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계획행동이론(TPB)에 기초한 여가교육이 중년여성의 건강인식, 생성감 및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5641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중년여성에게 여가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여가에 대한 이해와 여가목표를 설정하고 여가기술의 습득 및 여가자원탐색을 통하여 신체적 여가활동의 참여를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계획행동이론에 기초한 여가교육으로 중년여성의 주관적 건강인식, 생성감 및 성공적 노화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강원도 춘천시 소재 S, D면에 거주하고 있는 40세∼만 65세 미만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30명, 통제집단 30명을 선정하여 여가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실험 과정 중 탈락자를 제외한 실험집단 29명과 통제집단 28명을 최종 분석을 위한 연구대상자로 확정하였다.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SPSS Windows 18.0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카이스퀘어 검증(Chi-square test), 독립 t검증(Independent t-test), 이원변량분석(Two-way reapeated ANOVA), 대응 t검증(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계획행동이론에 기초한 여가교육이 중년여성의 계획행동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여가교육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행동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력, 행동의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은 여가교육 참여 전 보다 참여 후, 계획행동이론변수의 모든 요인에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4주후, 8주후 모두에서 향상되었다. 반면 행동에 대한 태도가 4주후에서 8주후 시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오히려 태도수준이 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계획행동이론에 기초한 여가교육이 중년여성의 주관적 건강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여가교육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은 여가교육 참여 전 보다 참여 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4주후, 8주후 모두에서 향상되었다.
      셋째, 계획행동이론에 기초한 여가교육이 중년여성의 생성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여가교육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일과 여가, 배려심, 현실적 낙관성, 성찰과 실행, 관계와 자유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은 여가교육 참여 전 보다 참여 후, 생성감의 하위요인 중 중년의 정체감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일과 여가, 배려심, 현실적 낙관성, 관계와 자유는 4주후, 8주후 모두에서 향상되었으며, 성찰과 실행은 사전에서 4주후에 향상되었다. 반면, 중년의 정체감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계획행동이론에 기초한 여가교육이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여가교육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자율적 삶, 자기완성지향, 적극적 인생참여, 자녀에 대한 만족, 자기수용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은 여가교육 참여 전 보다 참여 후, 성공적 노화의 하위요인 중 자녀에 대한 만족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자율적 삶, 적극적 인생참여, 자기수용은 4주후, 8주후 모두에서 향상되었으며, 자기완성지향은 사전에서 4주후에 향상되었다. 반면, 자녀에 대한 만족은 시기 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계획행동이론에 기초한 8주간의 여가교육은 계획행동이론의 변수를 향상시키고, 주관적 건강인식, 생성감 및 성공적 노화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요인을 향상시켜 줌으로써 여가교육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미래의 노년을 맞이해야 할 중년여성에게 활용도가 높은 여가교육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며, 여가교육의 기회의 제공으로 신체활동을 통한 여가활동의 참여를 증진시켜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중년여성에게 여가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여가에 대한 이해와 여가목표를 설정하고 여가기술의 습득 및 여가자원탐색을 통하여 신체적 여가활동의 참여를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

      중년여성에게 여가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여가에 대한 이해와 여가목표를 설정하고 여가기술의 습득 및 여가자원탐색을 통하여 신체적 여가활동의 참여를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계획행동이론에 기초한 여가교육으로 중년여성의 주관적 건강인식, 생성감 및 성공적 노화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강원도 춘천시 소재 S, D면에 거주하고 있는 40세∼만 65세 미만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30명, 통제집단 30명을 선정하여 여가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실험 과정 중 탈락자를 제외한 실험집단 29명과 통제집단 28명을 최종 분석을 위한 연구대상자로 확정하였다.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SPSS Windows 18.0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카이스퀘어 검증(Chi-square test), 독립 t검증(Independent t-test), 이원변량분석(Two-way reapeated ANOVA), 대응 t검증(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계획행동이론에 기초한 여가교육이 중년여성의 계획행동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여가교육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행동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력, 행동의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은 여가교육 참여 전 보다 참여 후, 계획행동이론변수의 모든 요인에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4주후, 8주후 모두에서 향상되었다. 반면 행동에 대한 태도가 4주후에서 8주후 시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오히려 태도수준이 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계획행동이론에 기초한 여가교육이 중년여성의 주관적 건강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여가교육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은 여가교육 참여 전 보다 참여 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4주후, 8주후 모두에서 향상되었다.
      셋째, 계획행동이론에 기초한 여가교육이 중년여성의 생성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여가교육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일과 여가, 배려심, 현실적 낙관성, 성찰과 실행, 관계와 자유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은 여가교육 참여 전 보다 참여 후, 생성감의 하위요인 중 중년의 정체감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일과 여가, 배려심, 현실적 낙관성, 관계와 자유는 4주후, 8주후 모두에서 향상되었으며, 성찰과 실행은 사전에서 4주후에 향상되었다. 반면, 중년의 정체감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계획행동이론에 기초한 여가교육이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여가교육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자율적 삶, 자기완성지향, 적극적 인생참여, 자녀에 대한 만족, 자기수용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은 여가교육 참여 전 보다 참여 후, 성공적 노화의 하위요인 중 자녀에 대한 만족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자율적 삶, 적극적 인생참여, 자기수용은 4주후, 8주후 모두에서 향상되었으며, 자기완성지향은 사전에서 4주후에 향상되었다. 반면, 자녀에 대한 만족은 시기 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계획행동이론에 기초한 8주간의 여가교육은 계획행동이론의 변수를 향상시키고, 주관적 건강인식, 생성감 및 성공적 노화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요인을 향상시켜 줌으로써 여가교육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미래의 노년을 맞이해야 할 중년여성에게 활용도가 높은 여가교육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며, 여가교육의 기회의 제공으로 신체활동을 통한 여가활동의 참여를 증진시켜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study aims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middle-aged women into the physical recreational activity through leisure education, in which they further their understanding, set goals and acquire and explore the recreational resources. To achieve this objective, we test the effects of leisure education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on the perception of personal health, generativity and successful aging of this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s of 30 middle-aged women who are from 40 to 65 years old and residing in S or D myeon(township) of Chuncheon-si, Gangwon-do. Another group of 30 middle-aged women who have equivalent conditions with the experiment group is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Final data analyses are conducted on 29 experimental group and 28 control group excluding the unqualified samples.
      Amos 18.0 software is used to conduc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PSS indow 18.0 is used to conduct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two way repeated ANOVA and paired t-test. The findings from the analyses appear below.
      First,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TPB-based leisure education on the variables of planned behavior of the middle-aged women shows that after the leisure education,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ttitude toward the behavior,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 control, and behavioral inten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r which the experimental group's results ar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Also,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improved results in all of the variables of the TPB, as well as th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week-4 and week-8.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attitude toward the behavior also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week-4 and week-8, but it has been decreased from week-4 to week-8.
      Second,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TPB-based leisure education on the perceived personal health of the middle-aged women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r which the experimental group's results ar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improvements after the education as well as th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week-4 and week-8.
      Third,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TPB-based leisure education on the generativity of the middle-aged women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work and leisure time, thoughtfulness, practical positivity, introspection and action, and relationship and freedom, all of which the experimental group's results ar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duca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improved results in all of the sub-factors of generativity except the sense of ego-identity of the middle age. More specifically, there a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both week-4 and week-8 for work and leisure time, thoughtfulness, and relationship and freedom; while introspection and action show significant improvement only in week-4. On the other hand, the sense of ego-identity does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Forth,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TPB-based leisure education on successful aging of the middle-aged women shows that after the education,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autonomous life, self-perfecting orientation, active participation on life, satisfaction towards the children, and self acceptance, all of which the experimental group's results ar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duca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improved results in all of the sub-factors of successful aging except the satisfaction towards the children. More specifically, there a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both week-4 and week-8 for autonomous life, active participation on life and self acceptance; while self-perfecting orientation shows significant improvement only in week-4. However, the satisfaction towards the children does not show an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iming.
      To sum up the results, the 8-week leisure education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s shown effective by improving the variables of the TPB, and most of the factors consisting subjective perception of health, generativity and successful aging. Therefore, the education is highly utilizable for the middle-aged women close to the old age in the near future, and we recommend to encourage the participation into the physical recreational activity with the offering of opportunities for the leisure education.
      번역하기

      The study aims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middle-aged women into the physical recreational activity through leisure education, in which they further their understanding, set goals and acquire and explore the recreational resources. To achieve th...

      The study aims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middle-aged women into the physical recreational activity through leisure education, in which they further their understanding, set goals and acquire and explore the recreational resources. To achieve this objective, we test the effects of leisure education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on the perception of personal health, generativity and successful aging of this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s of 30 middle-aged women who are from 40 to 65 years old and residing in S or D myeon(township) of Chuncheon-si, Gangwon-do. Another group of 30 middle-aged women who have equivalent conditions with the experiment group is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Final data analyses are conducted on 29 experimental group and 28 control group excluding the unqualified samples.
      Amos 18.0 software is used to conduc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PSS indow 18.0 is used to conduct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two way repeated ANOVA and paired t-test. The findings from the analyses appear below.
      First,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TPB-based leisure education on the variables of planned behavior of the middle-aged women shows that after the leisure education,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ttitude toward the behavior,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 control, and behavioral inten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r which the experimental group's results ar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Also,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improved results in all of the variables of the TPB, as well as th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week-4 and week-8.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attitude toward the behavior also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week-4 and week-8, but it has been decreased from week-4 to week-8.
      Second,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TPB-based leisure education on the perceived personal health of the middle-aged women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r which the experimental group's results ar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improvements after the education as well as th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week-4 and week-8.
      Third,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TPB-based leisure education on the generativity of the middle-aged women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work and leisure time, thoughtfulness, practical positivity, introspection and action, and relationship and freedom, all of which the experimental group's results ar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duca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improved results in all of the sub-factors of generativity except the sense of ego-identity of the middle age. More specifically, there a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both week-4 and week-8 for work and leisure time, thoughtfulness, and relationship and freedom; while introspection and action show significant improvement only in week-4. On the other hand, the sense of ego-identity does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Forth,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TPB-based leisure education on successful aging of the middle-aged women shows that after the education,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autonomous life, self-perfecting orientation, active participation on life, satisfaction towards the children, and self acceptance, all of which the experimental group's results ar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duca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improved results in all of the sub-factors of successful aging except the satisfaction towards the children. More specifically, there a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both week-4 and week-8 for autonomous life, active participation on life and self acceptance; while self-perfecting orientation shows significant improvement only in week-4. However, the satisfaction towards the children does not show an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iming.
      To sum up the results, the 8-week leisure education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s shown effective by improving the variables of the TPB, and most of the factors consisting subjective perception of health, generativity and successful aging. Therefore, the education is highly utilizable for the middle-aged women close to the old age in the near future, and we recommend to encourage the participation into the physical recreational activity with the offering of opportunities for the leisure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5
      • 목 차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5
      • 3. 연구 가설 5
      • 4. 용어의 정의 7
      • 5. 연구의 제한점 11
      • Ⅱ. 이론적 배경 12
      • 1. 계획행동이론 12
      • 2. 여가교육 19
      • 3. 주관적 건강인식 26
      • 4. 생성감 29
      • 5. 성공적 노화 34
      • Ⅲ. 연구방법 40
      • 1. 연구설계 40
      • 2. 연구대상 41
      • 3. 조사도구 42
      • 4. 조사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44
      • 5. 연구진행절차 50
      • 6. 자료처리 57
      • Ⅳ. 연구 결과 58
      • 1. 동질성검증 58
      • 2. 가설검증 61
      • Ⅴ. 논의 82
      • 1. 여가교육이 중년여성의 계획행동이론 변수에 미치는 영향 82
      • 2. 여가교육이 중년여성의 주관적 건강인식에 미치는 영향 87
      • 3. 여가교육이 중년여성의 생성감에 미치는 영향 89
      • 4. 여가교육이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95
      • Ⅵ. 결론 및 제언 102
      • 1. 결론 102
      • 2. 제언 104
      • 참고문헌 106
      • 부록 125
      • 1. 설문지 125
      • 2. 여가교육 주차별 세부진행계획 131
      • 3. 교육자료 140
      • Abstract 172
      • 표 목 차
      • 표 1. 연구설계 40
      • 표 2. 설문지 구성내용 44
      • 표 3. 계획행동이론 변수 확인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46
      • 표 4. 주관적 건강인식 신뢰도 분석 47
      • 표 5. 생성감 확인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48
      • 표 6. 성공적 노화 확인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49
      • 표 7. 여가교육의 구성 53
      • 표 8. 운동동작의 구성 55
      • 표 9.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 59
      • 표 10.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 60
      • 표 11. 행동에 대한 태도 집단 및 시기 분석결과 62
      • 표 12. 주관적 규범 집단 및 시기 분석결과 63
      • 표 13. 지각된 행동통제력 집단 및 시기 분석결과 64
      • 표 14. 행동의도 집단 및 시기 분석결과 66
      • 표 16. 주관적 건상인식 집단 및 시기 분석결과 67
      • 표 16. 중년의 정체감 집단 및 시기 분석결과 68
      • 표 17. 일과 여가 집단 및 시기 분석결과 69
      • 표 18. 배려심 집단 및 시기 분석결과 70
      • 표 19. 현실적 낙관성 집단 및 시기 분석결과 71
      • 표 20. 성찰과 실행 집단 및 시기 분석결과 73
      • 표 21. 관계와 자유 집단 및 시기 분석결과 74
      • 표 22. 자율적 삶 집단 및 시기 분석결과 76
      • 표 23. 자기완성지향 집단 및 시기 분석결과 77
      • 표 24. 적극적 인생참여 집단 및 시기 분석결과 78
      • 표 25. 자녀에 대한 만족 집단 및 시기 분석결과 79
      • 표 26. 자기수용 집단 및 시기 분석결과 80
      • 그 림 목 차
      • 그림 1. Fishbein & Ajzen(1975)의 합리적 행동이론(TRA) 모형 13
      • 그림 2. Ajzen(1991)의 계획행동이론(TPB) 모형 14
      • 그림 3. Peterson과 Stumbo의 여가능력모델 22
      • 그림 4. 여가교육의 구성요소 23
      • 그림 5. Baltes & Baltes(1990)의 보상을 수반한 선택적 최적화 원리의 역동성 34
      • 그림 6. Rowe & Kahn(1997)의 성공적 노화 모델 35
      • 그림 7. 측정시기에 따른 태도의 변화 62
      • 그림 8. 측정시기에 따른 주관적 규범의 변화 63
      • 그림 9. 측정시기에 따른 지각된 행동통제력의 변화 65
      • 그림 10. 측정시기에 따른 행동의도의 변화 66
      • 그림 11. 측정시기에 따른 주관적 건강인식의 변화 67
      • 그림 12. 측정시기에 따른 일과 여가의 변화 69
      • 그림 13. 측정시기에 따른 배려심의 변화 71
      • 그림 14. 측정시기에 따른 현실적 낙관성의 변화 72
      • 그림 15. 측정시기에 따른 성찰과 실행의 변화 73
      • 그림 16. 측정시기에 따른 관계와 자유의 변화 74
      • 그림 17. 측정시기에 따른 자율적 삶의 변화 76
      • 그림 18. 측정시기에 따른 자기완성지향의 변화 77
      • 그림 19. 측정시기에 따른 적극적 인생참여의 변화 78
      • 그림 20. 측정시기에 따른 자녀에 대한 만족의 변화 80
      • 그림 21. 측정시기에 따른 자기수용의 변화 8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