라서 Context정보를 유연성 있게 부가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 구조가 필요하다. 제안한 프레임워크는 Context에 대한 확장성을 부여하고 셰션마다 Context정보를 유연하게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프레임워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 SOAP메시지의 Context 오버헤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Preference에 따라 Context의 공개 여부가 결정되므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b services are independent on a platform and are suitable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which an interaction for each device. Ubiquitous web services can use various applied service in any network neighborhood or terminal. Main characteristic of Ubiquitous is context-awareness. Therefore, Ubiquitous web services must include context-aware control process and protect user privacy because context-aware environment collects privacy data. But current web services standard is not specially designed in respect of context-communication. Therefore, the framework which can add flexibility in transmission of context is required. Our Framework can give extension for context and can communicate flexibly Context information for every session. Therefore, Our Framework can solve overhead problem of context in SOAP message and protect user's privacy according to user preference.
      번역하기

      Web services are independent on a platform and are suitable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which an interaction for each device. Ubiquitous web services can use various applied service in any network neighborhood or terminal. Main characteristic of Ubi...

      Web services are independent on a platform and are suitable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which an interaction for each device. Ubiquitous web services can use various applied service in any network neighborhood or terminal. Main characteristic of Ubiquitous is context-awareness. Therefore, Ubiquitous web services must include context-aware control process and protect user privacy because context-aware environment collects privacy data. But current web services standard is not specially designed in respect of context-communication. Therefore, the framework which can add flexibility in transmission of context is required. Our Framework can give extension for context and can communicate flexibly Context information for every session. Therefore, Our Framework can solve overhead problem of context in SOAP message and protect user's privacy according to user prefere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ABSTRACT
      • 1. 서론
      • 2. 관련 연구
      • 3. 새로운 Framework 설계
      • 초록
      • ABSTRACT
      • 1. 서론
      • 2. 관련 연구
      • 3. 새로운 Framework 설계
      • 4. Context Framework과의 비교 분석
      • 5. 결론
      • 참고문헌
      • 저자소개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웹서비스 기술개발로 미래 IT기반환경 새로 연다"

      2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기술 개발 및 기술 정책" 고려대학교 한국전산원

      3 "Using Web Services to Build Context-Aware Applications in Ubiquitous Computing" 9140 : 483-487,

      4 "Ubiquitous Web Service"

      5 "Towards a Services Platform for Context-Aware Applications" INSTICC Press 2004

      6 "Towards a Component based Privacy Protector Architecture" June2003

      7 "Towards Context-Aware Adaptable Web Services" 55-65, 2004

      8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SOAP) 1.1"

      9 "Privacy Preserving Trust Agent"

      10 "Enabling Context-Aware and Privacy-Conscious User Data Sharing" 187-198, 2004

      1 "웹서비스 기술개발로 미래 IT기반환경 새로 연다"

      2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기술 개발 및 기술 정책" 고려대학교 한국전산원

      3 "Using Web Services to Build Context-Aware Applications in Ubiquitous Computing" 9140 : 483-487,

      4 "Ubiquitous Web Service"

      5 "Towards a Services Platform for Context-Aware Applications" INSTICC Press 2004

      6 "Towards a Component based Privacy Protector Architecture" June2003

      7 "Towards Context-Aware Adaptable Web Services" 55-65, 2004

      8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SOAP) 1.1"

      9 "Privacy Preserving Trust Agent"

      10 "Enabling Context-Aware and Privacy-Conscious User Data Sharing" 187-198, 2004

      11 "An ICT Design Approach to Support Privacy Protection of Contextual Information" June2003

      12 "A Framework for Enforcement of Privacy Policies"

      13 "A Framework for Context-Aware Adaptable Web Services" 2992 : 826-829,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5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0.9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91 1.281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