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인터넷 명예훼손에 관한 쟁점과 대안 = Study on the Regulation for Defamation in Cybersp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6160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터넷 이용의 확산과 더불어 사이버공간에서 명예훼손행위가 만연하고 있다. 명예훼손행위는 분명하게 범법행위로 제재되어야 하지만, 동시에 명예훼손행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 표현...

      인터넷 이용의 확산과 더불어 사이버공간에서 명예훼손행위가 만연하고 있다. 명예훼손행위는 분명하게 범법행위로 제재되어야 하지만, 동시에 명예훼손행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 표현의 자유라는 매우 소중한 가치를 훼손시켜서도 안 된다. 따라서 표현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면서, 타인의 인격권인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를 규제할 수 있는 최적의 균형점을 찾아야 한다. 명예훼손을 규제하는 방안은 단선적인 처방으로 되는 것이 아니므로 복합적인 처방이 요구된다. 형벌을 통한 규제도 매우 소중한 수단이기는 하나, 형벌의 강화만이 해결책이 될 수 없고, 과도한 규제는 또 다른 부작용을 낳기 때문에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명예훼손행위 규제를 위한 법률의 제정·개정이 잘못되면 민주체제의 근간인 표현의 자유를 훼손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법률적인 규제 외에도 운영상의 개선방안과 자율적인 통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운영상의 개선방안으로 각 사이트별로 명예훼손 행위를 중단시킬 수 있는 `명예훼손 신고센터`를 인지하기 쉽도록 디자인하여 초기화면에 설치할 것을 제안하다. 해당 센터에는 명예훼손행위가 의미하는 바와 처벌내용을 안내하여 교육·홍보의 효과를 얻음은 물론, 손쉽게 신고할 수 있도록 메뉴를 구성하여 신고의 용이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또한 분쟁조정기관과 연계하여 피해자가 신고하거나 조정을 신청할 수 있는 선택권을 주는 것도 검토해 볼만하다. 최선의 규제는 자율적인 통제라는 점에서 자율적으로 명예훼손행위를 경고하고 억제하는 사이버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이버공간에서의 자정기능이 활성화되기 위한 기반은 인터넷을 이용하는 이용자 자신의 권리의식과 타인의 인격권에 대한 자각이다. 나아가 사이버공간의 자정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a new regulation policy, which is to prevent defamation in cyberspace. Nowadays, a defamation act is occurring frequently in cyberspace. A defamation act should be punished strictly as lawbreaking act, but sho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a new regulation policy, which is to prevent defamation in cyberspace. Nowadays, a defamation act is occurring frequently in cyberspace. A defamation act should be punished strictly as lawbreaking act, but should not damage other important value which is called freedom of expression, to control a defamation act. Therefore, we should search the most suitable equilibrium point to regulate defamation act between to ensure freedom of expression. As the best regulation for defamation will not realize by unilinear prescription, composite prescription will be required. Punishment regulation is a important one of decreasing defamation means, but reducing defamation can`t accomplish by punishment regulation only. Besides excessive regulation is bring about on other dysfunction. Therefore, First of all, We should search a improving scheme that advancing operative methods. Reforming operative methods will prevent defamation in cyberspace reasonably. Also, we should create voluntary control culture to regulate defamation in cyberspa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상기, "형법각론" 박영사 2005

      2 임웅, "형법각론" 법문사 2005

      3 이재상, "형법각론" 박영사 2007

      4 배종대, "형법각론" 홍문사 2006

      5 김일수, "형법각론" 박영사 2007

      6 주승희, "현행 사이버 명예훼손죄 법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관련 최근 논의 검토"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 (20): 585-611, 2009

      7 권영성, "헌법" 법문사 2007

      8 김철수, "헌법" 박영사 2007

      9 허영, "헌법" 박영사 2007

      10 정완, "인터넷상 명예훼손의 합리적 대응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7

      1 박상기, "형법각론" 박영사 2005

      2 임웅, "형법각론" 법문사 2005

      3 이재상, "형법각론" 박영사 2007

      4 배종대, "형법각론" 홍문사 2006

      5 김일수, "형법각론" 박영사 2007

      6 주승희, "현행 사이버 명예훼손죄 법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관련 최근 논의 검토"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 (20): 585-611, 2009

      7 권영성, "헌법" 법문사 2007

      8 김철수, "헌법" 박영사 2007

      9 허영, "헌법" 박영사 2007

      10 정완, "인터넷상 명예훼손의 합리적 대응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7

      11 이성식, "인터넷사이트 집합적 효율성과 사이버언어폭력"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 (19): 167-189, 2008

      12 정완, "사이버범죄의 주요동향과 형사정책적 과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8 (18): 1499-1536, 2007a

      13 백광훈, "사이버범죄에 대한 ISP의 형사책임"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3

      14 김혜경, "사이버공간에서의 표현행위와 형사정책"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5

      15 권창국, "사이버공간에 있어서 표현의 자유와 한계 - 사이버공간에서의 명예훼손에 대한 형사법적 규제와 인터넷실명제 도입 문제를 중심으로 -"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 (19): 219-248, 2008

      16 정완, "사이버공간상 인권침해범죄에 대한 법제도적 통제방안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6

      17 한명호, "불법ㆍ유해정보의 유통방지를 위한 형사규제의 실효적 확보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7

      18 경찰청, "경찰백서" 경찰청 2008

      19 박덕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규제방안"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IT미디어법센터 163-192, 2008

      20 윤영철, "‘사이버모욕죄’에 대한 비판적 소고" 과학기술법연구원 14 (14): 423-452, 2009

      21 "www.netan.go.kr"

      22 "www.naver.com"

      23 "www.nate.com"

      24 "www.moleg.go.kr"

      25 "www.kocsc.or.kr"

      26 "www.kcc.go.kr"

      27 "www.daum.net"

      28 "www.cyberhumanrights.or.kr"

      29 "www.bj.or.kr"

      30 "kr.yahoo.com"

      31 Samuel C. McQuade, "Understanding and Managing Cybercrime" Allyn and Bacon 2006

      32 Paul Schiff Berman, "Law and Society Approaches to Cyberspace" Ashgate Publishing Company 2007

      33 Uta Kohl, "JURISDICTION AND THE INTERNET : A Study of Regulatory Competence over Online Ac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34 Keith B. Darrell, "Issues in Internet Law" Amber Book Company 2006

      35 Graham J H Smith, "Internet Law and Regulation" Sweet & Maxwell 2007

      36 Robert H. Burger, "Information Policy : A Framework for Evaluation and Policy Research" University of Illinoise at Urbane-Champaign 1993

      37 Steven J. Heyman, "Free Speech and Human Dignity" Yale university Press 2008

      38 Przemyslaw Paul Polanski, "Customary Law of The Internet : In the Search for a Supranational Cyberspace Law" TㆍMㆍCㆍASSER PRESS 2007

      39 Damian Tambini, "Codifying Cyberspace : Communications self-regulation in the age of Internet convergence" Book Now Ltd 2008

      40 Steven E. Miller, "Civilizing Cyberspace" ACM Press 1996

      41 Raymond S. R. Ku, "CYBERSPACE LAW" Aspen Publishers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9 1.16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