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학생의 영어 자기효능감, 수업참여도, 그리고 학습자가 인식한 교사의 수업방법이 영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 소재 중학교 1학년 남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988173
2020
-
중학생 ; 영어 교과 ; 학업적 자기효능감 ; 수업참여 ; 수업방법 ; 학업성취 ; middle school ; English subject ; academic self-efficacy ; class engagement ; teaching methods ; academic achievement
373
KCI등재
학술저널
351-371(21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생의 영어 자기효능감, 수업참여도, 그리고 학습자가 인식한 교사의 수업방법이 영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 소재 중학교 1학년 남녀...
본 연구는 중학생의 영어 자기효능감, 수업참여도, 그리고 학습자가 인식한 교사의 수업방법이 영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 소재 중학교 1학년 남녀 학생 140명이었으며, 7개월간 주 3회씩 영어 수업에 참여한 후 설문지를 통해 영어 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영어 수업참여도, 그리고 교사 중심 수업 및 학습자 중심 수업 인식 정도를 조사하였다. 영어 학업성취도 시험을 통해 앞서 조사한 변수들이 영어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고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영어 학업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집단을 나누어 살펴본 결과 성취도가 낮은 집단에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학업성취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학업성취 점수가 낮은 집단에서 영어 수업참여도 중 수업 예·복습 여부가 학업성취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중간 이상의 성취도 집단에서는 수업참여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학습자가 인식한 교사 중심 수업방법 또는 학습자 중심 수업방법 실시 여부는 학업성취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영어 학업성취가 낮은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과 관련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efficacy, class engagement, and teaching methods on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The subjects were 140 middle school students from Busan. The students were asked about their self-effica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efficacy, class engagement, and teaching methods on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The subjects were 140 middle school students from Busan. The students were asked about their self-efficacy, class engagement, and how they perceive their teacher’s teaching methods.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in English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ir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effect was greater for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 low-achieving students’ lesson preview and review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while their lesson preview and review were not proved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higher-level students. Lastly, the teaching methods perceived by the studen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e findings from the current research will shed light on teaching English to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윤혜경, "확장적 과학 탐구 활동에서 중학생의 인지적 참여도 변화" 19 (19): 684-695, 1999
2 노병혜,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학습참여실태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4
3 유지현,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전략,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7 (27): 715-738, 2013
4 하정,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의 종단관계 연구"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6 (6): 47-65, 2009
5 이지혜,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수자 중심 수업과 학습자 중심 수업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259-278, 2016
6 김아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39 (39): 95-123, 2001
7 송찬옥, "학업성취관련 심리요인들과 가정환경변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인문계고등학생을 중심으로" 8 : 27-53, 2011
8 길형석, "학습자중심의 교과교육을 위한 철학적 연구" 1 (1): 1-27, 2001
9 차민정, "학습자의 수업 참여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육방법학회 22 (22): 195-219, 2010
10 신혜선, "학습자와 교수자의 참여도 향상을 위한 웹 게시판 시스템의 개선"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 윤혜경, "확장적 과학 탐구 활동에서 중학생의 인지적 참여도 변화" 19 (19): 684-695, 1999
2 노병혜,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학습참여실태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4
3 유지현,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전략,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7 (27): 715-738, 2013
4 하정,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의 종단관계 연구"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6 (6): 47-65, 2009
5 이지혜,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수자 중심 수업과 학습자 중심 수업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259-278, 2016
6 김아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39 (39): 95-123, 2001
7 송찬옥, "학업성취관련 심리요인들과 가정환경변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인문계고등학생을 중심으로" 8 : 27-53, 2011
8 길형석, "학습자중심의 교과교육을 위한 철학적 연구" 1 (1): 1-27, 2001
9 차민정, "학습자의 수업 참여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육방법학회 22 (22): 195-219, 2010
10 신혜선, "학습자와 교수자의 참여도 향상을 위한 웹 게시판 시스템의 개선"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1 정윤경,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수방식과 동기, 수업태도 및 학업성취와의 차별적 관계: 자기효능감 수준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29 (29): 211-235, 2017
12 정문주, "학습자가 인식한 교수자의 수업방식이 학업성취 향상요인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2 (22): 129-150, 2015
13 김형욱, "학습자 활동 중심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 학업성취도 및 개념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소 42 (42): 106-119, 2018
14 정영란, "학습자 중심 수업이 중학생들의 과학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소 34 (34): 193-202, 2010
15 김복순, "학습자 중심 수업이 상․하위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언어정보연구소 24 (24): 1-18, 2007
16 송재홍, "초등학생이 지각한 수업의 질, 기본심리욕구, 수업참여,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8 (28): 179-203, 2014
17 김종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와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 (12): 97-118, 2012
18 조한익, "초등학교 교사의 학업낙관성, 교사열정 및 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학회 28 (28): 293-317, 2015
19 김정환, "지각된 교수능력, 자기효능감, 실제지능, 성취목표 지향성 및 학습전략이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71-95, 2011
20 신안나, "중학생이 지각한 실천적 교수역량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수업참여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21 임효진,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수업능력,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의 종단적 변화 -영어, 수학과목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3 (23): 71-95, 2016
22 강효숙,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태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3 김청자,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자기 효능감 간의 관계연구" 1-15, 2010
24 이수진, "중·고등학생의 학습동기, 학업노력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이 영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0 (60): 1045-1077, 2012
25 박혜숙,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살펴 본 중학생의 국어, 영어, 수학 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학생, 교사 및 학교특성의 예측력"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145-168, 2007
26 채유정, "온라인 토론 학습에서 인지양식과 교사 피드백 유형이 학습자의 참여도, 성취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27 이지연, "사이버강좌에서의 학습자 참여도 및 만족도에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9 (9): 27-61, 2006
28 김영인, "법 교육과 참여학습방법"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4 (34): 3-60, 2002
29 임선아, "메타분석을 통한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검증" 한국교육학회 51 (51): 83-105, 2013
30 한신일, "대학생들의 영어능력과 수업참여 적극성이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업만족도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103-125, 2012
31 김종렬, "내재적 동기, 학습전략, 수업참여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고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5 (15): 93-113, 2014
32 조현철, "내외적 학습동기, 자기결정성, 목표지향, 자기지각, 지능관 및 자기조절학습전략 요인들의 학습태도, 학습행동 및 학업성취에 대한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33-60, 2011
33 송현정, "국어 수업 참여에 대한 학습자 인식 실태 분석" 국어교육연구소 (29) : 111-138, 2012
34 강명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고등학생의 지각된 교사태도, 학습태도, 학업성취도,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교육과학연구소 45 (45): 181-203, 2014
35 김종백, "교사와 학생이 지각한 학생-교사 관계의 변화가 학생의 학교행복과 수업참여를 매개로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1 (21): 285-315, 2014
36 김유정, "교과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간의 종단적 탐색-영어교과를 중심으로-" 외국학연구소 (40) : 11-34, 2017
37 남나라, "고등학교의 사회심리적 환경이 수업참여를 매개로 방과후학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일반계고와 외국어고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38 Heggestad, E. D., "The predictive validity of self-efficacy in training performance: Little more than past performance" 11 (11): 84-97, 2005
39 Goulimaris, D., "The organisation of a distance postgraduate dance programme and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specialising in dance" 9 (9): 59-73, 2008
40 Kim, Y., "The interrelationship among academic self-efficacy,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and SES effect" Korea University 2019
41 Ryan, A. M., "The classroom social environment and changes in adolescents’ motivation and engagement during middle school" 38 : 437-460, 2001
42 Vancouver, J. B., "The changing sign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personal goals, and performance" 86 (86): 605-620, 2001
43 김태한, "The Role of Interest and Self-Efficacy in English Achievement among Korean Youth"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9 (9): 47-68, 2012
44 한국TOEIC위원회, "TOEIC Bridge Listening and Reading Sample Tests"
45 Marks, H. M., "Student engagement in instructional activity: Patterns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37 (37): 153-184, 2000
46 Bandura, A., "Social learning theory" Prentice-Hall 1977
47 Bandura, A., "Social cognitive theory : An agentic perspective" 52 (52): 1-26, 2001
48 Bandura, A., "Self-regulatory mechanisms governing the impact of social comparison on complex decision making" 60 (60): 941-951, 1991
49 Multon, K. D., "Relation of self-efficacy beliefs to academic outcomes: A meta-analytic investigation" 38 (38): 30-38, 1991
50 Schunk, D. H.,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Pearson/Merrill Prentice Hall 2010
51 김태영, "Interview method development for qualitative study of ESL motivation"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3 (13): 231-256, 2006
52 Bandura, A., "Human agency in social cognitive theory" 44 (44): 1175-1184, 1989
53 Greeno, J. G., "Handbook of educational psychology" Macmillan 15-46, 1996
54 Turner, S. L., "Evaluation of an intervention to increase mom-traditional career interests and career-related self-efficacy among middle school adolescents" 66 (66): 516-531, 2005
55 Skinner, E., "Engagement and disaffection in the classroom: Part of a larger motivational dynamic?" 100 (100): 765-781, 2008
56 Bandura, A., "Effect of perceived controllability and performance standards on self-regulation of complex decision making" 56 (56): 805-814, 1989
57 Nie, Y., "Differential relations of constructivistic and didactic instruction to students cognition, motivation, and achievement" 20 (20): 411-423, 2010
대학생들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방법에 대한 인식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수업선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진로정체감, 삶의 만족도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 :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검증
창업교육프로그램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효과
임상실습에서 경험한 무례함과 회복탄력성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