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앙교육을 위한 교육방법론 연구 = A Study of Educational Methodology for Faith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88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method in Christian education is a means or an instrument among many educational elements for effective education. This study mentions several things to help understanding in method of Christian education.
      First,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understood together. Second,Christian aspect as well as educational and social scientific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Third, understanding about text and context should be premised on an assumption. Last, it should be understood with other elements.
      The next chapter explains Richard Osmer’s four concepts of faith and their concrete methods-lecture for the teaching of belief, discussion for the teaching of relationship, reinterpretation of life story for the teaching of commitment, and paradox, reform, and parables for the teaching of mystery. And then, it explains Sara Little’s concept of belief and five teaching models-Believing and Think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roach, Believing and Participation: Group Interaction Models, Believing and Encountering: Indirect Communication, Believing and Becoming Aware:Personal Development and Believing and Doing: Action/Reflection. Mary Elizabeth tries to make a bridge between the lands of educational method and process theology and suggests five teaching methods-Midwife Teaching:Case Study Method, Integrative Teaching: Gestalt Method, Incarnational Teaching: Phenomenological Method, Relational Teaching: Narrative Method and Liberative Teaching: Conscientizing Method. The last chapter suggests several things to apply concretely for the methods of Christian education. Methods in Christian education should be differently chosen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of growth and change in Christian education, the levels of faith content, individual or group,input educational content on students or output that from them, teacher centered or student centered, and using educational materials or not.
      번역하기

      A method in Christian education is a means or an instrument among many educational elements for effective education. This study mentions several things to help understanding in method of Christian education. First,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und...

      A method in Christian education is a means or an instrument among many educational elements for effective education. This study mentions several things to help understanding in method of Christian education.
      First,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understood together. Second,Christian aspect as well as educational and social scientific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Third, understanding about text and context should be premised on an assumption. Last, it should be understood with other elements.
      The next chapter explains Richard Osmer’s four concepts of faith and their concrete methods-lecture for the teaching of belief, discussion for the teaching of relationship, reinterpretation of life story for the teaching of commitment, and paradox, reform, and parables for the teaching of mystery. And then, it explains Sara Little’s concept of belief and five teaching models-Believing and Think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roach, Believing and Participation: Group Interaction Models, Believing and Encountering: Indirect Communication, Believing and Becoming Aware:Personal Development and Believing and Doing: Action/Reflection. Mary Elizabeth tries to make a bridge between the lands of educational method and process theology and suggests five teaching methods-Midwife Teaching:Case Study Method, Integrative Teaching: Gestalt Method, Incarnational Teaching: Phenomenological Method, Relational Teaching: Narrative Method and Liberative Teaching: Conscientizing Method. The last chapter suggests several things to apply concretely for the methods of Christian education. Methods in Christian education should be differently chosen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of growth and change in Christian education, the levels of faith content, individual or group,input educational content on students or output that from them, teacher centered or student centered, and using educational materials or no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기독교교육방법론에 있어서 방법이란 여러 요소 중 하나로 효율적인 교육을 위한 하나의 수단이나 도구이다. 이 연구는 먼저 기독교교육에서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교수와 학습은 함께 이해되어야 하며, 교육학적, 사회과학적 차원과 더불어 기독교적인 차원을 고려해야 하며, 교재(text)와 현장(context)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하며, 다른 교육의 요소들과 함께 이해되어야 함을 언급했다.
      다음 장에서는 리차드 오스머의 신앙의 네 가지 신앙의 개념과 더불어 신념을 위한 교육으로 강의법, 관계를 위한 교육으로 토의법, 헌신을 위한 교육으로 삶의 이야기 재해서,신비를 위한 교육으로 비유, 반대교수, 재구성의 방법을 설명하였다. 사라 리틀의 신념의개념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다섯 가지 교수 모델-믿기와 생각하기의 정보처리과정, 믿기와 참여하기의 집단상호작용 모델, 믿기와 만나기의 간접적 의사소통, 믿기와 깨닫기의 인격발달, 믿기와 행하기의 행동과 반성-을 설명하였다. 과정신학과 교육방법을 연결시킨엘리자베스 무어의 다섯 가지 교수 모형-산파식의 사례연구, 통합적인 형태방법, 성육적인 현상학적 방법, 관계적인 이야기 방법, 해방적인 의식화 방법을 설명하였다. 각 이론에따라 신앙교육에 있어서 목적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신앙을 가르침으로 형성시키고 성장하게 하고 변화를 유도하는 것은 공통적이다. 따라서 각 이론에 따라 성취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구체적 방법은 같은 것도 있고 다른 것도 있다. 그러나 여러 이론들에 대한 이해를 통해 신앙교육에는 어떤 면들이 포함되어야 하며, 어떤 방법으로 교수해야 하는지, 학습자들은 어떤 방법으로 신앙을 형성해 가는지에 대한 공통적인 이해를 얻게 될 것이다.
      기독교육방법론을 구체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몇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기독교적 성장과 변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방법이 선택되어져야 한다. 둘째, 신앙의 내용 수준에 따라 다른 방법이 선택되어져야 한다. 셋째, 개인적 또는 집단적으로 실시하느냐에 따라 방법이 선택되어져야 한다. 넷째, 학습자들에게 내용을 집어넣느냐 학생들 안에서 나오게 하느냐에 따라 방법이 다르게 선택되어져야 한다. 다섯째, 교사 중심이냐 학습자중심이냐에 따라 다른 방법이 선택되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매체를 사용하느냐 안하느냐에 따라 방법론은 다르게 적용되어져야 한다.
      번역하기

      기독교교육방법론에 있어서 방법이란 여러 요소 중 하나로 효율적인 교육을 위한 하나의 수단이나 도구이다. 이 연구는 먼저 기독교교육에서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교수와 학습은 ...

      기독교교육방법론에 있어서 방법이란 여러 요소 중 하나로 효율적인 교육을 위한 하나의 수단이나 도구이다. 이 연구는 먼저 기독교교육에서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교수와 학습은 함께 이해되어야 하며, 교육학적, 사회과학적 차원과 더불어 기독교적인 차원을 고려해야 하며, 교재(text)와 현장(context)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하며, 다른 교육의 요소들과 함께 이해되어야 함을 언급했다.
      다음 장에서는 리차드 오스머의 신앙의 네 가지 신앙의 개념과 더불어 신념을 위한 교육으로 강의법, 관계를 위한 교육으로 토의법, 헌신을 위한 교육으로 삶의 이야기 재해서,신비를 위한 교육으로 비유, 반대교수, 재구성의 방법을 설명하였다. 사라 리틀의 신념의개념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다섯 가지 교수 모델-믿기와 생각하기의 정보처리과정, 믿기와 참여하기의 집단상호작용 모델, 믿기와 만나기의 간접적 의사소통, 믿기와 깨닫기의 인격발달, 믿기와 행하기의 행동과 반성-을 설명하였다. 과정신학과 교육방법을 연결시킨엘리자베스 무어의 다섯 가지 교수 모형-산파식의 사례연구, 통합적인 형태방법, 성육적인 현상학적 방법, 관계적인 이야기 방법, 해방적인 의식화 방법을 설명하였다. 각 이론에따라 신앙교육에 있어서 목적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신앙을 가르침으로 형성시키고 성장하게 하고 변화를 유도하는 것은 공통적이다. 따라서 각 이론에 따라 성취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구체적 방법은 같은 것도 있고 다른 것도 있다. 그러나 여러 이론들에 대한 이해를 통해 신앙교육에는 어떤 면들이 포함되어야 하며, 어떤 방법으로 교수해야 하는지, 학습자들은 어떤 방법으로 신앙을 형성해 가는지에 대한 공통적인 이해를 얻게 될 것이다.
      기독교육방법론을 구체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몇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기독교적 성장과 변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방법이 선택되어져야 한다. 둘째, 신앙의 내용 수준에 따라 다른 방법이 선택되어져야 한다. 셋째, 개인적 또는 집단적으로 실시하느냐에 따라 방법이 선택되어져야 한다. 넷째, 학습자들에게 내용을 집어넣느냐 학생들 안에서 나오게 하느냐에 따라 방법이 다르게 선택되어져야 한다. 다섯째, 교사 중심이냐 학습자중심이냐에 따라 다른 방법이 선택되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매체를 사용하느냐 안하느냐에 따라 방법론은 다르게 적용되어져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서균, "현대 기독교교육 입문" 도서출판 혜본 2001

      2 김태원, "한국교회의 교육방법론 개혁에 관한 소고" 한국기독교교육학회 1 : 55-76, 1996

      3 강희천, "종교심리와 기독교교육" 대한기독교서회 2001

      4 백영균, "유비쿼터스 시대의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학지사 2006

      5 Moore, E., "심장으로 하는 신학과 교육" 한국신학연구소 1998

      6 Wilhoit, J, "성경을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비결" 도서출판 프리셉트 2003

      7 Little, S, "기독교육 교수방법론" 한국장로교출판사 1983

      8 강용원, "기독교교육방법론" 도서출판 기독한교 2008

      9 정정미, "기독교교육 방법으로서 해석의 역할" 한국기독교교육학회 7 : 135-176, 2001

      10 변영계, "교수 학습이론의 이해" 학지사 2006

      1 신서균, "현대 기독교교육 입문" 도서출판 혜본 2001

      2 김태원, "한국교회의 교육방법론 개혁에 관한 소고" 한국기독교교육학회 1 : 55-76, 1996

      3 강희천, "종교심리와 기독교교육" 대한기독교서회 2001

      4 백영균, "유비쿼터스 시대의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학지사 2006

      5 Moore, E., "심장으로 하는 신학과 교육" 한국신학연구소 1998

      6 Wilhoit, J, "성경을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비결" 도서출판 프리셉트 2003

      7 Little, S, "기독교육 교수방법론" 한국장로교출판사 1983

      8 강용원, "기독교교육방법론" 도서출판 기독한교 2008

      9 정정미, "기독교교육 방법으로서 해석의 역할" 한국기독교교육학회 7 : 135-176, 2001

      10 변영계, "교수 학습이론의 이해" 학지사 2006

      11 Westerhoff, J. H, "Will Our Children have Faith?" Seabury Press 1979

      12 Brunner, J, "Towards a theory of instruc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66

      13 Smart, J., "Teaching ministry of the church; an examination of the basic principles of Christian education" Westminster Press 1954

      14 Habermas, R, "Teaching for Reconciliation, In 화목을 위한 가르침" 도서출판 디모데 1996

      15 Osmer, R, "Teaching for Faith, In 신앙교육을 위한 교수방법" 한국장로교출판사 1995

      16 Seels, B, "Instructional Technology: The definition and domains of the field" AECT 1994

      17 Pazmino, R, "God Our Teacher, In 교사이신 하나님: 기독교교육의 신학적 기초" 크리스챤출판사 2005

      18 Leypoldt, M., "40가지 교수-학습방법" 한국장로교출판사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CI등재
      2014-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6-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 Society for 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6-06-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87 1.101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