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목적은 2012년부터 발생한 미얀마 로힝자족의 수난에 대한 중국, 인도, 아세안 등 미얀마 주변국의 입장과 대응전략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 주변국이 추구하려는 국가이익의 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2012년부터 발생한 미얀마 로힝자족의 수난에 대한 중국, 인도, 아세안 등 미얀마 주변국의 입장과 대응전략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 주변국이 추구하려는 국가이익의 실...
이 글의 목적은 2012년부터 발생한 미얀마 로힝자족의 수난에 대한 중국, 인도, 아세안 등 미얀마 주변국의 입장과 대응전략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 주변국이 추구하려는 국가이익의 실체를 규명하는 것이다. 특히 2017년 미얀마 군부가 테러리스트들을 소탕한다는 명분으로 로힝자족을 공격하여 대규모 피난민이 발생하자 서방세계와 달리 미얀마 주변국은 사태의 본질을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문제 해결에 적극적이라기보다 미얀마 정부를 옹호하는 자세를 취한다.
세 국가는 가치 지향적인 서방세계와 달리 국가안보와 경제적 번영에 국익의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현실 지향적 전략을 추진한다. 또한 로힝자족 문제가 주변국의 주권이나 안보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지 않으므로 국가이익의 우선순위도 주로 핵심적 이익과 중요한 이익으로 나타났다. 중국이 철저하게 경제적 번영을 추구하기 위한 도구로서 로힝자족 문제에 개입한다면, 아세안은 잠재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안보위기를 방지하는 차원에서 소극적인 행보를 보였다. 인도는 양국의 중간적 입장으로서 경제적으로 동진정책의 성공과 안보적으로 로힝자족과 무슬림 과격단체와의 연대 가능성을 봉쇄하는 전략으로 대응한다. 결론적으로 주변국들이 로힝자족 문제 해결을 빌미로 국가이익을 우선시하는 전략을 추구함에 따라 주변국이 주도하여 이 문제를 해결할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positions and strategies of Myanmar's neighboring countries, including China, India and ASEAN, on the sufferings of Myanmar's Rohingya that have taken place since 2012, and to identify the ess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positions and strategies of Myanmar's neighboring countries, including China, India and ASEAN, on the sufferings of Myanmar's Rohingya that have taken place since 2012, and to identify the essentials of the national interests of neighboring countries. In particular, when Myanmar's military attacked the Rohingya in order to wiping out terrorists in August 2017, Myanmar's neighbors are supportive of the Myanmar government rather than trying to solve the conundrum with the objectively position.
The three countries, unlike the value-oriented West countries, pursue a reality-oriented strategy that gives priority to national security and economic prosperity. In addition, the priority of the national interests of neighboring countries are mainly vital interest and major interest each, as the Rohingya conundrum does not threaten the sovereignty and national security of the neighboring countries. China has intervened the Rohingya issue in order to pursuing economic prosperity, but ASEAN has taken a passive step to prevent a potential security crisis on it. India's response is in the middle of the two sides, pursuing the success of its Act East Policy(AEP) economically and the blocking the possibility of a alliance with the Rohingya and Muslim extremist groups. In conclusion, it seems unlikely that the neighboring countries will take the initiative to solve the Rohingya conundrum because those only pursue national interests on the process of intervene not showing their authenticity.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장식, "미얀마의 종교 갈등과 그 양상" 2 : 280-299, 1999
2 김성원, "미얀마의 이방인 라카인 무슬림 로힌쟈 연구" 한국이슬람학회 16 (16): 59-78, 2006
3 장준영, "미얀마의 무슬림과 종교 분쟁: 국민통합을 중심으로" 동남아연구소 24 (24): 307-338, 2015
4 홍재우, "미얀마 종족갈등의 연대기: 좌절된 민주주의와 실패한 종족공동체" 국제지역연구센터 18 (18): 53-84, 2014
5 박장식, "미얀마 여카잉 무슬림(로힝자)의 딜레마 재고(再考):종교기반 종족분쟁의 배경과 원인" 한국동남아학회 23 (23): 235-276, 2013
6 장준영, "미얀마 아세안 관계 발전 : 아세안의 정책변동과 미얀마 군사정부의 대응" 동아연구소 (52) : 447-478, 2006
7 김인아, "미얀마 로힝자 분쟁에 대한 역사적 고찰" 한국아시아학회 21 (21): 25-50, 2018
8 "미얀마 국가고문실 홈페이지"
9 장준영, "동남아의 이슬람" 한국외대 출판부 2007
10 강석찬, "국제정치와 외교정책" 한국학술정보 2008
1 박장식, "미얀마의 종교 갈등과 그 양상" 2 : 280-299, 1999
2 김성원, "미얀마의 이방인 라카인 무슬림 로힌쟈 연구" 한국이슬람학회 16 (16): 59-78, 2006
3 장준영, "미얀마의 무슬림과 종교 분쟁: 국민통합을 중심으로" 동남아연구소 24 (24): 307-338, 2015
4 홍재우, "미얀마 종족갈등의 연대기: 좌절된 민주주의와 실패한 종족공동체" 국제지역연구센터 18 (18): 53-84, 2014
5 박장식, "미얀마 여카잉 무슬림(로힝자)의 딜레마 재고(再考):종교기반 종족분쟁의 배경과 원인" 한국동남아학회 23 (23): 235-276, 2013
6 장준영, "미얀마 아세안 관계 발전 : 아세안의 정책변동과 미얀마 군사정부의 대응" 동아연구소 (52) : 447-478, 2006
7 김인아, "미얀마 로힝자 분쟁에 대한 역사적 고찰" 한국아시아학회 21 (21): 25-50, 2018
8 "미얀마 국가고문실 홈페이지"
9 장준영, "동남아의 이슬람" 한국외대 출판부 2007
10 강석찬, "국제정치와 외교정책" 한국학술정보 2008
11 조순구, "국제관계론" 법문사 2009
12 The Irrawaddy, "‘I Don’t Think the West Understands Myanmar"
13 Dwiastuti, Llmi, "Why Does the Rohingya Issue Matter to ASEAN" 28 : 8-10, 2017
14 Dutta, Prabhash K., "Who are Rohingya Muslims and why govt wants to deport 40,000 of them?" India Today
15 "What's In Blue. Myanmar: Public Briefing by the Secretary-General"
16 Joy, Adrienne, "Understanding China's Response to the Rakhine Crisis" United States Institute of Peace 419-, 2018
17 UN News, "UN human rights chief points to ‘textbook example of ethnic cleansing’ in Myanmar"
18 Martin, Michael F., "The Rohingya Crises in Bangladesh and Burma"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7
19 ICG(International Crisis Group)., "The Long Haul Ahead for Myanmar's Rohingya Refugee Crisis" ICG 296-, 2018
20 Tobing, Dio Herdiawan, "The Limits and Possibilities of the ASEAN Way: The Case of Rohingya as Humanitarian Issue in Southeast Asia" 148-174, 2016
21 Beard, Charles A., "The Idea of National Interest: An Analytical Study in American Foreign Policy" Quadrangle 1966
22 Khairi, Aizat, "The Dilemma of Rohingya Refugees “Boat People”: The Role of Malaysia, its Neighbors and ASEAN" 6 (6): 481-489, 2016
23 아세안 홈페이지, "The Association of South East Nation’s(ASEAN) Response to the Rohingya Crisis"
24 Ramachandran. Sudha, "Rohingya Crisis: Will China's Meditation Succeed? China Brief. Vol.17, Iss.15"
25 Gill, Adrian Anthony, "Robbed, raped, killed" The Times
26 ICG(International Crisis Group)., "Myanmar’s Rohingya Crisis Enters a Dangerous New Phase" ICG 292-, 2017
27 Cook, Alistair D. B., "Myanmar’s China Policy: Agendas, Strategies and Challenges" 48 (48): 269-281, 2012
28 The Daily Star, "Myanmar's Rohingya policy damaging Bangladesh"
29 Selth, Andrew, "Myanmar's Armed Forces and the Rohingya Crisis" United States Institute of Peace 2018
30 Aung Shin, "Myanmar and China sign crude oil pipeline agreement" The Myanmar Times
31 Yhome, K, "Modi’s ‘Act East’ Begins in Myanmar"
32 AP News, "Mahathir slams Myanmar’s Suu Kyi for handling of Rohingya"
33 Sahoo, Niranjan, "India’s Rohingya Relapolitik"
34 Ghoshal, Balaldas, "India’s Responses to the Complex Rohingya Crisis in Myanmar" (404) : 2017
35 Haidar, Suhasini, "Indian court allows deportation of 7 Rohingya to Myanmar" The Hindu
36 Hussain, Wasbir, "India deports Rohingya Muslims to Myanmar" AP News
37 The Hindustan Times, "India commits $25 million to develop Myanmar’s Rakhine state"
38 The Irrawaddy, "Gov’t Inks Agreement with Chinese Firm to Develop Kyaukphyu SEZ"
39 UNHCR, "Global Trends Forced Displacement in 2017" UNHCR
40 "GNLM. May 26, 2017; September 14, 2017"
41 Xinhua, "Feature: Relief tents, supplies from China hailed as vital lifeline for displaced Rohingya in Bangladesh"
42 Yhome, K, "Examining India's Stance on the Rohingya Crisis" ORF 247-, 2018
43 Prime Minister's Office, "English Rendering of the Opening Statement by the Prime Minister at the India-ASEAN Summit" Press Information Bureau Government of India
44 Kundu, Sampa, "Deciphering the Paul Phaw between Myanmar and China" 54 (54): 341-353, 2018
45 Ramachandran. Sudha, "China’s Sinking Port Plans in Bangladesh. China Brief. Vol.16, Iss.10"
46 아세안 홈페이지, "Charter of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47 아세안 홈페이지, "Chairman’s Statement on the 32nd ASEAN Summit"
48 아세안 홈페이지, "Chairman’s Statement of the 33rd ASEAN Summit"
49 아세안 홈페이지, "Chairman’s Statement of the 14th ASEAN Summit “ASEAN Charter for ASEAN Peoples”"
50 Ganesan, Narayanan, "Bilateral Issues in Myanmar’s Policy towards China" The University of Freibug 38-, 2018
51 ICG(International Crisis Group)., "Bangladesh-Myanmar: The Danger of Forced Rohingya Repatriatio" ICG 153-, 2018
52 Muslimin, Anis, "ASEAN’s Rohingya Responses: Barely a Peep Outside of Malaysia" Forbes
53 Shivakoti, Richa, "ASEAN's Role in the Rohingya Refugee Crisis" 56 : 75-77, 2017
54 Nordin, Rohaida, "ASEAN Human Rights Dilemma: The Plight of the Rohingyas in Myanmar" 4 : 590-606, 2016
55 아세안 홈페이지, "ASEAN Chairman’s Statement on the Humanitarian Situation in Rakhine State"
지역 해외직접투자의 지역발전 효과 : 중국과 일본의 교훈
우즈베키스탄 도스틀릭(Do’stlik) 마을에서 사회적 자본이 사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사업관심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중국 공유교통 플랫폼에 대한 앱 사용감과 실제 사용감에 관한 연구 - 사회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가이바라 에키켄(貝原益軒)의 교육관에 관한 고찰 - 일본 근대 교육의 태동으로서의 가능성에 주목하여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4 | 0.51 | 0.984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