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여성평화가설에 기반하여 우리 국민의 통일의식에서의 성차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여성의 모성 경험, 사회ㆍ경제적 조건에 대한 인식, 그리고 페미니스트 의식 수준을 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98751
2020
Korean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99-124(2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여성평화가설에 기반하여 우리 국민의 통일의식에서의 성차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여성의 모성 경험, 사회ㆍ경제적 조건에 대한 인식, 그리고 페미니스트 의식 수준을 통...
본 연구는 여성평화가설에 기반하여 우리 국민의 통일의식에서의 성차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여성의 모성 경험, 사회ㆍ경제적 조건에 대한 인식, 그리고 페미니스트 의식 수준을 통일에 대한 태도와 연계한 후 2019년 통일의식조사 자료를 사용해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여성은 자신을 사회경제적으로 높은 계층으로 인식할수록 통일의 필요성을 덜 느끼지만 같은 조건의 남성보다 통일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덜 부정적이었다. 둘째, 페미니스트 의식 수준이 높을수록 통일편익 주장에 긍정적이었고, 김정은 정권을 대화와 타협이 가능한 상대로 여기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통일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도 불구하고 통일세를 부담하겠다는 적극적 태도까지 이어지지는 못했다. 넷째, 페미니스트 의식 수준이 높을수록 북한이 적화통일의 의도를 가지고 있다고 보며, 경제제재 강화를 통한 북핵 문제 해결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평화 지향적인 태도를 지니기에 남북 간 대화와 타협이 진행되는 것에는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인권 유린국이자 가부장적 체계를 지닌 북한에는 거부감을 지녔음을 보여준다. 결국, 이들은 반통일 세력은 아니지만, 통일로 인한 부담은 회피하고자 하는 소극적 통일 찬성 세력이라는 점에서 북한에서 여성 인권 침해나 반평화적 행위가 두드러지면, 협력적 대북정책에 반대 견해로 쉽게 돌아설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gender gaps in Koreans’ attitudes toward the unification, employing the women and peace hypothesis. It empirically tests the associations between attitudes toward unification and a maternal experience, a self-evaluation of socioe...
This study examines gender gaps in Koreans’ attitudes toward the unification, employing the women and peace hypothesis. It empirically tests the associations between attitudes toward unification and a maternal experience, a self-evaluation of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feminist consciousness by using the 2019 KINU Unification Surve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female respondents assessed their socioeconomic status high, they tended to be less negative toward unification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Second, the higher the feminist consciousness level, the more favorable toward the unification benefits, and the more likely to see the Kim Jong-un regime as a partner for dialogue and compromise. Third, all of the hypotheses were rejected in terms of proactive attitudes toward unification. Fourth, the higher in feminist consciousness, the more likely to think that North Korea had the intention of reunification under communism and prefer solving the nuclear crisis through intensifying economic sanctions. Consequently, females who rank their socioeconomic status low and those who have strong feminist consciousness tend to favor the unification itself but not proactive toward achieving the unification. Thus, they may turn against a cooperative policy toward North Korea if they observe peace-threatening measures and women’s rights violations by the North Korean regim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내영, "한국인의 통일의식의 결정요인: 새로운 분석모델의 모색"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22 (22): 167-206, 2014
2 최우선, "통일인식 차이의 원인: 합리주의적 설명" 아세아문제연구원 59 (59): 84-112, 2016
3 구본상, "통일의식에서의 영호남 지역 차에 대한 경험적 분석" 분쟁해결연구센터 17 (17): 107-135, 2019
4 백대현, "통일의식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통일편익과 비용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25 (25): 205-223, 2015
5 최준영, "통일의 이익에 대한 차별적 인식과 통일의 필요성" 세종연구소 22 (22): 113-138, 2016
6 박수진, "문재인이 ‘페미니스트 대통령이 되겠다’며 성평등 공약을 발표했다"
7 김영준, "국제정치학에서 여성 평화 가설의 발전과 한계에 대한 탐색적 고찰"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8 (18): 7-31, 2017
8 류현숙, "국민의 대북 안보의식 조사" 한국행정연구원 사회조사센터 2013
9 Chang, Patty, "Women Leading Peace: A Close Examination of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in Peace Processes in Northern Ireland, Guatemala, Kenya and the Philippines" Georgetown Institute for Women, Peace and Security 2015
10 White House, "United States Strategy on Women, Peace, and Security"
1 이내영, "한국인의 통일의식의 결정요인: 새로운 분석모델의 모색"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22 (22): 167-206, 2014
2 최우선, "통일인식 차이의 원인: 합리주의적 설명" 아세아문제연구원 59 (59): 84-112, 2016
3 구본상, "통일의식에서의 영호남 지역 차에 대한 경험적 분석" 분쟁해결연구센터 17 (17): 107-135, 2019
4 백대현, "통일의식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통일편익과 비용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25 (25): 205-223, 2015
5 최준영, "통일의 이익에 대한 차별적 인식과 통일의 필요성" 세종연구소 22 (22): 113-138, 2016
6 박수진, "문재인이 ‘페미니스트 대통령이 되겠다’며 성평등 공약을 발표했다"
7 김영준, "국제정치학에서 여성 평화 가설의 발전과 한계에 대한 탐색적 고찰"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8 (18): 7-31, 2017
8 류현숙, "국민의 대북 안보의식 조사" 한국행정연구원 사회조사센터 2013
9 Chang, Patty, "Women Leading Peace: A Close Examination of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in Peace Processes in Northern Ireland, Guatemala, Kenya and the Philippines" Georgetown Institute for Women, Peace and Security 2015
10 White House, "United States Strategy on Women, Peace, and Security"
11 Maoz, Ifat, "Threat, Dehumanization, and Support for Retaliatory Aggressive Policies in Asymmetric Conflict" 52 (52): 93-116, 2008
12 Maoz, Ifat, "The Women and Peace Hypothesis? The Effect of Opponent-negotiators’ Gender on Evaluation of Compromise Solutions in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14 (14): 519-536, 2009
13 Chang, Han Il, "The Impact of the 2018 North Korea-United States summit on South Koreans’ altruism toward and trust in North Korean refugees: Betweensubjects design around the summit"
14 Jelen, Ted, "The Gender Gap in Comparative Perspective:Gender Differences in Abstract Ideology and Concrete Issues in Western Europe" 25 (25): 171-186, 1994
15 Wilcox, Clyde, "The Gender Gap in Attitudes toward the Gulf War : A Cross-national Perspective" 33 (33): 67-82, 1996
16 Inglehart, Ronald, "The Developmental Theory of Gender Gap : Women’s and Men’s Voting Behavior in Global Perspective" 12 (12): 441-463, 2000
17 Hudson, Valerie, "Sex & World Peac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2
18 Ho, Arnold, "SDO7 8-item Short Scale"
19 Caprioli, Mary, "Primed for Violence : The Role of Gender Equality in Predicting International Conflict" 49 (49): 161-178, 2005
20 Human Right Watch, "North Korea: Event of 2018. World Report 2019"
21 Paffenholz, Thania, "Making Women Count-Not Just Counting Women: Assessing Women’s Inclusion and Influence on Peace Negotiations" Inclusive Peace and Transition Initiative (The Graduate Institute of International and Development Studies) and UN Women 2016
22 이상신, "KINU 통일의식조사 2018: 남북평화시대의 통일의식" 통일연구원 2018
23 Wilcox, Clyde, "Group Differences in Early Support for Military Action in the Gulf : The Effects of Gender, Generation, and Ethnicity" 21 (21): 343-359, 1993
24 Caprioli, Mary, "Gendered Conflict" 37 (37): 53-68, 2000
25 David, Yossi, "Gender-emphatic Constructions, Empathy, and Support for Compromise in Intractable Conflict" 62 (62): 1727-1752, 2018
26 Caprioli, Mary, "Gender, Violence and International Crisis" 45 (45): 503-518, 2001
27 Tessler, Mark, "Gender, Feminism and Attitudes toward International Conflict : Exploring Relationships with Survey Data from the Middle East" 49 (49): 250-281, 1997
28 David, Yossi, "Gender Perceptions and Support for Compromise in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21 (21): 295-298, 2015
29 Caprioli, Mary, "Gender Equality and State Aggression : The Impact of Domestic Gender Equality on State First Use of Force" 29 (29): 195-214, 2003
30 Bendyna, Mary E., "Gender Differences in Public Attitudes toward the Gulf War : A Test of Competing Hypotheses" 33 (33): 1-22, 1996
31 Tessler, Mark, "Further Tests of the Women and Peace Hypothesis : Evidence from Cross-National Survey Research in the Middle East" 43 (43): 519-531, 1999
32 Cook, Elizabeth, "Feminism and the Gender Gap: A Second Look" 53 (53): 1111-1122, 1991
33 구본상, "ARS 조사방식과 젊은 연령대 여성 표집의 실패: 정치적 의견이 강한 유권자들 비율에서의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조사연구학회 18 (18): 31-60, 2017
플라톤적 철학적 주체성에 대한 푸코 식 고찰 : 플라톤적 자기 배려와 ‘플라톤주의의 역설’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 숨겨진 뜻으로서 ‘정치교육’
행정권의 제한으로서의 법률 그리고 합헌적 행정권 : 로렌츠 폰 슈타인(Lorenz von Stein)의 법치국가론
네트워크 문화거버넌스 모델로 분석한 선진 5개국 유네스코외교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8 | 0.98 | 1.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8 | 1.03 | 1.653 | 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