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성중심 역사서술의 대항담론으로서 문학적 증언: 동시대 여성가족사소설 『시선으로부터,』와 『밝은 밤』을 중심으로 = Literary Testimony as a Counter-Discourse to Male-Centered Historiography: Focusing on the Contemporary Women's Family History Novels of From Si Sun and A Bright Nigh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192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focuses on two contemporary women’s family history novels, From Si Sun and A Bright Night, to explor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modern Korean history reflected in those works. Both novels shared the structure of repeated violence, describe the friendship of women against violence and barbarism, and also present their prospects for the future. The authors, Jung Se-rang and Choi Eun-young, display a sense of authorial responsibility in the restoration of the stories of women who have been excluded from historical narratives and also demonstrate the construction of deep trust and solidarity among women, encompassing the states of healing, redemption, and growth. The novels therefore show feminist values embedded in the multiple layers of the narratives. Meanwhile, the two novels are distinct in terms of male characterization and perspective, which creates a very different atmosphere in each text. Despite the difference in narrative strategies, both texts contain the elements of realism that embodies historical reality and suggest the progress of women’s history. These novels therefore function as an interpretational tool for the people who share the same critical mind against the social culture of the real world and respond to reality with different strategies to move toward ideals.
      번역하기

      This article focuses on two contemporary women’s family history novels, From Si Sun and A Bright Night, to explor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modern Korean history reflected in those works. Both novels shared the structure of repeated violence, ...

      This article focuses on two contemporary women’s family history novels, From Si Sun and A Bright Night, to explor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modern Korean history reflected in those works. Both novels shared the structure of repeated violence, describe the friendship of women against violence and barbarism, and also present their prospects for the future. The authors, Jung Se-rang and Choi Eun-young, display a sense of authorial responsibility in the restoration of the stories of women who have been excluded from historical narratives and also demonstrate the construction of deep trust and solidarity among women, encompassing the states of healing, redemption, and growth. The novels therefore show feminist values embedded in the multiple layers of the narratives. Meanwhile, the two novels are distinct in terms of male characterization and perspective, which creates a very different atmosphere in each text. Despite the difference in narrative strategies, both texts contain the elements of realism that embodies historical reality and suggest the progress of women’s history. These novels therefore function as an interpretational tool for the people who share the same critical mind against the social culture of the real world and respond to reality with different strategies to move toward ideal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로즈, 질리안, "페미니즘과지리학" 한길사 2011

      2 최혜경, "페미니즘 관점으로 본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의 자매애"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44) : 57-83, 2016

      3 강영안, "타인의 얼굴 : 레비나스의 철학" 문학과지성사 2018

      4 영, 아이리스 매리언, "차이의 정치와 정의" 모티브북 2017

      5 정세랑, "지구인만큼 지구를 사랑할 순 없어" 위즈덤하우스 2021

      6 체임벌린, 프루던스, "제4물결페미니즘 : 정동적시간성" 에디투스 2021

      7 정주아, "인칭 글쓰기시대의소설" 창비 (192) : 53-69, 2021

      8 황경, "이창동의 <버닝>에 나타난 문예 미학적 논리 연구 -무라카미 하루키, 윌리엄 포크너 소설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64) : 165-192, 2019

      9 정세랑, "시선으로부터" 문학동네 2020

      10 서영채, "쇼코의 미소" 문학동네 2016

      1 로즈, 질리안, "페미니즘과지리학" 한길사 2011

      2 최혜경, "페미니즘 관점으로 본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의 자매애"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44) : 57-83, 2016

      3 강영안, "타인의 얼굴 : 레비나스의 철학" 문학과지성사 2018

      4 영, 아이리스 매리언, "차이의 정치와 정의" 모티브북 2017

      5 정세랑, "지구인만큼 지구를 사랑할 순 없어" 위즈덤하우스 2021

      6 체임벌린, 프루던스, "제4물결페미니즘 : 정동적시간성" 에디투스 2021

      7 정주아, "인칭 글쓰기시대의소설" 창비 (192) : 53-69, 2021

      8 황경, "이창동의 <버닝>에 나타난 문예 미학적 논리 연구 -무라카미 하루키, 윌리엄 포크너 소설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64) : 165-192, 2019

      9 정세랑, "시선으로부터" 문학동네 2020

      10 서영채, "쇼코의 미소" 문학동네 2016

      11 심진경, "성공의 신화와 비난받는 여자들:『위대한 개츠비』 다시 읽기" 여성학연구소 15 (15): 169-191, 2022

      12 김영옥, "새로 쓰는 '모성 신화': 여성 계보학의 재사유와 여성 리더십의 새로운 구성을 위하여" 한국여성연구원 22 (22): 23-52, 2005

      13 강소희, "비동일적 여성 주체의 ‘회상’과 글쓰기 — 정세랑의 『시선으로부터,』를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54) : 532-559, 2021

      14 최은영, "밝은 밤" 문학동네 2021

      15 헹크만·로터, "미학사전" 예경 2002

      16 황정아, "문학의정치를다시 생각한다" 창비 (194) : 17-35, 2021

      17 경향신문, "다정함을 드러내기 위해 필요한 것들"

      18 이동옥, "네팔의 생태여행과 여성들의 관계, 우정, 연대: ‘쓰리시스터즈’를 중심으로" 여성학연구소 5 (5): 7-40, 2012

      19 최은영, "내게 무해한 사람" 문학동네 2018

      20 이성혁, "김훈의 ‘역사소설’에 나타난 파시즘 문제에 대한 고찰" 한민족문화학회 46 (46): 365-395, 2014

      21 오연희, "계급적 관점에서 바라본 현대 가족의 두 양상-김혜진의 "딸에 대하여"와 정세랑의 "시선으로부터"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연구소 (38) : 71-93, 2021

      22 이상경, "1930년대의 신여성과 여성작가의 계보 연구" 한국여성문학학회 (12) : 237-269,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