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민선 6기 출범에 따른 지방재정 성과와 과제 = Trend Analysis of Local Finance System since 1995 and Implications for Autonomy and Account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211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tries to show changes and trend of local government finance since 1995 when local autonomy system was introduced in Korea. Size of local budget is expanded as GDP and central budget’s were expanded. But the dependency on central government is getting worse by grants from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share tax were increased almost every year because of matching funds. In addition, expenditures of social welfare services in local government is being increased by policy making of central government and National Assembly. As a result of fund supporting programs for child care and basic senior pension programs, local governments are taking a heavy burden.
      Recently as economic conditions of real estate and export are expected not good, conflict between mayors and local council is founded, it is necessary to coordinate and reconciliate various fiscal needs.
      As a vision of next fiscal governance system between central-local governments, it is recommended intergovernmental fiscal cooperative system to take accountability of local finance and local fiscal sustainability.
      First of all, it is important to increase independent financial resources (e.g. local consumption tax) for improving self-autonomy and accountability of local government.
      Second, it needs to reform fiscal transfer system between central-local governments.
      Third, it is suggested to give opportunity for citizen participation budget to take transparency and responsibility.
      번역하기

      This paper tries to show changes and trend of local government finance since 1995 when local autonomy system was introduced in Korea. Size of local budget is expanded as GDP and central budget’s were expanded. But the dependency on central governmen...

      This paper tries to show changes and trend of local government finance since 1995 when local autonomy system was introduced in Korea. Size of local budget is expanded as GDP and central budget’s were expanded. But the dependency on central government is getting worse by grants from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share tax were increased almost every year because of matching funds. In addition, expenditures of social welfare services in local government is being increased by policy making of central government and National Assembly. As a result of fund supporting programs for child care and basic senior pension programs, local governments are taking a heavy burden.
      Recently as economic conditions of real estate and export are expected not good, conflict between mayors and local council is founded, it is necessary to coordinate and reconciliate various fiscal needs.
      As a vision of next fiscal governance system between central-local governments, it is recommended intergovernmental fiscal cooperative system to take accountability of local finance and local fiscal sustainability.
      First of all, it is important to increase independent financial resources (e.g. local consumption tax) for improving self-autonomy and accountability of local government.
      Second, it needs to reform fiscal transfer system between central-local governments.
      Third, it is suggested to give opportunity for citizen participation budget to take transparency and responsibi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95년 민선 1기가 야심차게 출범한 이후 20여년이 경과하면서 지방재정 역시 많은 변화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절대적인 재정규모는 확대되었으나, 중앙재정과의 상대비중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구조적으로는 국고보조금과 지방교부세 등 의존재원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995년 63.5%이던 재정자립도가 2014년 50.3%로 감소하였다. 또한 사회복지비의 급증에 따라 재량적 지출이 감소하였으며, 재정위기 사전경보시스템과 긴급 재정관리단체 지정 등 수많은 재정관리 수단이 마련되었으나, 지방재정의 건전성은 확보되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올해 출범한 민선 6기는 부동산 경기와 환율 등 장기적인 경기침체와 북한의 불안정성 및 진보성향 교육감의 대거 당선에 따른 단체장과 의회 및 교육감과의 갈등이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국정과제의 일환인 통합재정수지 산출과 법정 수임사무 등 국가사무의 지방이양 확대에 따른 ‘자율과 책임재정의 구현’은 중앙과 지방간의 보다 협력적인 재정체계의 구축을 원하고 있다. 이에 자율성 확대를 위해, 지방소비세 인상과 비과세 감면 축소 등 자체재원 확충방안, 보조금과 지역발전특별회계 등 중앙과 지방의 재정조정제도 개편, 그리고 주민에 대한 책임성 확보를 위한 재정관리제도의 개선을 통한 투명성과 건전성 확보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1995년 민선 1기가 야심차게 출범한 이후 20여년이 경과하면서 지방재정 역시 많은 변화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절대적인 재정규모는 확대되었으나, 중앙재정과의 상대비중은 크게 변화하지 ...

      1995년 민선 1기가 야심차게 출범한 이후 20여년이 경과하면서 지방재정 역시 많은 변화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절대적인 재정규모는 확대되었으나, 중앙재정과의 상대비중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구조적으로는 국고보조금과 지방교부세 등 의존재원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995년 63.5%이던 재정자립도가 2014년 50.3%로 감소하였다. 또한 사회복지비의 급증에 따라 재량적 지출이 감소하였으며, 재정위기 사전경보시스템과 긴급 재정관리단체 지정 등 수많은 재정관리 수단이 마련되었으나, 지방재정의 건전성은 확보되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올해 출범한 민선 6기는 부동산 경기와 환율 등 장기적인 경기침체와 북한의 불안정성 및 진보성향 교육감의 대거 당선에 따른 단체장과 의회 및 교육감과의 갈등이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국정과제의 일환인 통합재정수지 산출과 법정 수임사무 등 국가사무의 지방이양 확대에 따른 ‘자율과 책임재정의 구현’은 중앙과 지방간의 보다 협력적인 재정체계의 구축을 원하고 있다. 이에 자율성 확대를 위해, 지방소비세 인상과 비과세 감면 축소 등 자체재원 확충방안, 보조금과 지역발전특별회계 등 중앙과 지방의 재정조정제도 개편, 그리고 주민에 대한 책임성 확보를 위한 재정관리제도의 개선을 통한 투명성과 건전성 확보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2014

      2 최병호, "현 정부의 지방재정 관련 정책의 평가와 차기정부의 과제" 한국재정학회 2012

      3 김동기, "한국지방재정학" 법문사 2011

      4 원윤희, "한국 경제 선진화를 위한 세제개혁" 한국재정학회 세제개편위원회 2008

      5 이재원, "참여정부의 재정분권 2년에 대한 평가와 과제: 지방세입 부문에서 제도 개편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16 (16): 325-346, 2005

      6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참여정부 지방분권 추진 로드맵 : 분권형 선진국가의 건설"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3

      7 조봉업, "지역상생발전기금 설치 의의 및 발전방향" 한국지방재정공제회 (28) : 61-80, 2010

      8 신두섭, "지역발전특별회계 개편방안" 2014

      9 한원택, "지방행정론" 법문사 2002

      10 안전행정부, "지방재정위기 사전경보시스템 기본계획"

      1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2014

      2 최병호, "현 정부의 지방재정 관련 정책의 평가와 차기정부의 과제" 한국재정학회 2012

      3 김동기, "한국지방재정학" 법문사 2011

      4 원윤희, "한국 경제 선진화를 위한 세제개혁" 한국재정학회 세제개편위원회 2008

      5 이재원, "참여정부의 재정분권 2년에 대한 평가와 과제: 지방세입 부문에서 제도 개편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16 (16): 325-346, 2005

      6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참여정부 지방분권 추진 로드맵 : 분권형 선진국가의 건설"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3

      7 조봉업, "지역상생발전기금 설치 의의 및 발전방향" 한국지방재정공제회 (28) : 61-80, 2010

      8 신두섭, "지역발전특별회계 개편방안" 2014

      9 한원택, "지방행정론" 법문사 2002

      10 안전행정부, "지방재정위기 사전경보시스템 기본계획"

      11 안전행정부, "지방재정연감"

      12 손희준, "지방재정론" 대영문화사 2011

      13 서정섭, "지방자치제 도입이후 지방재정 세입변화와 추이분석" 한국지방재정학회 10 (10): 105-128, 2005

      14 이상용, "지방자치단체의 선심성․전시성 예산의 통제방안" 한국지방재정공제회 (26) : 17-34, 2010

      15 지방자치단체 재정난 극복 TF, "지방자치단체 재정난의 원인과 대책"

      16 안전행정부, "지방자치단체 예산개요"

      17 주만수, "지방자치 20년, 지방재정 성과와 과제: 지방재정분야" 2014

      18 김순은, "지방자치 20년 평가와 전망" 2014

      19 김순은, "지방의회 의정활동(1991~2001)의 평가와 과제" 한국지방정부학회 5 (5): 2001

      20 주만수, "지방소비세의 도입효과와 증률을 위한 대안모색" 2013

      21 유태현, "지방세법 개편의 연혁과 지방세제의 발전방향" 2014

      22 월간조선, "지방경영 19년의 명암"

      23 손희준, "중앙․ 지방간 합리적 재정관계 구축방안" 2014

      24 안전행정부, "주민세 등 지방세 20년 만에 현실화 한다"

      25 기획재정부, "조세개요"

      26 손희준, "재정분권화 정책의 평가와 발전방안" 한국거버넌스학회 12 (12): 159-185, 2005

      27 손희준, "재정분권을 위한 중앙과 지방간 재원배분 방안" 한국거버넌스학회 15 (15): 157-185, 2008

      28 손희준, "연간기획 : 건전성과 책임성 확보를 위한 재정관리 제도의 개선방향" 한국지방재정공제회 2012 (2012): 2012

      29 이영희, "시․ 군 지역 세무기구 및 인력의 효율적 운용방안"

      30 서정섭, "분권교부세제도의 개선방안"

      31 최병관, "분권교부세 운영성과 및 향후 개편방향" 2014

      32 손희준, "분권교부세 도입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8 (28): 123-143, 2006

      33 이현우, "분권교부세 기간연장에 따른 복지재원 변화에 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09

      34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박근혜 정부 희망의 새 시대를 위한 실천과제"

      35 김광진, "논단 : 2002 지방재정의 과제와 전망" 한국지방재정공제회 2002 (2002): 2002

      36 손희준, "기조연설: 지방자치 20년, 지방재정의 평가와 과제" 한국지방재정학회 2011

      37 서정섭, "국고보조사업 개편방안" 2013

      38 이용환, "국가에 의한 지방재정 의무지출 실태와 개선방향"

      39 안문석, "공공부문개혁의 향후 전개방향" 서울대학교 39 (39): 1-18, 2001

      40 한국은행, "경제통계연보"

      41 김경수, "감세의 지방재정 영향분석—지역별 재정 감소 및 지방소비세 세입증가 효과를 중심으로"

      42 감사원, "감사원이 본 민선자치 10년"

      43 日本 總務省, "地方財政白書"

      44 안전행정부, "http://www.mospa.go.kr"

      45 지방자치발전위원회, "http://www.clad.go.kr"

      46 박연수, "2006년 지방재정․세제의 전망과 운용방향" 한국지방재정공제회 2006 (2006): 3-10, 2006

      47 정헌율, "2004 지방예산개요와 운용방향" 한국지방재정공제회 2004 (2004): 9-23, 2004

      48 김주현, "2001 지방재정의 주요시책 방향" 한국지방재정공제회 108 : 4-16,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 0.80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