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교욱현장이나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창의성의 필요성과 관심이 급격히 증가된 것에 비해 창의성 이론 연구와 함께 실제적인 사례 연구는 매우 부족한 편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2090311
Joo Eunsun (교양학부)
1999
English
040.000
학술저널
57-75(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에 교욱현장이나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창의성의 필요성과 관심이 급격히 증가된 것에 비해 창의성 이론 연구와 함께 실제적인 사례 연구는 매우 부족한 편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
최근에 교욱현장이나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창의성의 필요성과 관심이 급격히 증가된 것에 비해 창의성 이론 연구와 함께 실제적인 사례 연구는 매우 부족한 편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 심리학 분야에서 창의성의 주요 이론으로 인정받고 있는 Csikszentmihalyi (1988) 의 "시스템 이론(systemic view of creativity)"을 바탕으로 한국의 여류시인인 노천명과 미국의 여류신인인 에밀리 딕킨슨 (Emily Dickinson)을 비교 연구 하고자 한다.
시스템 이론 관점에서는 창의성을 크게 사람 (Person), 영역(Domain), 분야(Field)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본다. 첫째, 사람 (Person) 부분은 개인의 성격, 가치관, 새로운 것을 찾고 만들어내는 능력, 선택한 영역에서의 관심과 동기유발 정도등을 뜻하고, 둘째, 영역(Domain) 부분은 사고와 행동을 대표할 수 있는 규정들의 총체로서 모든 상징적 체계를 뜻한다. 마지막으로 분야(Field)는 영역(Domain)의 틀을 결정하고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사회적 체제의 한 부분으로 볼 수 있다. 비슷한 시기에 창의성을 인정 받은 두 여류시인인 노천명과 에밀리 딕킨슨을 이 세부분에 있어서 비교 분석한 결과 사람 (Person) 부분에서는 다수의 공통점들이 발견이 되는데, 영역(Domain)과 분야(Field) 부분에서는 많은 차이점들이 분석되었다. 본 연구자는 이 결과를 영역과 분야에 큰 영향을 주는 문화 (Culture)차이로 해석을 하였고, 창의성 연구에 있어서 문화차이에 따른 연구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 INTRODUCTION 2. THEORIES OF CREATIVITY 3. CASE STUDY 3-1. Miss Roh chun Myung 3-2. Miss Emily Dickinson 4. THE APPLICATION OF SYSTEMIC MODEL 4-1. The Person 4-2. The Domain 4-3. The Field 5. THE RESULT OF COMPARISION AND FURTHER ...
1. INTRODUCTION
2. THEORIES OF CREATIVITY
3. CASE STUDY
3-1. Miss Roh chun Myung
3-2. Miss Emily Dickinson
4. THE APPLICATION OF SYSTEMIC MODEL
4-1. The Person
4-2. The Domain
4-3. The Field
5. THE RESULT OF COMPARISION AND FURTHER STUDIES
REFERENCES
Human Flavin-containing Monooxygenase 1 (FMO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