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구려의 강원도 진출과 의의 = Gangwon-do province expansion and significance of Gogurye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1360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강원도 일원은 고고자료가 상당수 축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三國을 중심으로 역사를 서술하는 학계의 시각, 문헌 사료의 소략함 등으로 인하여 한국 고대 영역사에 있어서 일종의‘공백지대’혹은‘문화의 섬’과 같은 존재로 취급되어 왔다. 하지만 청동기시대부터 확인되는 복합적인 사회 조직들은 이후 동예, 동옥저 등과 같은 소국으로 성장하였으며, 지형적 특징으로 인해 타 지역과 다른 독자적이면서 폐쇄적인 문화권을 형성해온 강원도의 문화적 특징은 고구려가 강원도로 진출한 이후에도 유지된 것으로 보인다. 문헌사료를 보면 고구려가 강원도에 군현을 설치하여 본격적으로 경영함으로써 한반도 중남부로 진출하는 교통로를 확보하고, 말갈로 대변되는 강원도 일대의 정치체를 반독립적인 附庸세력으로 삼아 백제와 신라를 견제하거나, 한반도 중부 이남으로 세력권 확대를 시도했을 때, 그 尖兵으로 내세우기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실제 고구려가 강원도를 경영했다고 볼 수 있는 직접적인 물질자료는 많지 않다. 이에 본고에서는 고구려가 강원도 일원에 남긴 흔적을 토대로 고구려의 강원도 진출 및 경영에 대한 전말을 추론하면서 문헌사료
      와 고고자료의 차이가 발생한 이유에 대해 고민해 보았다. 더불어 고구려 전후로 강원도에 진출했던 백제 및 신라와 비교하면서 삼국의 강원도 일원에 대한 지배 방식의 차이, 국가체제의 차이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고구려의 강원도 경영 방식이 제국체제에 걸맞는, 변경에 대한 효율적인 통치 방식이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이는 단기간의 세력 확장에는 유리했지만, 장기적인 영토 경영에는 불리하였고, 그로 인해 결국 고구려는 신라에게 강원도 일원을 내주면서 한반도 중부 지역의 패권마저 잃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강원도 일원은 고고자료가 상당수 축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三國을 중심으로 역사를 서술하는 학계의 시각, 문헌 사료의 소략함 등으로 인하여 한국 고대 영역사에 있어서 일종의‘...

      강원도 일원은 고고자료가 상당수 축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三國을 중심으로 역사를 서술하는 학계의 시각, 문헌 사료의 소략함 등으로 인하여 한국 고대 영역사에 있어서 일종의‘공백지대’혹은‘문화의 섬’과 같은 존재로 취급되어 왔다. 하지만 청동기시대부터 확인되는 복합적인 사회 조직들은 이후 동예, 동옥저 등과 같은 소국으로 성장하였으며, 지형적 특징으로 인해 타 지역과 다른 독자적이면서 폐쇄적인 문화권을 형성해온 강원도의 문화적 특징은 고구려가 강원도로 진출한 이후에도 유지된 것으로 보인다. 문헌사료를 보면 고구려가 강원도에 군현을 설치하여 본격적으로 경영함으로써 한반도 중남부로 진출하는 교통로를 확보하고, 말갈로 대변되는 강원도 일대의 정치체를 반독립적인 附庸세력으로 삼아 백제와 신라를 견제하거나, 한반도 중부 이남으로 세력권 확대를 시도했을 때, 그 尖兵으로 내세우기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실제 고구려가 강원도를 경영했다고 볼 수 있는 직접적인 물질자료는 많지 않다. 이에 본고에서는 고구려가 강원도 일원에 남긴 흔적을 토대로 고구려의 강원도 진출 및 경영에 대한 전말을 추론하면서 문헌사료
      와 고고자료의 차이가 발생한 이유에 대해 고민해 보았다. 더불어 고구려 전후로 강원도에 진출했던 백제 및 신라와 비교하면서 삼국의 강원도 일원에 대한 지배 방식의 차이, 국가체제의 차이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고구려의 강원도 경영 방식이 제국체제에 걸맞는, 변경에 대한 효율적인 통치 방식이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이는 단기간의 세력 확장에는 유리했지만, 장기적인 영토 경영에는 불리하였고, 그로 인해 결국 고구려는 신라에게 강원도 일원을 내주면서 한반도 중부 지역의 패권마저 잃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Gangwon-do province(江原道)’has profuse archaeological materials, it has been considered as ‘Vacuum area’or ‘Culture Island’in ancient history of Korean territory because of inattention to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and academical tendency focusing on narrating history about Three Kingdom period. However, multiple social organizations from Bronze-age repeated development and became the base of small states such as Dongye(東濊) and Dongokjeo(東沃沮). Also, it seems the independent and exclusiv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Gangwon-do province based on the geographical feature had continued after Goguryeo entered into Gangwon-do province. Refer to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by establishing Gun-hyeon(郡縣, counties and prefectures), Goguryeo started to rule Gangwon-do province in earnest. Goguryeo hereby secured the route for entry into the south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made local polities represented by Mohe halfway independent confederate powers to check Baekje and Silla. Also, Goguryeo placed them as the advance guard when Goguryeo attempted to expand its power into the south of the central Korean Peninsula. However, there are not many direct archaeological materials which prove that Goguryeo administered Gangwon-do province indeed. Therefore I infer the details regarding how Goguryeo advanced into Gangwon-do province and managed it, and attempt to figure out the reason which caused the differences between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and archaeological materials in this study. In addition, I examine the differences in ruling system and national system among Three kingdoms. As a result, I ascertain that the ruling system of Goguryeo over Gangwon-do province was effective way to control fringeland which was suitable for empire system. It was advantageous to expand the
      influence in a short time, but it was unfavorable in terms of the long-term territory management. Consequently, Goguryeo was deprived Gangwon-do province by Silla and lost its supremacy over the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번역하기

      Although ‘Gangwon-do province(江原道)’has profuse archaeological materials, it has been considered as ‘Vacuum area’or ‘Culture Island’in ancient history of Korean territory because of inattention to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and a...

      Although ‘Gangwon-do province(江原道)’has profuse archaeological materials, it has been considered as ‘Vacuum area’or ‘Culture Island’in ancient history of Korean territory because of inattention to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and academical tendency focusing on narrating history about Three Kingdom period. However, multiple social organizations from Bronze-age repeated development and became the base of small states such as Dongye(東濊) and Dongokjeo(東沃沮). Also, it seems the independent and exclusiv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Gangwon-do province based on the geographical feature had continued after Goguryeo entered into Gangwon-do province. Refer to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by establishing Gun-hyeon(郡縣, counties and prefectures), Goguryeo started to rule Gangwon-do province in earnest. Goguryeo hereby secured the route for entry into the south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made local polities represented by Mohe halfway independent confederate powers to check Baekje and Silla. Also, Goguryeo placed them as the advance guard when Goguryeo attempted to expand its power into the south of the central Korean Peninsula. However, there are not many direct archaeological materials which prove that Goguryeo administered Gangwon-do province indeed. Therefore I infer the details regarding how Goguryeo advanced into Gangwon-do province and managed it, and attempt to figure out the reason which caused the differences between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and archaeological materials in this study. In addition, I examine the differences in ruling system and national system among Three kingdoms. As a result, I ascertain that the ruling system of Goguryeo over Gangwon-do province was effective way to control fringeland which was suitable for empire system. It was advantageous to expand the
      influence in a short time, but it was unfavorable in terms of the long-term territory management. Consequently, Goguryeo was deprived Gangwon-do province by Silla and lost its supremacy over the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강원도의 정치체
      • Ⅲ. 삼국의 강원도 진출 및 경영
      • Ⅳ. 고구려와 강원도 : 중앙과 변경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강원도의 정치체
      • Ⅲ. 삼국의 강원도 진출 및 경영
      • Ⅳ. 고구려와 강원도 : 중앙과 변경
      • Ⅴ.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도학, "樂浪郡의 推移와 嶺西 地域 樂浪" 동아시아고대학회 (34) : 3-34, 2014

      2 신광철, "황해도 일대의 고구려 관방체계와 남부전선의 변화" 한국고대학회 (35) : 189-224, 2011

      3 원주지방국토관리청, "화천 거례리 유적–4대강 살리기 북한강 12공구 거례1지구 4구간A·C~F구역 : 사진" 2013

      4 심재연, "한성백제기의 영동 영서" 중부고고학회 8 (8): 51-68, 2009

      5 김미경, "한국사의 전개–하현강교수정년기념논총–" 하현강교수정년기념논총간행위원회 2000

      6 조이옥, "한국고대사의 주변 : 말갈에 대한 연구현황과 과제" 온지학회 (24) : 239-262, 2010

      7 김성남, "한국고대 전쟁양상과 정치체제의 변화 : 국가형성과 제국체제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1

      8 문안식, "한국 고대사와 말갈" 혜안 2003

      9 구의동보루간행위원회, "한강유역의 고구려 요새" 도서출판소화 1997

      10 신광철, "한강유역 고구려 관방시설을 통해 본 고구려 남부전선 주둔부대의 성격과 군사전략"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1 이도학, "樂浪郡의 推移와 嶺西 地域 樂浪" 동아시아고대학회 (34) : 3-34, 2014

      2 신광철, "황해도 일대의 고구려 관방체계와 남부전선의 변화" 한국고대학회 (35) : 189-224, 2011

      3 원주지방국토관리청, "화천 거례리 유적–4대강 살리기 북한강 12공구 거례1지구 4구간A·C~F구역 : 사진" 2013

      4 심재연, "한성백제기의 영동 영서" 중부고고학회 8 (8): 51-68, 2009

      5 김미경, "한국사의 전개–하현강교수정년기념논총–" 하현강교수정년기념논총간행위원회 2000

      6 조이옥, "한국고대사의 주변 : 말갈에 대한 연구현황과 과제" 온지학회 (24) : 239-262, 2010

      7 김성남, "한국고대 전쟁양상과 정치체제의 변화 : 국가형성과 제국체제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1

      8 문안식, "한국 고대사와 말갈" 혜안 2003

      9 구의동보루간행위원회, "한강유역의 고구려 요새" 도서출판소화 1997

      10 신광철, "한강유역 고구려 관방시설을 통해 본 고구려 남부전선 주둔부대의 성격과 군사전략"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11 徐榮一, "충북의 고대사회" 충북학연구소 2002

      12 최복규, "춘천지역의 유적과 맥국" 江原大學校人文科學硏究所 17 : 2007

      13 안신원, "최근 한강 이남에서 발견된 고구려계 고분" 고구려발해학회 36 : 71-96, 2010

      14 강인욱, "철기시대 한국과 연해주" 주류성출판사 2009

      15 沈載淵, "철기시대 한국과 연해주" 주류성출판사 2009

      16 최성락, "철기시대 토기의 실체와 연구방향" 역사문화학회 5 (5): 29-66, 2002

      17 송만영, "중부지방 취락고고학 연구" 서경문화사 2013

      18 김준규, "중도식무문토기 상대편년 연구 : 경기 북부·강원 영서 지역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19 박대재, "중국 고문헌에 나타난 고대 조선과 예맥" 景仁文化社 2013

      20 남상원, "제작 기술을 통해 본 백제 흑색마연토기의 의미" 한국고고학회 (89) : 94-137, 2013

      21 Peter Turchin, "제국의 탄생" 웅진지식하우스 2011

      22 박휘락, "전쟁, 전략, 군사입문" 法文社 2007

      23 성정용, "원삼국시대" 충청남도지편찬위원회 3 : 2006

      24 권오영, "원삼국기 한강유역 정치체의 존재양태와 백제국가의 통합양상" 중부고고학회 8 (8): 31-49, 2009

      25 박중국, "원삼국~삼국시대(백제한성기) 중부지역의 시공적 정체성–중도문화를 중심으로–" 중부고고학회 2014

      26 Nicola Di Cosmo, "오랑캐의 탄생" 황금가지 2005

      27 (재)江原考古文化硏究院, "영월정양산성(사적제446호) 4차정밀발굴조사약식보고서" 2013

      28 (재)江原考古文化硏究院, "영월정양산성(사적제446호) 3차정밀발굴조사약식보고서" 2012

      29 (재)江原考古文化硏究院, "영월정양산성(사적제446호) 2차정밀발굴조사약식보고서" 2011

      30 홍영호, "양양 후포매리 신라 산성의 고찰" 한국고대학회 (30) : 285-317, 2009

      31 서영일, "신라의 국가형성과 발전단계에 따른 방어체계 연구" 신라문화연구소 34 (34): 1-30, 2009

      32 김창겸, "신라의 東北方 진출과 異斯夫의 于山國 정복 출항지" 한국사학회 (101) : 45-80, 2011

      33 徐榮一, "신라 육상 교통로 연구" 학연문화사 1999

      34 장창은, "신라 상고기 고구려 관계와 정치세력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7

      35 박노석, "서기 3세기의 고구려의 동해안 지역 진출" 全北史學會 23 : 2000

      36 강종훈, "상고기 신라의 영역 확장과정과 지방통치방식" 한국역사연구회 31 : 1999

      37 권오영, "삼한의 사회구성에 대한 연구" 서울大學校大學院 1996

      38 홍보식, "삼국시대의 이주와 생활 유형" 한국고고학회 (87) : 42-75, 2013

      39 (재)江原考古文化硏究院, "사적 제446호 영월 정양산성 내성 건물지 내 유적발굴조사 약보고서" 2010

      40 朴淳發, "백제百濟, 마한馬韓을 담다" 백제역사문화관·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9

      41 송호정, "두만강 유역의 고대문화와 정치집단의 성장" 호서사학회 (50) : 27-64, 2008

      42 孫貞美, "동해안지역의 신라고분에 대한 연구" 嶺南大學校大學院 2006

      43 이한상, "동해안 지역의 5~6세기대 신라분묘 확산양상" 영남고고학회 32 : 35-59, 2003

      44 양시은, "남한지역 출토 고구려 토기의 현황과 특징" 호남고고학회 46 : 61-88, 2014

      45 양시은, "남한에서 확인되는 고구려의 시·공간적 정체성" 중부고고학회 10 (10): 101-131, 2011

      46 김무중, "낙랑문화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6

      47 오영찬, "낙랑군 연구" 사계절 2006

      48 이남규, "낙랑 지역 한대 철제 병기의 보급과 그의미" 동북아역사재단 2006

      49 김용만, "광개토태왕의 위대한 길" 역사의아침 2011

      50 정인모, "공간, 장소, 경계, 에코" 에코리브르 2010

      51 리승혁, "고구려주·군·현에 대하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87 (87): 1987

      52 양시은, "고구려의 한강유역 지배방식에 대한 검토" 중부고고학회 9 (9): 31-64, 2010

      53 김현숙, "고구려의 영역지배방식 연구" 도서출판 모시는 사람들 2005

      54 심광주, "고구려의 관방체계와 경기지역의 고구려 성곽, In 경기도 고구려 유적 종합정비 기본계획" 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 2008

      55 신광철, "고구려의 ‘中原 地域’ 진출에 대한 小考" 고구려발해학회 51 : 31-71, 2015

      56 최근영, "고구려산성과 해양방어체제 연구" 백산자료원 2000

      57 신광철, "고구려 남부전선의 지휘관과 군사편제" 한국상고사학회 74 (74): 171-202, 2011

      58 심재연, "경질무문토기의 기원 -점토대토기문화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중부고고학회 10 (10): 27-45, 2011

      59 심광주, "경기도의 고구려 문화유산" 경기도박물관 2007

      60 이일용, "강원지역의 원삼국문화 연구 : 영동·영서지역 고고자료의 비교를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61 금경숙, "강원도와 고구려" 집문당 2006

      62 공석구, "강원도와 고구려" 집문당 2006

      63 沈載淵, "강원·영동·영서지역의 철기문화 연구" 翰林大學校 大學院 1997

      64 朴榮九, "강원 영동 지역의 조기~전기 편년, In 청동기시대 광역편년을 위한 조기~전기문화편년" 韓國靑銅器學會 2012

      65 "魏書"

      66 "高麗史"

      67 金樂起, "高句麗후기의군사편제와‘可羅達’" 仁荷歷史學會 10 : 2003

      68 鄭元喆, "高句麗山城硏究" 吉林大學校大學院 2010

      69 금경숙, "高句麗 領域으로서의 北漢江 流域–靺鞨문제와 관련하여–" 高麗史學會 11 : 2001

      70 尹善泰, "馬韓의 辰王과 臣濆沽國–嶺西濊 지역의 錄史的推移와 관련하여–" 忠南大學校百濟硏究所 34 : 2001

      71 國立文化財硏究所, "韓國考古學辭典" 2003

      72 "隋書"

      73 김덕원, "貊國의 實體와 新羅의 交涉" 한국역사민속학회 (24) : 7-39, 2007

      74 (재)예맥문화재연구원, "華川原川里遺蹟–화천 원천리2지구 유물 산포지내 발굴조사보고서–" 2013

      75 심경호, "茶山과春川" 강원대학교출판부 1996

      76 "與猶堂全書"

      77 沈賢容, "考古資料로 본 新羅의 江陵地域進出" 慶北大學校大學院 2008

      78 朴京哲, "濊貊·夫餘와 高句麗의 正體性에 관한 硏究" 高句麗硏究會 18 : 2004

      79 朴淳發, "漢城百濟의誕生" 서경문화사 2002

      80 서용일, "漢城 百濟의 南漢江水路 開拓과 經營" 한국문화사학회 (20) : 15-50, 2003

      81 徐炳國, "渤海와 新羅의 國境線問題硏究–東海岸地域을 中心으로–" 關東大學校 9 (9): 1981

      82 송의정, "法泉里Ⅲ" 國立中央博物館·國立春川博物館 2009

      83 尹炯元, "法泉里Ⅱ" 國立中央博物館 2002

      84 宋義政, "法泉里Ⅰ" 國立中央博物館 2000

      85 김권중, "泉田里: 동면–신북간 도로 확장 및 포장 공사구간 내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江原文化財硏究所 2008

      86 이현혜, "沃沮의 기원과 문화 성격에 관한 고찰" 한국상고사학회 70 (70): 41-67, 2010

      87 李昌鉉, "江陵地域의 新羅化 過程" 한국문화사학회 (25) : 67-86, 2006

      88 최종래, "江陵 草堂洞古墳群의 造營集團에 대해서" 영남고고학회 (42) : 5-34, 2007

      89 "江原道志"

      90 江原道, "江原道史錄史編"

      91 盧爀眞, "江原道 春川郡 芳洞里의 特異構造 石室墳" 韓國大學博物館協會 42·43 : 1993

      92 金澤均, "江原濊貊攷" 江原鄕土文化硏究會 2 : 1997

      93 심재연, "江原 嶺東地域 鐵器時代 上限과 下限"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37-55, 2008

      94 유재춘, "東海岸의 水軍 遺蹟 硏究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이사부학회 1 : 7-54, 2010

      95 窪添慶文, "東アジア世界におる日本古代史講座 3" 學生社 1981

      96 "朝鮮王朝實錄"

      97 梅原末治, "晋率善穢伯長銅印" 韓國美術史學會 8 (8): 1967

      98 金澤均, "春川 貊國說에 관한 硏究" 白山學會 30·31 : 1985

      99 지현병, "旌善松溪里山城 發掘調査報告書" 江原文化財硏究所·旌善郡 2006

      100 지현병, "旌善古城里山城"

      101 金昌錫, "新羅의 于山國 服屬과 異斯夫" 한국이사부학회 2009

      102 井上秀雄, "新羅史基礎硏究" 東出版 1974

      103 全德在, "新羅 州郡制의 成立背景硏究" 서울大學校人文大學國史學科 22 : 1990

      104 徐毅植, "新羅 中古期 六部의 賦役動員과 地方支配" 서울大學校 23 : 1990

      105 "新唐書"

      106 "新五代史"

      107 徐榮一, "斯盧國의 悉直國 倂合과 東海海上權의 掌握" 東國大學校新羅文化硏究所 21 : 2003

      108 W.A. Douglas Jackson, "政治의地理學" 一志社 1974

      109 方龍安, "悉直國에 대한 考察" 江原史學會 3 : 1986

      110 "後漢書"

      111 송지연, "帶方郡의 盛衰에 대한 硏究" 한국사학회 (74) : 1-26, 2004

      112 文安植, "嶺西濊文化圈의 設定과 錄史地理的背景" 東國史學會 30 : 1996

      113 朴榮九, "嶺東地域粘土帶土器文化의 展開樣相" 韓國靑銅器學會 2010

      114 金九鎭, "尹瓘 9城의 範圍와 朝鮮 6鎭의 開拓–女眞 勢力 關係를 中心으로–" 錄史學硏究會 21 : 1977

      115 車勇杰, "寧越王儉城"

      116 김창석, "古代 嶺西地域의 種族과 文化變遷" 한국고대사학회 (51) : 5-49, 2008

      117 (재)예맥문화재연구원, "原州建登里遺蹟–원주 건등리 아파트신축부지 발굴조사보고서–" 2008

      118 沈載淵, "原三國時代 中部地方의 時·空間的 政體性, In 중부지역 고고학의 시·공간적 정체성Ⅰ" 중부고고학회 2010

      119 최종택, "南韓地域 高句麗古墳의 構造特徵과 歷史的 意味" 한국고고학회 (81) : 139-176, 2011

      120 金權中, "北漢江流域 靑銅器時代 住居 類型과 中期 設定 試論" 한국문화사학회 (22) : 7-38, 2004

      121 정재윤, "初期 百濟의 成長과 眞氏 勢力의 動向" 호남사학회 (29) : 1-26, 2007

      122 鄭永鎬, "京畿南部와 忠淸地域의 高句麗城" 高句麗硏究會 8 : 1999

      123 李亨源, "中部地域 粘土帶土器文化의 時間性과 空間性" 호서고고학회 (24) : 58-93, 2011

      124 徐榮一, "中原高句麗碑에 나타난 高句麗城과 關防體系–于伐城과 古牟累城을 中心으로–" 高句麗硏究會 10 : 2000

      125 江原文化財硏究所, "下花溪里·哲亭里·驛內里遺蹟(Ⅰ)–國道44號線(구성포~어론간)道路擴·鋪裝工事區域內遺蹟發掘調査報告書" 2005

      126 "三國志"

      127 이병도, "三國史記(上)" 을유문화사 1983

      128 "三國史記"

      129 홍영호, "『삼국사기』지리지 溟州 영현 棟隄縣의 위치 비정과 의미" 고려사학회 (38) : 7-40, 2010

      130 임기환, "『삼국사기』 온조왕본기 영역 획정 기사의 성립 시기" 역사문화연구소 (47) : 3-42, 2013

      131 한규철, "『三國史記』의 靺鞨 문제" 인문과학연구소 31 : 193-218, 2013

      132 李康來, "『三國史記』에 보이는 靺鞨의 軍事活動" 高麗大學校民族文化硏究院 2 : 1985

      133 金澤均, "『三國史記』에 보이는 靺鞨의 實體" 高句麗硏究會 3 : 1997

      134 李東輝, "『三國史記』靺鞨의 활동범위와 성격" 釜山大學校史學會 27 : 2003

      135 金鎭光, "『三國史記』本紀에 나타난 靺鞨의 性格" 고구려발해학회 35 : 2009

      136 윤경진, "『三國史記』地理志의 기준 시점과 연혁 오류" 한국사연구회 (156) : 1-44, 2012

      137 김병남, "『三國史記』初期 記錄의 靺鞨에 대한 再檢討" 全北史學會 23 : 2000

      138 이홍종, "『三國史記』‘靺鞨’기사의 고고학적 접근" 高麗史學會 5 : 1998

      139 윤경진, "『三國史記』 地理志 수록 군현의 三國 分屬" 고려사학회 (47) : 35-74, 2012

      140 文安植, "《三國史記》羅·濟本紀의 靺鞨 史料에 대하여–靺鞨勢力의 地域的 分布 및 種族 構成上의 차이와 변화를 중심으로–" 韓國古代史學會 13 : 1998

      141 金泰植, "《三國史記》地理志 高句麗條의 史料的 檢討" 錄史學會 154 : 1997

      142 Susan E. Alcock, "EMPIRES: Perspectives from Archaeology and History" UK University Press 2005

      143 선석열, "<<三國史記>> 百濟?新羅 本紀에 보이는 靺鞨 認識" 부경역사연구소 (19) : 5-35, 2006

      144 박성현, "6세기 초 고구려 ` 신라의 화약과 정계 -「중원 고구려비」와 양국 경계의 재검토 -" 한국역사연구회 (76) : 203-237, 2010

      145 이미란, "6세기 전후 신라 道使의 파견과 지방의 출현 과정" 부산경남사학회 (85) : 125-160, 2012

      146 심재연, "6~7세기 신라의 북한강 중상류지역 진출 양상" 신라문화연구소 (31) : 57-77, 2008

      147 洪永鎬, "6~7세기 고고자료로 본 동해안과 울릉도" 한국이사부학회 (창간) : 2010

      148 沈載淵, "6. 한성백제기 북한강유역 진출 양상, In 華川原川里遺蹟 第Ⅳ卷–화천 원천리 2지구 유물산포지내 발굴조사보고서–" (재)예맥문화재연구원 2013

      149 鄭雲龍, "5世紀 高句麗 勢力圈의 南限" 高麗大學校史學會 35 : 1989

      150 박현숙, "5~6세기 삼국의 접경에 대한 역사지리적 접근" 한국고대사학회 (58) : 103-132, 2010

      151 徐榮一, "5~6世紀의 高句麗 東南境考察" 檀國史學會 24 : 1991

      152 황보경, "4~6세기 북한강 유역 고분의 특징과 축조배경 고찰" 고구려발해학회 37 : 77-116,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89 1.572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