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로즈, 질리안, "페미니즘과지리학" 한길사 2011
2 최혜경, "페미니즘 관점으로 본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의 자매애"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44) : 57-83, 2016
3 강영안, "타인의 얼굴 : 레비나스의 철학" 문학과지성사 2018
4 영, 아이리스 매리언, "차이의 정치와 정의" 모티브북 2017
5 정세랑, "지구인만큼 지구를 사랑할 순 없어" 위즈덤하우스 2021
6 체임벌린, 프루던스, "제4물결페미니즘 : 정동적시간성" 에디투스 2021
7 정주아, "인칭 글쓰기시대의소설" 창비 (192) : 53-69, 2021
8 황경, "이창동의 <버닝>에 나타난 문예 미학적 논리 연구 -무라카미 하루키, 윌리엄 포크너 소설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64) : 165-192, 2019
9 정세랑, "시선으로부터" 문학동네 2020
10 서영채, "쇼코의 미소" 문학동네 2016
1 로즈, 질리안, "페미니즘과지리학" 한길사 2011
2 최혜경, "페미니즘 관점으로 본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의 자매애"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44) : 57-83, 2016
3 강영안, "타인의 얼굴 : 레비나스의 철학" 문학과지성사 2018
4 영, 아이리스 매리언, "차이의 정치와 정의" 모티브북 2017
5 정세랑, "지구인만큼 지구를 사랑할 순 없어" 위즈덤하우스 2021
6 체임벌린, 프루던스, "제4물결페미니즘 : 정동적시간성" 에디투스 2021
7 정주아, "인칭 글쓰기시대의소설" 창비 (192) : 53-69, 2021
8 황경, "이창동의 <버닝>에 나타난 문예 미학적 논리 연구 -무라카미 하루키, 윌리엄 포크너 소설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64) : 165-192, 2019
9 정세랑, "시선으로부터" 문학동네 2020
10 서영채, "쇼코의 미소" 문학동네 2016
11 심진경, "성공의 신화와 비난받는 여자들:『위대한 개츠비』 다시 읽기" 여성학연구소 15 (15): 169-191, 2022
12 김영옥, "새로 쓰는 '모성 신화': 여성 계보학의 재사유와 여성 리더십의 새로운 구성을 위하여" 한국여성연구원 22 (22): 23-52, 2005
13 강소희, "비동일적 여성 주체의 ‘회상’과 글쓰기 — 정세랑의 『시선으로부터,』를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54) : 532-559, 2021
14 최은영, "밝은 밤" 문학동네 2021
15 헹크만·로터, "미학사전" 예경 2002
16 황정아, "문학의정치를다시 생각한다" 창비 (194) : 17-35, 2021
17 경향신문, "다정함을 드러내기 위해 필요한 것들"
18 이동옥, "네팔의 생태여행과 여성들의 관계, 우정, 연대: ‘쓰리시스터즈’를 중심으로" 여성학연구소 5 (5): 7-40, 2012
19 최은영, "내게 무해한 사람" 문학동네 2018
20 이성혁, "김훈의 ‘역사소설’에 나타난 파시즘 문제에 대한 고찰" 한민족문화학회 46 (46): 365-395, 2014
21 오연희, "계급적 관점에서 바라본 현대 가족의 두 양상-김혜진의 "딸에 대하여"와 정세랑의 "시선으로부터"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연구소 (38) : 71-93, 2021
22 이상경, "1930년대의 신여성과 여성작가의 계보 연구" 한국여성문학학회 (12) : 237-269,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