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호주군에 수용된 조선인 전쟁포로 = Korean prisoners of war arrested by Australian Arm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300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hows the reality of the people who served forcibly in New Guinea by listing the Korean soldier and civilians in the house of captives reported by Australian National Archive. The majority of the Korean soldiers and civilians in the captive house were farmers from Jeollado or Gyunggsangdo. Most of them, captured in the Buna and Giruwa battle in the January, 1943, belonged to the 15th Navy Seolyoungdae for constructing an airport. From the spring of 1944 to the fall of the same year, hence the battle front extended to northwest of New Guinea, prisoners of war were increased and their units members were various.
      Australian government treated prisoners of war following the Geneva Conventions, on the one hand distinguished the Japanese captives from the Korean captives, who were held in Cowra captive houses. After the Japan was defeated, MacArthur let the Korean captives and the Taiwan captives withdrawn to Japan in March, 1946, later than the withdrawal of the Japanese prisoner of war. The Japanese captives couldn't send messages to their home because of the military culture, which caused the Cowra accident.
      번역하기

      This shows the reality of the people who served forcibly in New Guinea by listing the Korean soldier and civilians in the house of captives reported by Australian National Archive. The majority of the Korean soldiers and civilians in the captive house...

      This shows the reality of the people who served forcibly in New Guinea by listing the Korean soldier and civilians in the house of captives reported by Australian National Archive. The majority of the Korean soldiers and civilians in the captive house were farmers from Jeollado or Gyunggsangdo. Most of them, captured in the Buna and Giruwa battle in the January, 1943, belonged to the 15th Navy Seolyoungdae for constructing an airport. From the spring of 1944 to the fall of the same year, hence the battle front extended to northwest of New Guinea, prisoners of war were increased and their units members were various.
      Australian government treated prisoners of war following the Geneva Conventions, on the one hand distinguished the Japanese captives from the Korean captives, who were held in Cowra captive houses. After the Japan was defeated, MacArthur let the Korean captives and the Taiwan captives withdrawn to Japan in March, 1946, later than the withdrawal of the Japanese prisoner of war. The Japanese captives couldn't send messages to their home because of the military culture, which caused the Cowra accid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호주 국가기록원이 공개한 자료를 기초로 포로수용소에 있던 조선인 군인ㆍ군속의 명부를 정리하여 뉴기니로 강제 동원된 사람들의 실상을 밝히고자 한다.
      호주의 포로수용소에 수용된 조선인 군인과 군속 다수는 전라도와 경상도 출신의 농민들이었다. 군속들 대부분은 비행장 건설에 투입된 제15해군설영대(공병대) 소속이며, 1943년 1월에 있었던 뉴기니의 Buna와 Giruwa 전투에서 포로로 잡혔다. 1944년 봄부터 가을에 걸쳐 전선이 뉴기니 북서쪽으로 확대됨에 따라 포로들도 늘어났으며, 소속도 다양해졌다.
      호주 정부는 제네바협약에 따라 포로들을 대우하는 한편, 일본인과 조선인을 분리해서 수용했으며, 조선인들은 대부분 Cowra 수용소에 수용되었다. 일본이 패전한 뒤, 맥아더사령부는 일본 내의 정치 상황을 우려하여 조선인과 대만인 포로들을 일본병보다 늦은 1946년 3월에 일본으로 송환하였다. 포로가 되는 것을 수치로 여기는 일본의 군사문화 때문에 포로들은 고향과 연락할 수 없었고, 이러한 문화 차이는 카우라 사건을 낳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
      번역하기

      이 글은 호주 국가기록원이 공개한 자료를 기초로 포로수용소에 있던 조선인 군인ㆍ군속의 명부를 정리하여 뉴기니로 강제 동원된 사람들의 실상을 밝히고자 한다. 호주의 포로수용소에 ...

      이 글은 호주 국가기록원이 공개한 자료를 기초로 포로수용소에 있던 조선인 군인ㆍ군속의 명부를 정리하여 뉴기니로 강제 동원된 사람들의 실상을 밝히고자 한다.
      호주의 포로수용소에 수용된 조선인 군인과 군속 다수는 전라도와 경상도 출신의 농민들이었다. 군속들 대부분은 비행장 건설에 투입된 제15해군설영대(공병대) 소속이며, 1943년 1월에 있었던 뉴기니의 Buna와 Giruwa 전투에서 포로로 잡혔다. 1944년 봄부터 가을에 걸쳐 전선이 뉴기니 북서쪽으로 확대됨에 따라 포로들도 늘어났으며, 소속도 다양해졌다.
      호주 정부는 제네바협약에 따라 포로들을 대우하는 한편, 일본인과 조선인을 분리해서 수용했으며, 조선인들은 대부분 Cowra 수용소에 수용되었다. 일본이 패전한 뒤, 맥아더사령부는 일본 내의 정치 상황을 우려하여 조선인과 대만인 포로들을 일본병보다 늦은 1946년 3월에 일본으로 송환하였다. 포로가 되는 것을 수치로 여기는 일본의 군사문화 때문에 포로들은 고향과 연락할 수 없었고, 이러한 문화 차이는 카우라 사건을 낳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영식, "호주 ‘카우라 수용소’의 한인들①―생존자의 후손 박수진씨를 만나다"

      2 신주백, "한국에서 일본의 강제동원에 대한 연구 현황과 방향" 한일민족문제학회 (27) : 183-218, 2014

      3 김도형, "태평양전쟁기 격전지와 조선인 희생자에 관한 연구­뉴기니아지역을 중심으로"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 2006

      4 김도형, "중부태평양 팔라우 군도 한인의 강제동원과 귀환"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6) : 231-252, 2006

      5 樋口雄一, "조선인 강제동원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일민족문제학회 (30) : 225-251, 2016

      6 심재욱, "전시체제기 조선인 해군군속의 일본 지역 동원 현황 - ­구일본해군 조선인군속 관련 자료(2009)의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81) : 323-365, 2014

      7 강필구, "일제의 전시체제기 조선인 강제동원 실태분석 : 대구광역시 강제동원 피해신고자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8 김명환, "일제말기 조선인의 남양군도 이주와 그 성격(1939~1941)" 한국민족운동사학회 (64) : 227-276, 2010

      9 김도형, "일제 말기 필리핀·버마지역 한인 병사의 강제동원과 귀환"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47) : 153-196, 2014

      10 鄭惠瓊, "일제 말기 조선인 군노무자의 실태 및 귀환"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 : 3-92, 2003

      1 구영식, "호주 ‘카우라 수용소’의 한인들①―생존자의 후손 박수진씨를 만나다"

      2 신주백, "한국에서 일본의 강제동원에 대한 연구 현황과 방향" 한일민족문제학회 (27) : 183-218, 2014

      3 김도형, "태평양전쟁기 격전지와 조선인 희생자에 관한 연구­뉴기니아지역을 중심으로"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 2006

      4 김도형, "중부태평양 팔라우 군도 한인의 강제동원과 귀환"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6) : 231-252, 2006

      5 樋口雄一, "조선인 강제동원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일민족문제학회 (30) : 225-251, 2016

      6 심재욱, "전시체제기 조선인 해군군속의 일본 지역 동원 현황 - ­구일본해군 조선인군속 관련 자료(2009)의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81) : 323-365, 2014

      7 강필구, "일제의 전시체제기 조선인 강제동원 실태분석 : 대구광역시 강제동원 피해신고자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8 김명환, "일제말기 조선인의 남양군도 이주와 그 성격(1939~1941)" 한국민족운동사학회 (64) : 227-276, 2010

      9 김도형, "일제 말기 필리핀·버마지역 한인 병사의 강제동원과 귀환"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47) : 153-196, 2014

      10 鄭惠瓊, "일제 말기 조선인 군노무자의 실태 및 귀환"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 : 3-92, 2003

      11 조건, "일제 말기 關東軍의 韓人 동원과 피해 실태" 한일민족문제학회 (29) : 71-106, 2015

      12 정혜경, "일제 말기 ‘남양군도’의 조선인 노동자" 한국민족운동사학회 44 : 169-228, 2005

      13 오마이뉴스, "일본인은 포로수용소에서도 한국인 천대했다"

      14 대일항쟁기강제동원피해조사및국외강제동원희생자등지원위원회, "위원회 활동 결과보고서" 2016

      15 이공석, "남방기행" 일제강점하강제동원진상규명위원회 2008

      16 정혜경, "국민징용령과 조선인 인력동원의 성격 : 노무자와 군속의 틀을 넘어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56) : 189-238, 2008

      17 박수현, "구일본군 해군설영대에 대한 연구보고서" 일제강점하강제동원진상규명위원회가 2006

      18 庵逧由香, "강제동원에 대한 연구 성과와 자료현황" 2000

      19 藤原彰, "餓死した英靈たち" 靑木書店 2001

      20 樋口雄一, "皇軍兵士にされた朝鮮人-十五年戰爭下の總動員體制の硏究" 社會評論社 1991

      21 福家隆, "痛恨の東部ニユ-ギニア戰" 戰誌刊行會 1997

      22 佐用泰司, "海軍設營隊の太平洋戰爭, 航空基地築城の展開と活躍" 光人社 2001

      23 정혜경, "公文書의 微視的 構造 認識으로 본 南洋農業移民(1939~1940)" 3 : 2002

      24 岩崎敏夫, "ルソン海軍設營隊戰記" 光人社 2002

      25 佐藤小太郞, "バラレ海軍設營隊" プレシデント社 1994

      26 심재욱, "[舊日本海軍 朝鮮人軍屬 關聯 資料(2009)]의 微視的 分析" 한일민족문제학회 (24) : 99-155, 2013

      27 "History-Directorate of Prisoners of War and Internees­1939~1951"

      28 남경희, "930~40년대 마이크로네시아(Micronesia) 한인의 이주와 강제연행" 국민대학교 2005

      29 김명환, "1944년 남양청의 조선인 노무자 동원과 귀환" 한국민족운동사학회 (76) : 121-162, 2013

      30 김명환, "1943~1944年 팔라우(Palau)地域 朝鮮人 勞務者 强制動員-『朝鮮人勞務者關係綴』 分析을 中心으로-" 한일민족문제학회 (14) : 75-120,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6 1.61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