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품유형에 따른 은유적 표현의 광고가 브랜드 흥미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Metaphorical Expression Advertising on Brand Interest and Brand Attitude According to Product Typ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379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metaphors as a advertising creative strategy to differentiate from competitors. Metaphorical advertisements attract attention, make consumers curious and entertained, and quickly convey product and brand messages. In this study, the differences in consumer responses were tested using a Between-Groups Design by categorizing into search good-factual, search good-metaphorical, experience good-factual, and experience good-metaphorical according to product type and expression type. The experimental products for this study are cars(search good) and dog shampoo(experience good), and advertising attitude, brand interest, brand attitude, and purchase satisfaction were measured to verify consumer responses. The results showed that metaphorical expression advertisements were more effective than realistic expression advertisements in all dependent variable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Looking at product type and expression type separately, advertising attitude and purchase satisfaction were highest for experience good-metaphorical expression advertisements, and brand interest and brand attitude were highest for search good-metaphorical expression advertisements.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effectiveness of metaphorical advertisements can vary depending on the product type and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metaphorical advertising practices.
      번역하기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metaphors as a advertising creative strategy to differentiate from competitors. Metaphorical advertisements attract attention, make consumers curious and entertained, and quickly convey product and brand messages. In this ...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metaphors as a advertising creative strategy to differentiate from competitors. Metaphorical advertisements attract attention, make consumers curious and entertained, and quickly convey product and brand messages. In this study, the differences in consumer responses were tested using a Between-Groups Design by categorizing into search good-factual, search good-metaphorical, experience good-factual, and experience good-metaphorical according to product type and expression type. The experimental products for this study are cars(search good) and dog shampoo(experience good), and advertising attitude, brand interest, brand attitude, and purchase satisfaction were measured to verify consumer responses. The results showed that metaphorical expression advertisements were more effective than realistic expression advertisements in all dependent variable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Looking at product type and expression type separately, advertising attitude and purchase satisfaction were highest for experience good-metaphorical expression advertisements, and brand interest and brand attitude were highest for search good-metaphorical expression advertisements.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effectiveness of metaphorical advertisements can vary depending on the product type and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metaphorical advertising practi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경쟁사와의 차별화된 광고 크리에이티브 전략으로 은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은유광고는 소비자들에게 주의를 끌어 호기심과 즐거움을 느끼게 하고 제품과 브랜드 메시지를 신속하게 전달한다. 본 연구는 제품유형과 표현유형에 따라 탐색재-사실적, 탐색재-은유적, 경험재-사실적, 경험재-은유적으로 구분하여 소비자 반응의 차이를 집단 간 설계(Between-Groups Design)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실험제품은 승용차(탐색재)와 애견샴푸(경험재)이며, 소비자 반응 검증을 위해 광고태도, 브랜드 흥미, 브랜드 태도, 구매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모든 종속변인에서 은유적 표현의 광고가 사실적 표현의 광고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더욱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유형과 표현유형을 구분하여 살펴보면 광고태도와 구매만족도는 경험재 –은유적 표현의 광고가 가장 높았으며, 브랜드 흥미와 브랜드 태도는 탐색재-은유적 표현의 광고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은유광고의 효과가 제품유형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을 검증함과 동시에 은유광고 제작 실무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경쟁사와의 차별화된 광고 크리에이티브 전략으로 은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은유광고는 소비자들에게 주의를 끌어 호기심과 즐거움을 느끼게 하고 제품과 브랜드 메시지를 신속하...

      경쟁사와의 차별화된 광고 크리에이티브 전략으로 은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은유광고는 소비자들에게 주의를 끌어 호기심과 즐거움을 느끼게 하고 제품과 브랜드 메시지를 신속하게 전달한다. 본 연구는 제품유형과 표현유형에 따라 탐색재-사실적, 탐색재-은유적, 경험재-사실적, 경험재-은유적으로 구분하여 소비자 반응의 차이를 집단 간 설계(Between-Groups Design)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실험제품은 승용차(탐색재)와 애견샴푸(경험재)이며, 소비자 반응 검증을 위해 광고태도, 브랜드 흥미, 브랜드 태도, 구매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모든 종속변인에서 은유적 표현의 광고가 사실적 표현의 광고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더욱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유형과 표현유형을 구분하여 살펴보면 광고태도와 구매만족도는 경험재 –은유적 표현의 광고가 가장 높았으며, 브랜드 흥미와 브랜드 태도는 탐색재-은유적 표현의 광고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은유광고의 효과가 제품유형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을 검증함과 동시에 은유광고 제작 실무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인혁 ; 유승엽 ; 이철선, "제품유형과 제품친숙성에 따른 온라인 소비자의 브랜드 의존도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5 (5): 5-5, 2004

      2 김규철, "인쇄광고의 시각적 은유 수준별 광고효과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5 (5): 355-364, 2004

      3 박은아, "온라인 사용후기가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18 (18): 2007

      4 샤라 ; 이종민, "시각적 은유광고에서 헤드라인의 유형에 따른 효과 차이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30 (30): 115-146, 2017

      5 안은미, "시각적 은유광고에서 시각적 배경이미지와 제품 간의 연상강도가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확산성과 관련성 및 창의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6 (16): 541-560, 2015

      6 우석봉 ; 성영신, "비주얼의 기대불일치성과 표현 독특성 :독창적 광고비주얼의 광고효과" 한국광고학회 16 (16): 219-250, 2005

      7 성영신, "브랜드 흥미에 영향을 미치는 감정반응" 9 (9): 1998

      8 이재영 ; 이종민, "모바일 배너 광고의 메시지 표현 유형과 수사적 표현 방식에 따른 광고 효과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18 (18): 82-108, 2016

      9 이현정 ; 이두희 ; 류강석, "다의적 모호성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인지적 자원과 제품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34 (34): 167-188, 2005

      10 안현정, "광고크리에이티브에 있어서 시각적 은유의 수용자 반응에 대한 연구 : 2002-2006년 까지 대한민국 광고대상 인쇄매체 수상작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1 최인혁 ; 유승엽 ; 이철선, "제품유형과 제품친숙성에 따른 온라인 소비자의 브랜드 의존도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5 (5): 5-5, 2004

      2 김규철, "인쇄광고의 시각적 은유 수준별 광고효과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5 (5): 355-364, 2004

      3 박은아, "온라인 사용후기가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18 (18): 2007

      4 샤라 ; 이종민, "시각적 은유광고에서 헤드라인의 유형에 따른 효과 차이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30 (30): 115-146, 2017

      5 안은미, "시각적 은유광고에서 시각적 배경이미지와 제품 간의 연상강도가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확산성과 관련성 및 창의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6 (16): 541-560, 2015

      6 우석봉 ; 성영신, "비주얼의 기대불일치성과 표현 독특성 :독창적 광고비주얼의 광고효과" 한국광고학회 16 (16): 219-250, 2005

      7 성영신, "브랜드 흥미에 영향을 미치는 감정반응" 9 (9): 1998

      8 이재영 ; 이종민, "모바일 배너 광고의 메시지 표현 유형과 수사적 표현 방식에 따른 광고 효과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18 (18): 82-108, 2016

      9 이현정 ; 이두희 ; 류강석, "다의적 모호성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인지적 자원과 제품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34 (34): 167-188, 2005

      10 안현정, "광고크리에이티브에 있어서 시각적 은유의 수용자 반응에 대한 연구 : 2002-2006년 까지 대한민국 광고대상 인쇄매체 수상작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11 이병관 ; 문영숙, "광고 비주얼과 카피의 구조적 관계유형 분석연구"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8 (8): 235-257, 2007

      12 MacKenzie, S. B., "The Role of Attention in Mediating the Effect of Advertising on Attribute Importance" 13 : 1986

      13 Homer, Pamela M., "The Mediating Role of Attitude Toward the Ad" 27 : 1990

      14 Low, G., "The Measurement and Dimensionality of Brand Associations" 9 (9): 2000

      15 Ang, S. H., "The Influence of Metaphors and Product Type on Brand Personality Perceptions and Attitudes" 35 (35): 2006

      16 Holbrook, Morris B., "The Experiential Aspects of Consumption" 9 (9): 1982

      17 Desai, K. K., "The Effects of Ingredient Branding Strategies on Host Brand Extendibility" 66 (66): 2002

      18 Burton, Scot, "The Effect of Ad Claims and Ad Context on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 17 (17): 1988

      19 Machleit, K. A., "Measuring and Modeling Brand Interest as an Alternative aad Effect with Familiar Brand" 17 : 1990

      20 Nelson, P. J., "Information and Consumer Behavior" 78 (78): 1970

      21 Klein, L. R., "Evaluating the Potential of Interactive Media through a New Lens" 41 : 1998

      22 Heiser, R. S., "Creativeity Viacartoon Spokes People in Print Ads" 37 : 2008

      23 신종국, "A Study on the Differential Effect of Metaphoric Advertisement by Types of Product and Possibilities of Comprehension" 한국마케팅관리학회 15 (15): 1-20, 2010

      24 Spreng, R, A., "A Reexamination of the Determinants of Customer Satisfaction" 60 :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