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시에서는 정비사업의 조합설립과 시공사 선정과정에서 구청장을 공공관리자로 참여하여 조합과 시공사간의 유착에 따른 비리를 사전에 예방하고, 정비사업을 원활하게 진행될 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30049
2014
-
360
KCI등재
학술저널
119-139(21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서울시에서는 정비사업의 조합설립과 시공사 선정과정에서 구청장을 공공관리자로 참여하여 조합과 시공사간의 유착에 따른 비리를 사전에 예방하고, 정비사업을 원활하게 진행될 수...
최근 서울시에서는 정비사업의 조합설립과 시공사 선정과정에서 구청장을 공공관리자로 참여하여 조합과 시공사간의 유착에 따른 비리를 사전에 예방하고, 정비사업을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목적으로 「공공관리제도」를 도입되었다. 이러한 공공관리제도 도입을 통해서 1)추진위원회 구성 지원 2) 정보공개 통합홈페이지 '클린업시스템' 운영, 3) 공사도면과 공사비 산출 후 시공자 선정, 4) 정비업체ㆍ설계자 선정기준 제정 및 운영, 5) 공공자금 융자로 자율적 사업추진 기반 구축 6)사업비 및 분담금 추정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의 효과가 발생하고 있다.
그 결과, 지금까지 시공사 중심의 정비사업 자금조달 방식에 많은 변화가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의 부동산 시장악화 퉁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정비사업 자금조달 체계에 대한 개선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비사업의 자금조달 환경 변화에 맞는 현실적용 가능한 기금융자 및 민간자금 도입을 통해, 자금지원의 개선방안 모색에 중점을 두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Seoul city introduced 「The Public Management System」in order to prevent corruption between the association and constructor in advance and to support smooth progress by making the head of a gu participate as a public manager in association...
Recently Seoul city introduced 「The Public Management System」in order to prevent corruption between the association and constructor in advance and to support smooth progress by making the head of a gu participate as a public manager in associational establishment of urban redevelopment project and selection project of constructor. Since the role of constructor that played a variety of parts until now has been limited to simple construction, there is a difficulty in the method of financing focusing on current constructor. As the results,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the method of financing of urban redevelopment project focusing on constructor till now, and as per these change of environment, the plan of financing system of urban redevelopment project applicable to reality is needed.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finding improvement for smooth pushing ahead with urban redevelopment project through fund financing of urban redevelopment project and private funds loan facilitation which were suitable for the environment change of financing of urban redevelopment project and applicable to reali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필규, "주택재개발사업의 영업보상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토지공법학회 58 : 179-196, 2012
2 조필규, "정비사업의 재정지원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토지공법학회 59 : 137-160, 2012
3 조필규, "정비사업의 소송유형 및 처리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67-81, 2010
4 조필규, "정비사업의 사업시행인가 법적 쟁점 분석 및 개선방안"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6 (46): 55-68, 2011
5 조필규, "정비사업 조합설립추진위원회 단계의 소송현황 및 갈등요인 분석" 서울연구원 13 (13): 73-88, 2012
6 유삼술, "정비계획수립권자의 역할 강화 방안(도정법 개정 내용을 중심으로)" 10-12, 2009
7 김호철, "재개발사업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재정지원의 확충방안에 관한 연구" 30 (30): 1995
8 김은유, "재개발․재건축 조합운영 실무" 고려원북스 2012
9 조필규, "재개발, 재건축 표준정관 및 업무규정 해설" 단미르 출판사 2012
10 장대원, "도시정비사업 활성화를 위한 TIF(조세담보금융) 활용방안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6 (6): 37-56, 2005
1 조필규, "주택재개발사업의 영업보상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토지공법학회 58 : 179-196, 2012
2 조필규, "정비사업의 재정지원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토지공법학회 59 : 137-160, 2012
3 조필규, "정비사업의 소송유형 및 처리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67-81, 2010
4 조필규, "정비사업의 사업시행인가 법적 쟁점 분석 및 개선방안"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6 (46): 55-68, 2011
5 조필규, "정비사업 조합설립추진위원회 단계의 소송현황 및 갈등요인 분석" 서울연구원 13 (13): 73-88, 2012
6 유삼술, "정비계획수립권자의 역할 강화 방안(도정법 개정 내용을 중심으로)" 10-12, 2009
7 김호철, "재개발사업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재정지원의 확충방안에 관한 연구" 30 (30): 1995
8 김은유, "재개발․재건축 조합운영 실무" 고려원북스 2012
9 조필규, "재개발, 재건축 표준정관 및 업무규정 해설" 단미르 출판사 2012
10 장대원, "도시정비사업 활성화를 위한 TIF(조세담보금융) 활용방안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6 (6): 37-56, 2005
11 조필규, "도시정비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 현행 도시정비사업 정책 평가를 통한 새 정부의 재개발ㆍ재건축사업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토지공법학회 61 : 83-106, 2013
12 조필규, "도시재생의 새로운 방법론 -민간참여 도시재생사업 활성화 방안" 단미르 출판사 2012
13 조필규, "도시재생사업의 현재, 그리고 미래" 단미르 출판사 2012
14 남진,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공공의 사업비용 조달방법 연구 -미국 TIF의 운용과 분쟁 실태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47-65, 2010
15 국토해양부,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사업 여행"
16 김현아, "TIF를 활용한 도시개발사업의 공공시설 설치비용 조달방안 연구" 37 (37): 2002
통일 후 북한지역 토지소유문제 해결을 위한 몰수재산처리법제의 이론과 실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7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9 | 0.69 | 0.687 | 0.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