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형태론 = Morphology of 'tesseym', 'ppaylseym', 'kopseym', and 'nanwusseym': suggesting lexical field morph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212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그동안 공통된 의미를 가지는 단어들의 묶음인 어휘장은 의미론의 관심사로 여겨져 왔다. 그런데 같은 어휘장에 속하는 단어들 가운데는 공통된 요소를 가지는 것들이 존재한다. 이들에 관...

      그동안 공통된 의미를 가지는 단어들의 묶음인 어휘장은 의미론의 관심사로 여겨져 왔다. 그런데 같은 어휘장에 속하는 단어들 가운데는 공통된 요소를 가지는 것들이 존재한다. 이들에 관심을 기울이면 그동안 단어 형성이 공통 요소인 접사를 중심으로 파생어에 한정되었던 경향에서 벗어나 합성어도 계열 관계의 측면에서 언급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어휘장 형태론은 형태론적 관점을 바탕으로 어휘들이 가지는 의미 관계를 바라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나름대로 의의가 있다.
      같은 어휘장에 속하면서 동일한 요소를 공유하는 단어들은 형태론적으로도 평행한 구조를 보이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사칙]의 어휘장에 속하는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은 단어 형성의 측면에서 매우 흥미로운 모습을 보인다. '덧셈'은 부사 '더'가 사이시옷을 개재하고 접두사화한 '덧-'이 단어 형성에 참여한 파생어라 할 수 있고 '뺄셈'은 용언의 어간이 관형사형을 가지고 단어 형성에 참여한 합성어이다. '곱셈'은 명사 '곱'이 합성 명사 형성에 참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단어 형성의 범위에 들어오지만 '나눗셈'은 어간 '나누-'가 사이시옷과 결합하여 단어 형성에 참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장 독특한 단어 형성을 보여 준다. 이들은 겨우 네 단어뿐이지만 어휘장 형태론의 입장이 아니면 단어 형성에 대한 규칙의 입장은 물론 계열 관계를 중시하는 유추의 입장에서도 한데 묶어 다루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 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 far, lexical field, a group of words sharing a common meaning, has been regarded as a matter of semantics. However, there are some words that have elements in common in a same lexical field. By focusing on these words, we can get a chance to invest...

      So far, lexical field, a group of words sharing a common meaning, has been regarded as a matter of semantics. However, there are some words that have elements in common in a same lexical field. By focusing on these words, we can get a chance to investigate compounds in aspects of paradigmatic relation as derivatives. Also, such lexical field morphology offer an opportunity to observe vocabulary in the respect of morphological viewpoint.
      It is natural that a group of words belonging to a same lexical field show an internal structure equally. In this respect 'tesseym', 'ppaylseym', 'kopseym', and 'nanwusseym', as a member of [four arithmetic], show very interesting aspects in the respect of word-formation. Firstly 'tesseym' is a derivative in which 'tes-' is considered as a result of prefixation of adverb 'te' and 'saisios' construction. In 'ppaylseym', we can observe an adnominal form of verbal stem 'ppay-', while 'kopseym' shows a general aspect of noun compound, because 'kop' is a noun. Lastly 'nanwusseym' gives us a dynamic aspect of word-formation in that verbal stem 'nanwu-' has 'saisios'. Both rule and analogy cannot explain the process of word-formation of just these four word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머리말
      • 2. 어휘장 형태론의 범위와 의미 관계
      • 3. 어휘장 형태론의 관점에서 본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 4. 맺음말
      • 국문요약
      • 1. 머리말
      • 2. 어휘장 형태론의 범위와 의미 관계
      • 3. 어휘장 형태론의 관점에서 본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 4. 맺음말
      • 참고논저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형용, "형태론과 어휘-어휘적 단어, 어휘부, 어휘 관계를 중심으로" 36 : 6-48, 2011

      2 최형용, "현대 국어의 사이시옷은 과연 형태소인가" 형태론 11 (11): 61-78, 2009

      3 최형용, "파생어 형성과 빈칸" 언어교육원 40 (40): 619-636, 2004

      4 정시호, "어휘장이론연구" 경북대학교 출판부 1994

      5 문금현, "어휘장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우리말교육현장학회 5 (5): 7-47, 2011

      6 김지형, "어휘장(낱말밭) 연구의 새로운 모색-[머리]장 어휘를 중심으로-" 4 : 281-311, 1999

      7 엄태수, "사이시옷 현상과 한글 맞춤법" 13 : 239-288, 2007

      8 임홍빈, "사이시옷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10 : 1-35, 1981

      9 구본관, "단일 어기 가설과 국어 파생 규칙-15세기 국어 파생법을 중심으로-" 34 (34): 153-174, 1998

      10 박성철, "낱말밭: 용어, 개념, 비유들―전망" 한글학회 273 (273): 219-243, 2006

      1 최형용, "형태론과 어휘-어휘적 단어, 어휘부, 어휘 관계를 중심으로" 36 : 6-48, 2011

      2 최형용, "현대 국어의 사이시옷은 과연 형태소인가" 형태론 11 (11): 61-78, 2009

      3 최형용, "파생어 형성과 빈칸" 언어교육원 40 (40): 619-636, 2004

      4 정시호, "어휘장이론연구" 경북대학교 출판부 1994

      5 문금현, "어휘장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우리말교육현장학회 5 (5): 7-47, 2011

      6 김지형, "어휘장(낱말밭) 연구의 새로운 모색-[머리]장 어휘를 중심으로-" 4 : 281-311, 1999

      7 엄태수, "사이시옷 현상과 한글 맞춤법" 13 : 239-288, 2007

      8 임홍빈, "사이시옷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10 : 1-35, 1981

      9 구본관, "단일 어기 가설과 국어 파생 규칙-15세기 국어 파생법을 중심으로-" 34 (34): 153-174, 1998

      10 박성철, "낱말밭: 용어, 개념, 비유들―전망" 한글학회 273 (273): 219-243, 2006

      11 김창섭, "국어의 단어형성과 단어구조 연구" 태학사 1996

      12 이기문, "국어사개설" 태학사 1998

      13 권용경, "국어 사이시옷에 대한 통시적 연구" 서울대학교 2001

      14 최형용, "국어 동의파생어 연구" 국어학회 52 (52): 27-54, 2008

      15 김광해, "고유어와 한자어의 대응 현상" 탑출판사 1989

      16 정시호, "가족유사성 개념과 공통속성-어휘장 이론과 관련하여" 7 : 491-520, 2000

      17 Dörschner, N., "Wortfeldkonzeption und Theorie der Prototypen im Vergleich" Münster 1996

      18 Booij, G., "The Grammar of Words"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9 Ullmann, S., "Semantics-An Introduction to the Science of Meaning" Blackwell 1962

      20 Aronoff, M., "Linguistic Inquiry Monograph no. 1" MIT Press 1976

      21 박종갑, "(토론식 강의를 위한)국어 의미론" 박이정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Morphology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형태론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87 2.42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