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필리핀 한인교회의 주일예배 관찰을 통한 필리핀 선교 전략 방안 연구 = A Study on Missions Strategy Methods by Observing the Sunday Service of Korean Churches in the Philippin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278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필리핀에서 활동 중인 한인교회는 크게 2가지 유형으로 나눠진다. 첫째, 필리핀인을 주 전도대상으로 선교활동을 하는 교회 유형과 둘째, 한인을 주 목회대상으로 하는 교회 유형이다. 현재까지 발표된 필리핀 선교전략 연구들의 대부분은 첫 번째 유형의 교회들을 위한 연구들로 그 실적이 쌓여져 있는 반면, 두 번째 유형의 한인교회에 대한 연구는 현재 실태 파악이 안 되어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두 번째 유형의 한인교회의 실태와 거기서 나타난 문제점을 발견하여 그 대안들을 기존의 연구들에 접목하여 제언해 보고자 한다.
      선교사가 현지에 파송되어 교회를 세우고 아무리 한인만을 대상으로 목회를 하겠다고 하더라도 선교지에 교회가 세워졌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으며, 현지에서 생활하고 있는 이상 현지인 선교에 대한 부담감이 없을 수 없고, 허드렛일을 하는 현지인이라 할지라도 예수님이 제자들의 발을 닦아 주었듯이 한인교회와 성도들은 필리핀 사람들을 위해 ‘무익한 종(Unworthy Slave)’의 모범을 정기적으로 실천해 나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필리핀의 세부와 마닐라에서 복음을 전하고 있는 한인교회들의 주일의 일상을 관찰하여 조사한 사례연구로 두 번째 유형의 한인교회가 필리핀 선교를 어떻게 전략적으로 전개해 갈 수 있는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필리핀에서 활동 중인 한인교회는 크게 2가지 유형으로 나눠진다. 첫째, 필리핀인을 주 전도대상으로 선교활동을 하는 교회 유형과 둘째, 한인을 주 목회대상으로 하는 교회 유형이다. 현재...

      필리핀에서 활동 중인 한인교회는 크게 2가지 유형으로 나눠진다. 첫째, 필리핀인을 주 전도대상으로 선교활동을 하는 교회 유형과 둘째, 한인을 주 목회대상으로 하는 교회 유형이다. 현재까지 발표된 필리핀 선교전략 연구들의 대부분은 첫 번째 유형의 교회들을 위한 연구들로 그 실적이 쌓여져 있는 반면, 두 번째 유형의 한인교회에 대한 연구는 현재 실태 파악이 안 되어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두 번째 유형의 한인교회의 실태와 거기서 나타난 문제점을 발견하여 그 대안들을 기존의 연구들에 접목하여 제언해 보고자 한다.
      선교사가 현지에 파송되어 교회를 세우고 아무리 한인만을 대상으로 목회를 하겠다고 하더라도 선교지에 교회가 세워졌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으며, 현지에서 생활하고 있는 이상 현지인 선교에 대한 부담감이 없을 수 없고, 허드렛일을 하는 현지인이라 할지라도 예수님이 제자들의 발을 닦아 주었듯이 한인교회와 성도들은 필리핀 사람들을 위해 ‘무익한 종(Unworthy Slave)’의 모범을 정기적으로 실천해 나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필리핀의 세부와 마닐라에서 복음을 전하고 있는 한인교회들의 주일의 일상을 관찰하여 조사한 사례연구로 두 번째 유형의 한인교회가 필리핀 선교를 어떻게 전략적으로 전개해 갈 수 있는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tive Korean churches in the Philippines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First, it is the churches that are mainly engaged in missions activities targeted on local Filipinos. Second, it is the churches that target on Koreans for ministry. Most researches that have been presented about missions strategy in the Philippines until now were accumulated for the first type of churches. Meanwhile, present conditions about research on the second type of Korean churches cannot even be identified. This study will identify the present status of the second type of Korean churches that target on Koreans as well as the problems that appear in the churches to integrate it to previous researches and make a proposal of the measures. Even though Korean churches that target on Koreans in the Philippines are only focused on Koreans for ministry, the churches are built in a mission field and dispatched missionaries are in charge of the ministry, so it is considered that the Koreans should feel responsible about missions for the locals and practice regularly the moral teaching of ‘unworthy slave’ for the Filipinos, just as Jesus washed His disciples’ feet.
      번역하기

      Active Korean churches in the Philippines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First, it is the churches that are mainly engaged in missions activities targeted on local Filipinos. Second, it is the churches that target on Koreans for ministry. Most rese...

      Active Korean churches in the Philippines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First, it is the churches that are mainly engaged in missions activities targeted on local Filipinos. Second, it is the churches that target on Koreans for ministry. Most researches that have been presented about missions strategy in the Philippines until now were accumulated for the first type of churches. Meanwhile, present conditions about research on the second type of Korean churches cannot even be identified. This study will identify the present status of the second type of Korean churches that target on Koreans as well as the problems that appear in the churches to integrate it to previous researches and make a proposal of the measures. Even though Korean churches that target on Koreans in the Philippines are only focused on Koreans for ministry, the churches are built in a mission field and dispatched missionaries are in charge of the ministry, so it is considered that the Koreans should feel responsible about missions for the locals and practice regularly the moral teaching of ‘unworthy slave’ for the Filipinos, just as Jesus washed His disciples’ fee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권대, "효과적인 필리핀 선교전략 수립을 위한 연구 : 기독교대한성결교회 필리핀선교를 중심으로" 서울신학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7

      2 김수진, "효과적인 타문화 선교를 위한 도시선교 전략에 관한 연구: 필리핀 다바오 시를 중심으로" 서울신학대학 2007

      3 계재광, "현대문화속에서 영적성숙을 위한 리더십" 한국실천신학회 (42) : 799-824, 2014

      4 전재옥, "해외 선교의 현황과 문제점" 16 : 223-232, 1996

      5 유승무, "한국인의 사회적 인정 척도와외국인에 대한 이중적 태도" 한국사회역사학회 9 (9): 275-311, 2006

      6 유재현, "한국 제국주의의 부끄러운 얼굴" 83 : 253-270, 2014

      7 장훈태, "필리핀의 이해와 선교" (창간) : 216-279, 1997

      8 조성은, "필리핀 음악 선교 전략 : 민다나오 미전도 종족 중심으로"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14

      9 손훈, "필리핀 소도시의 사회복지를 통한 선교방향연구: 필리핀 Cainta Rizal시를 중심으로" 안양대학 2015

      10 유기남, "필리핀 선교전략소고" 합동신학대학원대학 1985

      1 이권대, "효과적인 필리핀 선교전략 수립을 위한 연구 : 기독교대한성결교회 필리핀선교를 중심으로" 서울신학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7

      2 김수진, "효과적인 타문화 선교를 위한 도시선교 전략에 관한 연구: 필리핀 다바오 시를 중심으로" 서울신학대학 2007

      3 계재광, "현대문화속에서 영적성숙을 위한 리더십" 한국실천신학회 (42) : 799-824, 2014

      4 전재옥, "해외 선교의 현황과 문제점" 16 : 223-232, 1996

      5 유승무, "한국인의 사회적 인정 척도와외국인에 대한 이중적 태도" 한국사회역사학회 9 (9): 275-311, 2006

      6 유재현, "한국 제국주의의 부끄러운 얼굴" 83 : 253-270, 2014

      7 장훈태, "필리핀의 이해와 선교" (창간) : 216-279, 1997

      8 조성은, "필리핀 음악 선교 전략 : 민다나오 미전도 종족 중심으로"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14

      9 손훈, "필리핀 소도시의 사회복지를 통한 선교방향연구: 필리핀 Cainta Rizal시를 중심으로" 안양대학 2015

      10 유기남, "필리핀 선교전략소고" 합동신학대학원대학 1985

      11 손승호, "필리핀 선교전략" 高神大學校 神學大學院 1990

      12 安昌燮, "필리핀 선교의 제자훈련에 관한 한 연구" 총신대학 대학원 1983

      13 김민정, "필리핀 사회의 한국인: ‘침입자’와 ‘이웃’의 사이" 3 : 66-70, 2008

      14 이성찬, "필리핀 사람들의 가치관 이해를 통한 한국 선교사들의 효과적인 선교전략 제언"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 2009

      15 박소현, "필리핀 바세코 도시빈민의 갈등구조속의 선교방안" 백석대학 2014

      16 황태연, "필리핀 문화와 선교" 요나 1996

      17 외교부, "필리핀 개황" 외교부 남아시아태평양국 동남아과 2015

      18 이수환, "포스트모던 시대에 선교 발전을 위한 선교적 멘토링 리더십에 대한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51) : 559-584, 2016

      19 류대영, "초기 미국 선교사 연구(1884-1910): 선교사들의 중산층적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3

      20 권혁찬, "지역교회의 필리핀 선교전략" 침례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06

      21 외교부, "재외동포현황 2017" 재외동포협력과 2017

      22 외교부, "재외동포현황 2015" 재외동포협력과 2015

      23 외교부, "재외동포현황 2013" 재외동포협력과 2013

      24 신경구, "영어의 과잉, 영어인증제의 과잉" 안과 밖 2001

      25 허명섭, "양반이 머슴 섬겼던 한국교회" 크리스천투데이

      26 호레이스 N 알렌, "알렌의 조선 체류기" 예영커뮤니케이션 1996

      27 우길, "세계 240나라의 한국인들. 4 : 동아시아의 개척자들" 금토 2003

      28 이향순, "서구 중심주의에 대한 반성과 아시아 선교, 선교와 신학" 11 : 14-46, 2003

      29 언더우드, L.H, "상투의 나라" 집문당 1999

      30 이종일, "사례분석을 통한 한국 인종편견 특성"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9 (19): 95-120, 2012

      31 윤명근, "바울선교사역에 근거한 필리핀선교전략에 관한 연구" 고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04

      32 이병민, "당신의 영어는 왜 실패하는가- 대한민국에서 영어를 배운다는 것" 우리학교 2014

      33 위형윤, "다원주의에 대한 선교학의 방향에 관한 고찰 - 2000년대 한국교회의 선교적 과제 -" 한국실천신학회 (12) : 97-127, 2007

      34 계재광, "다문화사회에 적합한 교회리더십에 대한 연구2 - 교회의 역할에 대한 교인들의 생각을 중심으로 -" 한국실천신학회 (46) : 539-577, 2015

      35 계재광, "다문화사회 속에서 지역사회를 섬기는 선교적 교회를 위한 리더십연구" 한국실천신학회 (59) : 645-674, 2018

      36 정근하, "교회 오너십(사유화)의 관점에서 본 효과적인 일본선교 방안연구- 한국인 교회에 출석하는 일본인 H양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실천신학회 (58) : 667-701, 2018

      37 김윤성, "개신교 선교와 문화 제국주의: 문화적 헤게모니와 이에 대한 대응" 21 : 31-59, 1998

      38 Dongkyu Choi, "Contextualization of the Missional Church from a Perspective of Incarnation" The Korea Society of Mission Studies 42 : 287-322, 2016

      39 정근하, "A study on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studying English in the Philippines" The Japanese Culture Association of Korea null (null): 97-122, 2018

      40 KWMA, "2017년 12월 한국 선교사 파송 현황(170개국 27,436명)"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1 1.81 1.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3 1.4 0.653 0.6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