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학 수업 준비과정에서 실습 지도교사의 지도 활동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199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뤄진 수업실습에서 실습지도 교사가 예비교사에게 어떤 지도활동을 하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교육실습에서 예비교사가 한 차시의 수학수업을 준비해서 수업하기까지 실습지도 교사와 예비교사 사이에 이뤄지는 지도활동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교육실습에서 실제로 지도교사는 어떤 역할을 하며 예비교사는 수업준비과정에서 지도교사로부터 어떤 도움과 지도를 받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후의 교육실습의 개선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G시에 소재한 교육대학교 3학년 두 학급 54명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4주간 이뤄진 수업실습에서 수학수업을 하도록 한 후 수업준비과정에서 실습지도 교사의 지도활동을 일기형태로 기록하도록 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실습지도 교사는 지도활동 중 ‘수업 단계, 학생수준을 고려한 수업 설계하기’와 관련된 지도활동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이와 함께 단순히 지도안작성을 위해 형식을 통일시키는 것과 같은 지도활동의 비중이 두 번째로 높은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좀 더 실질적인 교육실습 지도활동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습지도 교사의 지도활동을 바탕으로 실습지도 교사의 역할을 방임형, 관리형, 지도형, 협력형의 네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이 중 지도형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지도활동이 거의 이뤄지지 않는 관리형과 방임형도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통해서 보다 성공적인 교육실습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계획과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뤄진 수업실습에서 실습지도 교사가 예비교사에게 어떤 지도활동을 하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교육...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뤄진 수업실습에서 실습지도 교사가 예비교사에게 어떤 지도활동을 하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교육실습에서 예비교사가 한 차시의 수학수업을 준비해서 수업하기까지 실습지도 교사와 예비교사 사이에 이뤄지는 지도활동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교육실습에서 실제로 지도교사는 어떤 역할을 하며 예비교사는 수업준비과정에서 지도교사로부터 어떤 도움과 지도를 받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후의 교육실습의 개선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G시에 소재한 교육대학교 3학년 두 학급 54명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4주간 이뤄진 수업실습에서 수학수업을 하도록 한 후 수업준비과정에서 실습지도 교사의 지도활동을 일기형태로 기록하도록 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실습지도 교사는 지도활동 중 ‘수업 단계, 학생수준을 고려한 수업 설계하기’와 관련된 지도활동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이와 함께 단순히 지도안작성을 위해 형식을 통일시키는 것과 같은 지도활동의 비중이 두 번째로 높은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좀 더 실질적인 교육실습 지도활동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습지도 교사의 지도활동을 바탕으로 실습지도 교사의 역할을 방임형, 관리형, 지도형, 협력형의 네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이 중 지도형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지도활동이 거의 이뤄지지 않는 관리형과 방임형도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통해서 보다 성공적인 교육실습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계획과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aching activities of guidance teachers in student teachers' planning mathematics lesson and the role of guidance teachers in teaching practicum. To fulfill the purpose, 54 student teachers participated in teaching practicum in G university of education located in G city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gathered data by asking student teachers to record the interaction process with guidance teachers in detail. By analyzing the teaching activities, the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guidance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in student teachers' planning a lesson were focused on the strategies of teaching and organiz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ability level of students in the classroom. Second, four types of guidance teachers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teaching activities as noninterference, supervision, guidance, cooperation. Most of guidance teachers can be indexed as guidance. Third, more effective teaching practicum, guidance teachers need to understand the role of guidance teacher in teaching practicum and systemic program for teaching practicum should be develop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aching activities of guidance teachers in student teachers' planning mathematics lesson and the role of guidance teachers in teaching practicum. To fulfill the purpose, 54 student teachers particip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aching activities of guidance teachers in student teachers' planning mathematics lesson and the role of guidance teachers in teaching practicum. To fulfill the purpose, 54 student teachers participated in teaching practicum in G university of education located in G city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gathered data by asking student teachers to record the interaction process with guidance teachers in detail. By analyzing the teaching activities, the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guidance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in student teachers' planning a lesson were focused on the strategies of teaching and organiz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ability level of students in the classroom. Second, four types of guidance teachers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teaching activities as noninterference, supervision, guidance, cooperation. Most of guidance teachers can be indexed as guidance. Third, more effective teaching practicum, guidance teachers need to understand the role of guidance teacher in teaching practicum and systemic program for teaching practicum should be develop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1. 교육설습
      • 2. 교육실습의 유형
      • 요약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1. 교육설습
      • 2. 교육실습의 유형
      • 3. 실습지도 교사의 역할
      •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 1. 연구 대상
      • 2.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 3. 자료 분석
      • IV. 연구 결과
      • 1. 수업실습에서의 담당 시수
      • 2. 학년 배정
      • 3. 배정 수학수업의 교육과정 영역
      • 4. 실습지도 교사와의 미팅 횟수
      • 5. 실습지도 교사의 지도활동 시간
      • 6. 한 차시 수학수업을 위한 준비 시간
      • 7. 수학수업준비를 위한 참고자료
      • 8. 실습지도 교사의 지도활동
      • V.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효숙, "초등교사의 교육실습 지도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 이창덕, "초등교사 자격 및 교육과정 최소기준 개발 연구: 교사교육프로그램개발연구과제" 교육인적자원부 2005

      3 권칠종, "초등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실습 제도와 그 운영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4 이은화, "유아교사론" 양서원 1995

      5 공주교육대학교, "예비교사를 위한 종합실습안내" 공주교육대학교 2011

      6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수업평가 매뉴얼-수학과 수업평가 기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7 박영만, "교육실습제도 개선 연구(교사교육프로그램개발과제 2003-2)" 교육인적자원부 2003

      8 한국교원교육학회, "교육실습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01

      9 신석주, "교육실습생의 실습 효과 차이 분석:교생지도교사의 반성적 교육 실습 프로그램 연수 실시 여부에 따라"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0 장기희, "교육실습 지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지도교사와 교생의 인식비교"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 김효숙, "초등교사의 교육실습 지도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 이창덕, "초등교사 자격 및 교육과정 최소기준 개발 연구: 교사교육프로그램개발연구과제" 교육인적자원부 2005

      3 권칠종, "초등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실습 제도와 그 운영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4 이은화, "유아교사론" 양서원 1995

      5 공주교육대학교, "예비교사를 위한 종합실습안내" 공주교육대학교 2011

      6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수업평가 매뉴얼-수학과 수업평가 기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7 박영만, "교육실습제도 개선 연구(교사교육프로그램개발과제 2003-2)" 교육인적자원부 2003

      8 한국교원교육학회, "교육실습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01

      9 신석주, "교육실습생의 실습 효과 차이 분석:교생지도교사의 반성적 교육 실습 프로그램 연수 실시 여부에 따라"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0 장기희, "교육실습 지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지도교사와 교생의 인식비교"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1 황미자, "교육실습 담당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지각 차이"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2 김재복, "교육발전을 위한 교원양성체제의 혁신.교육발전을 위한 교원양성체제 혁신 방향" 2004

      13 김기태, "교육대학 교육실습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논총 14 : 107-124, 1998

      14 Brooks, V, "The good mentor guide:initial teacher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Open University Press 1997

      15 Clark, C. M, "Teachers' thought process, In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MacMillan 225-296, 1986

      16 Fish,D, "Quality mentoring for student teachers:A principled approach to practice" David Fulton Publishers 1995

      17 Shane,R, "Context and content: What are student teachers learning about teaching mathematics?, In Researching mathematics classroom: A critical examination of methodology" Praeger Publishers 119-154, 2002

      18 황윤한, "21세기 초등학교 교육에 대처하는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의 새 패러다임.대전환기의 교육 패러다임(Ⅲ):교육의 방법․내용,교육정보화" 229-261,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9 1.328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