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부분적이나마 해방기 군산지역에서 활동했던 이만흥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특히 해방기 군산에서 발행된 신문 자료를 통해서는 지금까지 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52185
-
2018년
Korean
1940년대 ; Lee ; Man-heung ; Liberation Period ; 1950's ; Local Cinema ; Film History of Gunsan ; Film History of Jeonbuk ; 1950년대 ; 이만흥 ; 영화계 활동 ; 김보철 ; 군산영화사 ; 전북영화사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부분적이나마 해방기 군산지역에서 활동했던 이만흥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특히 해방기 군산에서 발행된 신문 자료를 통해서는 지금까지 알...
이 글은 부분적이나마 해방기 군산지역에서 활동했던 이만흥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특히 해방기 군산에서 발행된 신문 자료를 통해서는 지금까지 알려진 바가 없던 이만흥의 실체와 행적을 발굴함으로써 군산영화사의 저변과 토대를 확대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그러한 가운데 이만흥의 영화계 활동을 계기로 1950년대 전주와 전라북도에 걸쳐 영화제작 붐이 일어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실제로 본격적인 극영화 제작 시대에 접어든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군산과 전북지역에서 그의 활동은 단명으로 끝나긴 했으나 전북영화의 중흥기를 열어간 영화인들을 다수 발굴하고 훈련시켰다는 점에서, 그들로 하여금 전북영화의 자생력을 갖추게 하였다는 점에서는 그 의미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로 비추어 볼 때, 해방기 군산에서 이어져 온 이만흥의 영화제작 활동들은 전북영화사의 기점으로 재조명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can be found in part because it was able to confirm the existence of Lee Man-heung who was active in the Gunsan area of the liberation period. In particular, through the newspaper data published in Gunsan during the liberation perio...
This article can be found in part because it was able to confirm the existence of Lee Man-heung who was active in the Gunsan area of the liberation period. In particular, through the newspaper data published in Gunsa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e have found the reality and behavior of Lee Man-heung, which has not been known until now, to expand the base and foundation of Gunsan Film Company.
In the meantime, I was able to confirm that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movie production boom could occur in Jeonju and Jeollabuk-do in the 1950s was created and actually entered the era of full-scale feature film production. Although his activities in Gunsan and Jeonbuk areas ended in short term, it is very meaningful that they have the self-sustaining power of Jeonbuk films in that they have discovered and trained a large number of filmmakers who opened the renaissance period of Jeonbuk films.
In light of these historical facts, I think that the film production activities of Lee Man-heung, which has been carried out in Gunsa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should be reexamined as the starting point of Jeonbuk Film Comp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