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섬진강의 어살[漁箭] 어로(漁撈) 고찰 = A Study on the Sumjin River`s fishpound fish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362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량 생산과 대량 소비가 이루어지는 현대사회에서 바다 고기에 비해 민물고기는 그다지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여러 이유에 의해 식품으로, 축제 소재로 활용되고 있는 민물고기를 지금도 다양한 방식으로 잡고 있다. 이 중에서 어살[漁箭, 魚箭]은 해양어로의 과거와 현재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강어로 방식이다. 섬진강에 존재한 고뱅이어살과 살뿌리어살은 물의 흐름을 이용하는 어로방식이나 물고기를 유인하는 구조물의 존재 등은 현존하고 있는 해양어살과 유사하다. 다양한 강어로 방식은 우리나라의 어로사(漁撈史)를 재구성해볼 수 있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지금도 강어로는 방식의 변화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존재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의 전통어로방식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들이기에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었으면 한다.
      번역하기

      대량 생산과 대량 소비가 이루어지는 현대사회에서 바다 고기에 비해 민물고기는 그다지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여러 이유에 의해 식품으로, 축제 소재로 활용되고 있는 민...

      대량 생산과 대량 소비가 이루어지는 현대사회에서 바다 고기에 비해 민물고기는 그다지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여러 이유에 의해 식품으로, 축제 소재로 활용되고 있는 민물고기를 지금도 다양한 방식으로 잡고 있다. 이 중에서 어살[漁箭, 魚箭]은 해양어로의 과거와 현재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강어로 방식이다. 섬진강에 존재한 고뱅이어살과 살뿌리어살은 물의 흐름을 이용하는 어로방식이나 물고기를 유인하는 구조물의 존재 등은 현존하고 있는 해양어살과 유사하다. 다양한 강어로 방식은 우리나라의 어로사(漁撈史)를 재구성해볼 수 있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지금도 강어로는 방식의 변화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존재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의 전통어로방식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들이기에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었으면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eshwater fish does not receive attention so much than sea fish in the comtemporary society with mass production and mass consumption. But Freshwater fish utilized for food and material of festival by the various reasons, still caught in different ways. A fishpound is an important river fishery method to understand the past of sea fishery. Gobaengyi(고뱅이)-fishpound and Salppuri(살뿌리)-fishpound of Sumjin River are similar to existing sea fishery method in the ways of using the flow of water and existence of structure for luring fish. We can reconstruct our fishery history through the varied fishery method. Even now river fishery exist in various change of method. And it has a meaning to comprehend our traditional fishery method.
      번역하기

      Freshwater fish does not receive attention so much than sea fish in the comtemporary society with mass production and mass consumption. But Freshwater fish utilized for food and material of festival by the various reasons, still caught in different wa...

      Freshwater fish does not receive attention so much than sea fish in the comtemporary society with mass production and mass consumption. But Freshwater fish utilized for food and material of festival by the various reasons, still caught in different ways. A fishpound is an important river fishery method to understand the past of sea fishery. Gobaengyi(고뱅이)-fishpound and Salppuri(살뿌리)-fishpound of Sumjin River are similar to existing sea fishery method in the ways of using the flow of water and existence of structure for luring fish. We can reconstruct our fishery history through the varied fishery method. Even now river fishery exist in various change of method. And it has a meaning to comprehend our traditional fishery metho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농상공부수산국, "한국수산지" 魚箭, 1908

      2 "한국사데이터베이스"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1

      4 "한국고전번역원"

      5 민속학연구소, "청천강 상류의 어로에 관한 보고서" 1955

      6 박종오, "죽방렴(竹防簾) 관련 의례에 나타난 어로관념" 남도민속연구 (22) : 111 ~ 133, 2011

      7 김준, "전통어법 실태조사 및 활용 방안" 리젼인포 (174), 2009

      8 "위키피디아"

      9 "오마이뉴스"

      10 주강현, "신이 내린 황금그물 돌살" 들녘, 2006

      1 농상공부수산국, "한국수산지" 魚箭, 1908

      2 "한국사데이터베이스"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1

      4 "한국고전번역원"

      5 민속학연구소, "청천강 상류의 어로에 관한 보고서" 1955

      6 박종오, "죽방렴(竹防簾) 관련 의례에 나타난 어로관념" 남도민속연구 (22) : 111 ~ 133, 2011

      7 김준, "전통어법 실태조사 및 활용 방안" 리젼인포 (174), 2009

      8 "위키피디아"

      9 "오마이뉴스"

      10 주강현, "신이 내린 황금그물 돌살" 들녘, 2006

      11 순창문화원, "순천땅 섬진강 칠십리" 2009

      12 "순창신문"

      13 박종오, "섬진강 떼배 제작과 운용" 국토지리학회지 44 (1) : 13 ~ 24, 2010

      14 "데일리안"

      15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6 정해옥, "강 이야기 1-하천지명 유래 이야기 4 : 섬진강(蟾津江)" 하천과 문화 (봄), 2013

      17 "高麗史" 1990

      18 박구병, "谷成 살뿌리漁箭에 관한 調査" 수산업사연구 1, 1994

      19 和田長三, "漁のしるべ" 協同印刷社, 1938

      20 "每日申報"

      21 "東國李相國全集"

      22 "朝鮮日報"

      23 "新增東國輿地勝覽"

      24 "承政院日記"

      25 "成宗實錄"

      26 "均役廳事目"

      27 곡성군, "國譯 谷城郡誌" 1994

      28 "世宗實錄"

      29 Andres von Brandt, "Fish catching methods of the world" Fishing News Books Ltd, 197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