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민족주의 세력의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개조 움직임 = The nationalists’ attempt to reform the Committee for the Preparation of Korean Independenc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August 22, 1945, around the period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Committee for the Preparation of Korean Independence(CPKI), there were two movements with the nationalists centering on the movement to renovate the CPKI. Those movements occurred inside and outside the CPKI. The meaning of ‘inside’ is the nationalists with An Jae-Hong, a vice-chairman of the CPKI, as the central figure, and ‘outside’ refers to the nationalists of the Choson National Party. Since the socialistsㆍcommunists took control of the hegemony within the CPKI at that time, there was a sense of crisis between them. In this situation led to the agreement that many nationalists should participate in the CPKI.
      As An Jae-Hong had a principle of the cooperation with socialistsㆍcommunists under the initiative of nationalist, expanding the nationalists in the CPKI was the urgent problem that has to be resolved. At th same time, the Choson National Party had a plan to take the mainstream by participating in the CPKI. However, the movement by both sides to reorganize the CPKI’s central was frustrated.
      While Lyuh Woon-Hyung, a chairman of the CPKI, prevented the nationalists from reorganizing the CPKI, also the communists inside CPKI strongly hold them back. Around this time, as soon as it became certain that US forces were pearling in South Korea, the Choson National Party circles gave up their participation in the CPKI. Therefore, the movement to reorganize CPKI ended without attainment. This frustration made the leadership of the Korean Communist Party in CPKI expanded or enlarged, resulting in the conversion from the CPKI into the People's Republic of Korea.
      번역하기

      In August 22, 1945, around the period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Committee for the Preparation of Korean Independence(CPKI), there were two movements with the nationalists centering on the movement to renovate the CPKI. Those movements occurred insi...

      In August 22, 1945, around the period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Committee for the Preparation of Korean Independence(CPKI), there were two movements with the nationalists centering on the movement to renovate the CPKI. Those movements occurred inside and outside the CPKI. The meaning of ‘inside’ is the nationalists with An Jae-Hong, a vice-chairman of the CPKI, as the central figure, and ‘outside’ refers to the nationalists of the Choson National Party. Since the socialistsㆍcommunists took control of the hegemony within the CPKI at that time, there was a sense of crisis between them. In this situation led to the agreement that many nationalists should participate in the CPKI.
      As An Jae-Hong had a principle of the cooperation with socialistsㆍcommunists under the initiative of nationalist, expanding the nationalists in the CPKI was the urgent problem that has to be resolved. At th same time, the Choson National Party had a plan to take the mainstream by participating in the CPKI. However, the movement by both sides to reorganize the CPKI’s central was frustrated.
      While Lyuh Woon-Hyung, a chairman of the CPKI, prevented the nationalists from reorganizing the CPKI, also the communists inside CPKI strongly hold them back. Around this time, as soon as it became certain that US forces were pearling in South Korea, the Choson National Party circles gave up their participation in the CPKI. Therefore, the movement to reorganize CPKI ended without attainment. This frustration made the leadership of the Korean Communist Party in CPKI expanded or enlarged, resulting in the conversion from the CPKI into the People's Republic of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45년 8월 15일 일제가 무조건항복을 선언하는 긴박한 순간에, 여운형ㆍ안재홍은 신속하게 朝鮮建國準備委員會(앞으로 建準으로 줄임)를 출발시켰지만, 내용과 형식 양면에서 그들이 목표하는 全민족통일전선체를 구성하지는 못하였다. 일제가 패퇴하는 비상한 시국에 대응하기 위해, 8월 15일 당일 급박하게 출범한 建準이 전국에 걸쳐서 全민족운동 세력을 망라한 중앙조직을 곧바로 결성하기는 애초 불가능한 일이었다.
      그렇더라도 建準이 민족통일전선체로서 외형상의 완결성을 갖추지 못한 채 출발한 데에는, 무엇보다도 송진우 계열의 태도가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여운형ㆍ안재홍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송진우 측에 재차 협동을 제안하였으나 다시 거부당하였다. 민족주의 세력 가운데 가장 큰 영향력을 지녔던 송진우 계열이 建準 자체를 부정함으로써, 전민족통일전선체를 지향하는 建準의 목표는 굴절되기 시작하였고, 이는 建準이 재건파 조선공산당에게 주도권을 내주고 朝鮮人民共和國로 해소되는 主因이었다.
      1945년 8월 22일 建準의 제2차 중앙조직이 형성되는 시기를 전후하여, 建準의 안팎에서 민족주의 세력이 중심이 되어 建準을 改造하려는 움직임이 두 차례 일어났다. 여기서 ‘안’은 建準의 부위원장 안재홍을 중심으로 한 민족주의자들을, ‘밖’은 朝鮮民族黨을 구성하여 韓國民主黨에 합류하는 李仁ㆍ金炳魯ㆍ白寬洙 등의 민족주의자들을 가리킨다. 양자는 建準 안에서 사회ㆍ공산주의 세력이 주도권을 장악하고 독주하는 현실에 위기감을 느꼈으므로, 민족주의 세력이 建準에 대거 참여해야 한다는 데에서 의견이 일치하였다.
      민족주의 주도권 아래 사회ㆍ공산주의자와 협동한다는 원칙을 견지하는 안재홍에게, 민족주의 세력을 建準 안에 대거 확충함은 당면과제였다. 조선민족당계 인사들도 해방정국의 시국 수습 과정에서 소외ㆍ이탈되었음에 위기의식이 고조된 터였으므로 建準에 참여하여 해방정국의 주류로 부상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양자가 결합하여 建準의 중앙조직을 개조하려는 움직임은 좌절되고 말았다.
      재건파 조선공산당을 위시하여 장안파 조선공산당은 建準을 개조하려는 시도를 완강하게 저지하였고, 또 미군이 남한에 진주하는 사실이 확실해진 시점에서 조선민족당계가 建準에 참여하기를 포기하였기 때문이다. 建準을 개조하려는 움직임은, 역으로 建準 안에서 재건파 조선공산당 계열의 응집력과 주도력을 확대시킴으로써 建準이 人共으로 해소되는 결과를 낳고 말았다.
      번역하기

      1945년 8월 15일 일제가 무조건항복을 선언하는 긴박한 순간에, 여운형ㆍ안재홍은 신속하게 朝鮮建國準備委員會(앞으로 建準으로 줄임)를 출발시켰지만, 내용과 형식 양면에서 그들이 목표하...

      1945년 8월 15일 일제가 무조건항복을 선언하는 긴박한 순간에, 여운형ㆍ안재홍은 신속하게 朝鮮建國準備委員會(앞으로 建準으로 줄임)를 출발시켰지만, 내용과 형식 양면에서 그들이 목표하는 全민족통일전선체를 구성하지는 못하였다. 일제가 패퇴하는 비상한 시국에 대응하기 위해, 8월 15일 당일 급박하게 출범한 建準이 전국에 걸쳐서 全민족운동 세력을 망라한 중앙조직을 곧바로 결성하기는 애초 불가능한 일이었다.
      그렇더라도 建準이 민족통일전선체로서 외형상의 완결성을 갖추지 못한 채 출발한 데에는, 무엇보다도 송진우 계열의 태도가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여운형ㆍ안재홍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송진우 측에 재차 협동을 제안하였으나 다시 거부당하였다. 민족주의 세력 가운데 가장 큰 영향력을 지녔던 송진우 계열이 建準 자체를 부정함으로써, 전민족통일전선체를 지향하는 建準의 목표는 굴절되기 시작하였고, 이는 建準이 재건파 조선공산당에게 주도권을 내주고 朝鮮人民共和國로 해소되는 主因이었다.
      1945년 8월 22일 建準의 제2차 중앙조직이 형성되는 시기를 전후하여, 建準의 안팎에서 민족주의 세력이 중심이 되어 建準을 改造하려는 움직임이 두 차례 일어났다. 여기서 ‘안’은 建準의 부위원장 안재홍을 중심으로 한 민족주의자들을, ‘밖’은 朝鮮民族黨을 구성하여 韓國民主黨에 합류하는 李仁ㆍ金炳魯ㆍ白寬洙 등의 민족주의자들을 가리킨다. 양자는 建準 안에서 사회ㆍ공산주의 세력이 주도권을 장악하고 독주하는 현실에 위기감을 느꼈으므로, 민족주의 세력이 建準에 대거 참여해야 한다는 데에서 의견이 일치하였다.
      민족주의 주도권 아래 사회ㆍ공산주의자와 협동한다는 원칙을 견지하는 안재홍에게, 민족주의 세력을 建準 안에 대거 확충함은 당면과제였다. 조선민족당계 인사들도 해방정국의 시국 수습 과정에서 소외ㆍ이탈되었음에 위기의식이 고조된 터였으므로 建準에 참여하여 해방정국의 주류로 부상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양자가 결합하여 建準의 중앙조직을 개조하려는 움직임은 좌절되고 말았다.
      재건파 조선공산당을 위시하여 장안파 조선공산당은 建準을 개조하려는 시도를 완강하게 저지하였고, 또 미군이 남한에 진주하는 사실이 확실해진 시점에서 조선민족당계가 建準에 참여하기를 포기하였기 때문이다. 建準을 개조하려는 움직임은, 역으로 建準 안에서 재건파 조선공산당 계열의 응집력과 주도력을 확대시킴으로써 建準이 人共으로 해소되는 결과를 낳고 말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萬珪, "呂運亨先生 鬪爭史" 民主文化社 1946

      2 김인식, "안재홍의 신국가건설운동 1944~1948" 선인 2005

      3 김현식, "삐라로 듣는 해방 직후의 목소리" 소명출판 2011

      4 김진배, "가인 김병로" 가인기념회 1983

      5 慶尙北道警察部, "高等警察要史"

      6 沈之淵, "韓國現代政黨論" 創作과 批評社 1984

      7 宋南憲, "韓國現代政治史 : 第1卷 建國前夜" 成文閣 1980

      8 咸尙勳, "韓國民主黨의政見" 大潮社 1 (1): 1947

      9 金俊淵, "韓國民主黨小史" 韓國民主黨宣傳部 1948

      10 李東華, "解放前後史의 認識" 한길사 1979

      1 李萬珪, "呂運亨先生 鬪爭史" 民主文化社 1946

      2 김인식, "안재홍의 신국가건설운동 1944~1948" 선인 2005

      3 김현식, "삐라로 듣는 해방 직후의 목소리" 소명출판 2011

      4 김진배, "가인 김병로" 가인기념회 1983

      5 慶尙北道警察部, "高等警察要史"

      6 沈之淵, "韓國現代政黨論" 創作과 批評社 1984

      7 宋南憲, "韓國現代政治史 : 第1卷 建國前夜" 成文閣 1980

      8 咸尙勳, "韓國民主黨의政見" 大潮社 1 (1): 1947

      9 金俊淵, "韓國民主黨小史" 韓國民主黨宣傳部 1948

      10 李東華, "解放前後史의 認識" 한길사 1979

      11 李仁, "解放前後 片片錄" 東亞日報社 1967

      12 宋南憲, "解放三年史 1945-1948 Ⅰ" 까치 1985

      13 金學俊, "街人 金炳魯 評傳" 民音社 1988

      14 尹在根, "芹村 白寬洙" 東亞日報社 1996

      15 金在明, "民政長官 安在鴻의 번민 下" 京鄕新聞社 260 : 1986

      16 安在鴻選集刊行委員會, "民世安在鴻選集 2" 知識産業社 1983

      17 民主主義民族戰線, "朝鮮解放年譜" 文友印書館 1946

      18 呂運弘, "夢陽 呂運亨" 靑廈閣 1967

      19 古下先生傳記編纂委員會, "古下宋鎭禹先生傳" 東亞日報社編輯局 1965

      20 曺圭河, "南北의 對話" 高麗苑 1987

      21 李仁, "半世紀의 證言" 明知大學出版部 1974

      22 윤덕영, "8․15 직후 조선건국준비위원회의 조직적 한계와 좌․우 분립의 배경" 한국사학회 (100) : 825-866,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6 1.61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