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사회에 유입된 한자 음역어의 시기별 유입과정 분석 = A study of Using Chinese Character Transliteration in Korea Societ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말의 어휘 체계 중 대부분을 한자어가 차지하게 된 것은 오랜 역사적 관계나 지리적 상황으로 볼 때,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 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과거에 중국이 自國의 발음을 기본...

      우리말의 어휘 체계 중 대부분을 한자어가 차지하게 된 것은 오랜 역사적 관계나 지리적 상황으로 볼 때,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 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과거에 중국이 自國의 발음을 기본으로 하여 만들어 썼던 한자 음역어가 우리국어 속에 지금까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은 분명 문제가 있는 것이며, 상당히 부끄러운 일이다. 게다가, 우리 고유의 문자인 훈민정음이 창제된 이후에도 우리민족은 중국이 한자로 음역한 어휘를 주체적인 순화과정 없이 고유어 속에 무분별하게 받아들였다. 이것이 바로 필자가 한자 음역어를 문제 삼는 근본 이유이다.
      이러한 여러 문제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지금까지 한자 음역어들에 대한 연구를 함에 있어서, 항상 명확한 기준이나 구분 없이 통째로 용례를 나열하는 정도에 그쳐왔다. 그러나 본 논문은 기존의 한계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국어 속에 수용되어 있는 복잡한 한자 음역어들의 유입과정을 유입된 시기와 유형별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으며 현재 우리 국어 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어휘들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hinese Character(漢字) had been introduced 漢字 into Korea since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During the long period, Chinese Character has been naturally converged and assimilated into Korean language with passing time, so now Chinese cha...

      The Chinese Character(漢字) had been introduced 漢字 into Korea since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During the long period, Chinese Character has been naturally converged and assimilated into Korean language with passing time, so now Chinese character roughly consists more than 2/3 in the lexicon of Korean. Especially, since 19th century, the new word has been introduced with introducing of foreign culture indiscreetly causing rapidly changing of structure of Korea society during the historical disordered time of Korea. The Chinese characters transliteration, introduced during thatperiod, has been affecting a lot on our Korean language.
      It is only natural that Korean vocabulary is mostly consist of Chinese chracterter when we consider the rel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which is maintained in long period and the geographical situation. However, it is very disgraceful that those Chinese characters transliteration still remains in Korean language. Moreover, even ‘Hunminjeongeum(Korean script) ’was created which is the our own character system of Korea, Koreans have been thoughtlessly taking the word which is based on chinese character without any filtering. This is the fundamental reason the author takes issue with Chinese characters transliteration serious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들어가는 말
      • 2. 한자 음역어의 유입과정 분석
      • 3. 결론
      • ABSTRACT
      • 국문초록
      • 1. 들어가는 말
      • 2. 한자 음역어의 유입과정 분석
      • 3. 결론
      • ABSTRACT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경옥, "현대중국어의 외래어 연구" 12 : 82-, 1997

      2 정기화, "한자의 한국음과 중국음과의 비교연구" 외국어대중국문제연구소 27-, 1976

      3 엄익상, "한국한자음 중국식으로 보기" 한국문화사 2008

      4 이익섭, "한국의 언어" 신구문화사 64-79, 1997

      5 허벽, "한․중 양국어의 어휘 비교연구" 연세대학교출판사 (19) : 1994

      6 김순길,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잉여적 표현 고찰" 국제언어문학회 31 (31): 25-44, 2015

      7 양세열, "중국어의 외래어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8 김효숙, "중국어의 외래어 수용 기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3

      9 최창렬, "우리말 어원연구" 일지사 1986

      10 박지영, "우리 국어 중의 漢字語와 中國語의 語彙 對照 硏究 -中國語 語彙 敎學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회 (18) : 465-496, 2005

      1 손경옥, "현대중국어의 외래어 연구" 12 : 82-, 1997

      2 정기화, "한자의 한국음과 중국음과의 비교연구" 외국어대중국문제연구소 27-, 1976

      3 엄익상, "한국한자음 중국식으로 보기" 한국문화사 2008

      4 이익섭, "한국의 언어" 신구문화사 64-79, 1997

      5 허벽, "한․중 양국어의 어휘 비교연구" 연세대학교출판사 (19) : 1994

      6 김순길,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잉여적 표현 고찰" 국제언어문학회 31 (31): 25-44, 2015

      7 양세열, "중국어의 외래어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8 김효숙, "중국어의 외래어 수용 기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3

      9 최창렬, "우리말 어원연구" 일지사 1986

      10 박지영, "우리 국어 중의 漢字語와 中國語의 語彙 對照 硏究 -中國語 語彙 敎學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회 (18) : 465-496, 2005

      11 임홍빈, "외래어의 개념과 범위의 문제" 18 (18): 5-32, 2008

      12 정희원, "외래어의 개념과 범위" 14 (14): 22-52, 2004

      13 "외래어가 한국어에 끼친 공과(功過)" 14 (14): 23-57, 2004

      14 김용권, "외래어 오용과 남용" 6 (6): 126-, 1996

      15 羅常培, "언어와 문화" 서울대학교출판부 48-58, 2002

      16 안준표, "신시기 한어의 신어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9

      17 박덕유, "문법교육의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역락 33-, 2005

      18 강신항, "널리 쓰이는 외래어와 외국어" 13 (13): 2003

      19 조남호, "나성에 가면 편지를 띄우세요" 국립국어원 2005

      20 이기문, "근세 중국어 차용에 대하여" 8 (8): 195-, 1965

      21 페데리코 마시니, "근대 중국의 언어와 역사" 소명출판사 2005

      22 김무림, "국어의 역사" 한국문화사 218-286, 2004

      23 허웅, "국어순화는 왜 해야 하며 어떻게 해야 하나?" 고려대 民族文化硏究 126-, 1977

      24 허철, "국어사전 등재 어휘를 통해 본 어휘 構成 分析과 漢字의 造語 능력 조사" 동방한문학회 (37) : 289-333, 2008

      25 심재기, "국어 어휘의 출생과 성장" 국민대어문학연구소 25 : 2006

      26 박영섭, "개화기 국어 어휘자료집" 박이정 1997

      27 박영섭, "韓國 漢字語의 起源的 系譜硏究"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87

      28 "韓·中·日 三個國語의 漢字語彙比較硏究" 41 : 47-, 2001

      29 서재극, "開化期 外來語와 新用語" 東西文化 啓明大學校東西文化硏究所 1970

      30 남풍현, "漢字語와 漢字混用" 국어국립원 169-180, 1999

      31 王力, "汉语史稿" 科学出版社 225-, 1958

      32 이능화, "朝鮮基督敎及外交史" 朝鮮基督敎彰文社 1928

      33 박영섭, "國語 漢字語에 대한 小攷" 29 : 342-, 1997

      34 맹주억, "中國의 韓中 二重言語狀況과 中國語의 影響" 1 : 5-52,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4 0.479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