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법은 저작권자가 저작물의 판매(배포)를 통해 적절한 경제적 보상을 획득하도록 함과 동시에 “권리소진의 원칙(doctrine of exhaustion)”을 통하여 특정 저작물을 적법하게 획득한 이용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저작권법은 저작권자가 저작물의 판매(배포)를 통해 적절한 경제적 보상을 획득하도록 함과 동시에 “권리소진의 원칙(doctrine of exhaustion)”을 통하여 특정 저작물을 적법하게 획득한 이용자...
저작권법은 저작권자가 저작물의 판매(배포)를 통해 적절한 경제적 보상을 획득하도록 함과 동시에 “권리소진의 원칙(doctrine of exhaustion)”을 통하여 특정 저작물을 적법하게 획득한 이용자가 자신의 통제 하에 있는 저작물을 자유롭게 사용·처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작물 거래의 안전은 물론 저작권자의 이익과 이용자의 이익간에 정치한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미국은 1908년 Bobbs-Merrill v. Straus 판결에서 권리소진의 원칙을 처음으로 인정하였고, 1976년 연방저작권법에 배포권의 예외로서 이를 규정하게 되었다.
권리소진의 원칙과 관련된 다수의 사건들은 소프트웨어 거래와 관련되어 있는데, 오늘날 중고 소프트웨어 거래가 인터넷 등을 통해 점차 활성화되고 있지만 양도인이 판매 후에도 복제물을 삭제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저작권자는 통제할 방법이 여전히 없다. 따라서 저작권자는 최종사용자 계약서(End User License Agreement)를 통해 소프트웨어의 양도를 금지하거나 양도 전 사전통지의무를 이용자에게 부여하는 등 권리소진 원칙을 제한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분쟁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거래와 권리소진의 원칙과 관련된 다수의 판례경험을 가진 미국에 있어서, 소프트웨어 거래의 법적 성격이 “매매(sale)”인지, 아니면 “라이선스(license)”인지 여부, 권리소진의 원칙을 정한 연방저작권법 규정이 강행규정인지의 여부, 그리고 디지털 권리소진의 원칙을 인정할 것이지 여부가주요한 쟁점이 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이슈들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미국 연방저작권법과 2010년 9월에 판시된 ‘Autodesk 사건’ 등 중고 소프트웨어 거래와 관련된 판례들을 분석하고 검토하였다. 특히 디지털 권리소진과 관련하여 최근 등장하고 있는 인증 등 기술적 조치와 권리소진 원칙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그 도입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병일, "중고소프트웨어 판매와 권리소진" 2010
2 안효질, "저작물의 디지털거래와 권리소진원칙" 한국산업재산권법학회 (15) : 59-120, 2004
3 계승균, "저작권법상 권리소진이론" 33 : 2003
4 손승우, "일시적 복제개념의 도입. in: 효과적 S/W 보호를 위한 법제정비방안 연구(상)" 프로그램심의조정위원회 2004
5 손승우, "스마트 소프트웨어, SaaS의 법적 이슈" 한국정보법학회 2010
6 임원선, "새로운 비즈니스모델과 일시적 복제의 보호" (여름) : 2002
7 손승우, "著作權과 쉬링크랩 라이선스 상의 S/W Reverse Engineering의 法的 地位" 한국산업재산권법학회 (14) : 193-224, 2003
8 R. Anthony Reese, "The First Sale Doctrine in the Era of Digital Networks" 44 : 577-, 2003
9 "The Digital Era Copyright Enhancement Act, H.R. 3048, 105th Cong"
10 Christian H. Nadan, "Software Licensing in the 21st Century: Are Software “Licenses” Really Sales, and How will the Software Industry Respond?, 995 PLI/Pat 815"
1 김병일, "중고소프트웨어 판매와 권리소진" 2010
2 안효질, "저작물의 디지털거래와 권리소진원칙" 한국산업재산권법학회 (15) : 59-120, 2004
3 계승균, "저작권법상 권리소진이론" 33 : 2003
4 손승우, "일시적 복제개념의 도입. in: 효과적 S/W 보호를 위한 법제정비방안 연구(상)" 프로그램심의조정위원회 2004
5 손승우, "스마트 소프트웨어, SaaS의 법적 이슈" 한국정보법학회 2010
6 임원선, "새로운 비즈니스모델과 일시적 복제의 보호" (여름) : 2002
7 손승우, "著作權과 쉬링크랩 라이선스 상의 S/W Reverse Engineering의 法的 地位" 한국산업재산권법학회 (14) : 193-224, 2003
8 R. Anthony Reese, "The First Sale Doctrine in the Era of Digital Networks" 44 : 577-, 2003
9 "The Digital Era Copyright Enhancement Act, H.R. 3048, 105th Cong"
10 Christian H. Nadan, "Software Licensing in the 21st Century: Are Software “Licenses” Really Sales, and How will the Software Industry Respond?, 995 PLI/Pat 815"
11 Seungwoo Son, "Selective Refusals to Sell Patented Goods: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nts Rights & Antitrust Law" 2002 : 109-, 2002
12 정진근, "S/W 역분석 조항의 법적 지위와 계약에 의한 제한 가능성" 2004
13 Melville B. Nimmer, "NIMMER ON COPYRIGHT"
14 Keith Kupferschmid, "Lost in Cyberspace: The Digital Demise of the First-Sale Doctrine" 16 : 825-, 1998
15 U.S. Copyright Office, "Library of Cong., DMCA Section 104 Report"
16 David McGowan, "Legal Implications of Open-Source Software" 2001 : 241-, 2001
17 "Joos, Die Erschöpfungslehre im Urheberrecht"
18 "Info. Infrastructure Task Force, Intellectual Property and the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The Report of the Working Group 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19 "Digital Choice and Freedom Act of 2002, H.R. 5522, 107th Cong"
20 Paul Goldstein, "COPYRIGHT, PATENT, TRADEMARK AND RELATED STATE DOCTRINES"
21 Julie E. Cohen, "A Right to Read Anonymously: A Closer Look at 'Copyright Management' in Cyberspace" 28 : 981-, 1996
22 James V. Mahon, "A Commentary on Proposals for Copyright Protection on the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22 : 233-, 1996
대학의 이러닝(e-learning)의 저작권법 문제에 대한 소고(小考) -교수의 강의중 등장한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제한가능성을 중심으로-
저작권법상 권리변동 등록제도의 문제점 - 포괄신탁과 관련하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8-1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저작권위원회 -> 한국저작권위원회영문명 : Copyright Commission -> Korea Copyright Commission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4 | 0.44 | 0.5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8 | 0.54 | 0.632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