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치매 작업치료 가이드라인 개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457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가 적절한 평가와 중재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작업치료 실행체계를 토대 로 근거기반의 한국 치매 작업치료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 임상진료지침개발과 수용개작의 과정을 통하여 국외의 치매 작업치료 가이드라인 5개를 AGREE Ⅱ(Appraisal of Guidelines for Research & EvaluationⅡ)로 평가하여 1차 가이드라인을 구성하였으며, 국 내 임상에 맞는 권고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국내 58개의 작업치료 치매 관련 연구를 분석한 내용을 추가하 여 최종 한국 치매 작업치료 가이드라인을 완성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 실행체계를 기반으로 6개 영역 66항목으로 가이드라인이 구성되었다. 각 영역별로는 작업의 영역 14개 항목, 수행기술 31개 항목, 수행양상 3개 항목, 물리적 환경 6개 항목, 활동요건 5개 항목, 환자 -보호자 영역 7개 항목으로 가이드라인이 도출되었다. 각 항목에는 권고 강도(A~D)가 부여되었으며, A 또는 B의 권고 강도로 나타난 항목은 42항목이었다. 일상생활활동 평가, 인지기능(기억력, 집중력, 지남력) 평가, 심리상태 평가, 보행과 균형 평가, 신체적 활동, 환경수정, 보호자 교육 및 상담 등에서 권고 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의 한국 치매 작업치료 가이드라인은 다양한 환경에서 치매환자에게 평가와 중재를 제공하는 작업치료사에게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며, 치매환자 관리에 있어 작업치료사의 역할을 명확히 하는 근거가 될 것이다.
      번역하기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가 적절한 평가와 중재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작업치료 실행체계를 토대 로 근거기반의 한국 치매 작업치료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방...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가 적절한 평가와 중재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작업치료 실행체계를 토대 로 근거기반의 한국 치매 작업치료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 임상진료지침개발과 수용개작의 과정을 통하여 국외의 치매 작업치료 가이드라인 5개를 AGREE Ⅱ(Appraisal of Guidelines for Research & EvaluationⅡ)로 평가하여 1차 가이드라인을 구성하였으며, 국 내 임상에 맞는 권고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국내 58개의 작업치료 치매 관련 연구를 분석한 내용을 추가하 여 최종 한국 치매 작업치료 가이드라인을 완성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 실행체계를 기반으로 6개 영역 66항목으로 가이드라인이 구성되었다. 각 영역별로는 작업의 영역 14개 항목, 수행기술 31개 항목, 수행양상 3개 항목, 물리적 환경 6개 항목, 활동요건 5개 항목, 환자 -보호자 영역 7개 항목으로 가이드라인이 도출되었다. 각 항목에는 권고 강도(A~D)가 부여되었으며, A 또는 B의 권고 강도로 나타난 항목은 42항목이었다. 일상생활활동 평가, 인지기능(기억력, 집중력, 지남력) 평가, 심리상태 평가, 보행과 균형 평가, 신체적 활동, 환경수정, 보호자 교육 및 상담 등에서 권고 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의 한국 치매 작업치료 가이드라인은 다양한 환경에서 치매환자에게 평가와 중재를 제공하는 작업치료사에게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며, 치매환자 관리에 있어 작업치료사의 역할을 명확히 하는 근거가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idence-based occupational therapy guideline for Alzheimer’s disease based on the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in order for occupational therapists to choose appropriate evaluations and interventions and provide effective, economical, and professional services to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their caregivers. Methods: 5 occupational therapy guidelines evaluated with the Appraisal of Guidelines for Research and Evaluation II (AGREE II) tool. In order to identify additional evidence on occupational therapy conducted in Korea, conduct a literature review and found 185 articles. Of these, 58 articles on occupational therapy evaluation and intervention were selected and analyzed. Results: The final guideline was completed by combining the first draft and the items obtained through additional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The items were combined into domains of area of occupation, performance skills, performance patterns, environment, activity demands, and caregivers. ADL, IDL, cognitive skill, behavioral management, training of physical function, physical environment, and care-giver domains had high recommendation grades (A). Conclusion: Studies with high levels of evidence have been conducted on various intervention methods, thereby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Moreover, this study suggest grades of recommendation in order for effective approaches to be taken in each domain.
      번역하기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idence-based occupational therapy guideline for Alzheimer’s disease based on the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in order for occupational therapists to choose appropriate evaluations a...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idence-based occupational therapy guideline for Alzheimer’s disease based on the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in order for occupational therapists to choose appropriate evaluations and interventions and provide effective, economical, and professional services to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their caregivers. Methods: 5 occupational therapy guidelines evaluated with the Appraisal of Guidelines for Research and Evaluation II (AGREE II) tool. In order to identify additional evidence on occupational therapy conducted in Korea, conduct a literature review and found 185 articles. Of these, 58 articles on occupational therapy evaluation and intervention were selected and analyzed. Results: The final guideline was completed by combining the first draft and the items obtained through additional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The items were combined into domains of area of occupation, performance skills, performance patterns, environment, activity demands, and caregivers. ADL, IDL, cognitive skill, behavioral management, training of physical function, physical environment, and care-giver domains had high recommendation grades (A). Conclusion: Studies with high levels of evidence have been conducted on various intervention methods, thereby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Moreover, this study suggest grades of recommendation in order for effective approaches to be taken in each domai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1.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핵심 질문 선정
      • 2. 자료 수집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1.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핵심 질문 선정
      • 2. 자료 수집
      • 3. 가이드라인 평가
      • 4. 가이드라인 권고 통합
      • 5. 추가 임상질문 해결을 위한 권고 개발
      • 6. 가이드라인 완성
      • Ⅲ. 연구 결과
      • 1. 자료수집을 통한 가이드라인 평가
      • 2. 핵심질문에 따른 가이드라인 요약
      • 3. 추가 임상 질문 해결을 위한 문헌 고찰
      • 4. 가이드라인 완성
      • Ⅳ. 고찰
      • Ⅴ. 결론
      • References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원미, "지역사회 치매작업치료사의 직무역량을 위한 연구: 치매지원센터 작업치료사 직무분석을 중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 21 (21): 15-29, 2013

      2 차유진, "지역보건법에 근거한 지역사회중심재활(CBR) 업무를 담당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특성 및 직무지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소와 치매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 20 (20): 41-53, 2012

      3 Keough, J., "Treating dementia: The complementing team approach of occupational therapy and psychology" 134 : 375-391, 2000

      4 Law, M., "The person-environmentoccupation model: A transactive approach to occupational performance" 63 (63): 9-23, 2006

      5 Waldemar, G., "Recommendation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disorders associated with dementia: EFNS guideline" 14 (14): e1-e26, 2007

      6 Schaber, P.,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guideline for adul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related disorders" AOTA Press 2010

      7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 process 2nd Edition" 62 : 625-683, 2008

      8 Arbesman, M., "Methodology for the systematic reviews on occupational therapy for adul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related dementias" 65 : 490-496, 2011

      9 Kim, S. Y., "Manual for guideline adaptation ver 2.0" 2011

      10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Management of patients with dementia: A national clinical guideline" 2006

      1 정원미, "지역사회 치매작업치료사의 직무역량을 위한 연구: 치매지원센터 작업치료사 직무분석을 중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 21 (21): 15-29, 2013

      2 차유진, "지역보건법에 근거한 지역사회중심재활(CBR) 업무를 담당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특성 및 직무지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소와 치매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 20 (20): 41-53, 2012

      3 Keough, J., "Treating dementia: The complementing team approach of occupational therapy and psychology" 134 : 375-391, 2000

      4 Law, M., "The person-environmentoccupation model: A transactive approach to occupational performance" 63 (63): 9-23, 2006

      5 Waldemar, G., "Recommendation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disorders associated with dementia: EFNS guideline" 14 (14): e1-e26, 2007

      6 Schaber, P.,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guideline for adul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related disorders" AOTA Press 2010

      7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 process 2nd Edition" 62 : 625-683, 2008

      8 Arbesman, M., "Methodology for the systematic reviews on occupational therapy for adul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related dementias" 65 : 490-496, 2011

      9 Kim, S. Y., "Manual for guideline adaptation ver 2.0" 2011

      10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Management of patients with dementia: A national clinical guideline" 2006

      11 Ministry of Health Malaysia, "Management of dementia" Ministry of Health Malaysia 2009

      12 Jack, C. R., "Introduction to the recommendations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n aging-Alzheimer's association workgroups on diagnostic guidelines for Alzheimer's disease" 7 : 257-262, 2011

      13 Carl, H. S.,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cognitive and behavioral problems in dementia" 25 : 350-366, 2012

      14 Kim, S. Y., "Guidance for development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ver 1.0" 2009

      15 Henry, H., "Evolution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clinical guidelines" 65 : 2726-2734, 2015

      16 AGREE Collaborati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ternal appraisal instrument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The AGREE project" 12 (12): 18-23, 2003

      17 The British Psychological Society., "Dementia: A NICE-SCIE guideline on supporting people with dementia and their carers in health and social care"

      18 Kim, S. W., "Dementia management business overview and challenges" 2014

      19 British Columbia Guidelines & Protocol Advisory Committee, "Cognitive impairment in the elderly-recogni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British Columbia Ministry of Health 2007

      20 The National Collaborating Centre for Mental Health,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dementia in Australia"

      21 Sara, T,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46 : 681-687, 2005

      2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dementia"

      23 The Ministry of Health, British Columbia, "Best practice guideline for accommodating and managing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in residential care"

      24 Warchol, K., "An interdisciplinary dementia program model for long-term care" 20 (20): 59-71, 2004

      25 Rabins, P. V.,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ractice guidelin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dementias second edition" 164 (164): 5-56, 2007

      26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A guideline developer's handbook"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3-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6 0.929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