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율형사립고등학생의 학교만족도, 학업성취도 관련변인 연구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ademic self-efficacy, School Belonging, Parent Support, School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Jayul high private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294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ademic self-efficacy, school belonging, parent support, school satisfaction, achievement in Jayul private high school. For this study, A Jayul high private school in Korea was chosen to conduct survey. A hypothetical model was proposed, which was composed of academic self-efficacy, school belonging, parent Support as exogenous variables, school satisfaction, achievement as endogenous variabl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cademic self-efficacy affect achievement. Second, school belongin affect school satisfac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ademic self-efficacy, school belonging, parent support, school satisfaction, achievement in Jayul private high school. For this study, A Jayul high private school in K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ademic self-efficacy, school belonging, parent support, school satisfaction, achievement in Jayul private high school. For this study, A Jayul high private school in Korea was chosen to conduct survey. A hypothetical model was proposed, which was composed of academic self-efficacy, school belonging, parent Support as exogenous variables, school satisfaction, achievement as endogenous variabl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cademic self-efficacy affect achievement. Second, school belongin affect school satisfa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0년 우리나라 교육현장에 처음으로 도입된 자율형사립고등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자율형사립고등학생의 학습적 인과관계를 밝혀, 자율형사립고등학생을 위한 효율적인 자율형사립고등학교 운영방안을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자율형사립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학교소속감, 부모지원, 학교만족도, 학업성취도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서울의 A자율형사립고등학교의 2학년 재학생 전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32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자율형사립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학교소속감, 부모지원이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학교소속감이 학교만족감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기효능감. 학교소속감, 부모지원, 학교만족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는 자기효능감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자율형사립고등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소속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활용한다면, 학생들의 교육적 성과가 높아질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10년 우리나라 교육현장에 처음으로 도입된 자율형사립고등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자율형사립고등학생의 학습적 인과관계를 밝혀, 자율형사립고등학생을 위한 효...

      본 연구는 2010년 우리나라 교육현장에 처음으로 도입된 자율형사립고등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자율형사립고등학생의 학습적 인과관계를 밝혀, 자율형사립고등학생을 위한 효율적인 자율형사립고등학교 운영방안을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자율형사립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학교소속감, 부모지원, 학교만족도, 학업성취도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서울의 A자율형사립고등학교의 2학년 재학생 전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32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자율형사립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학교소속감, 부모지원이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학교소속감이 학교만족감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기효능감. 학교소속감, 부모지원, 학교만족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는 자기효능감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자율형사립고등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소속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활용한다면, 학생들의 교육적 성과가 높아질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아영, "학업성취도의 대한 지능과 동기변인들의 상대적 예측력" 15 (15): 121-138, 2001

      2 이봉주, "학교생활이 즐거우면 성적도 오를까? -학교만족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287-306, 2009

      3 문은식,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관련변인의 탐색적 고찰" 23 (23): 153-167, 2002

      4 송현숙, "자율형사립고, 또 다른 특목고로 변질"

      5 송경오,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참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부모 및 학교의 지원 변인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103-124, 2009

      6 이소희, "부모의 학업지원이 지능에 대한 변화신념과 성취목표지향성을 매개로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관계 구조 모형 검증" 한국청소년학회 17 (17): 77-103, 2010

      7 문은식, "부모의 학습지원행동과 초·중학생의 학업동기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2003

      8 최숙현,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아동의 자아개념 및 학교적응" 한국예술치료학회 9 (9): 189-211, 2009

      9 김두환, "부모⋅친구⋅교사와의 사회적 관계와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한국사회학회 45 (45): 128-168, 2011

      10 이경민, "무용전공 여대생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행동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 59 (59): 169-184, 2009

      1 김아영, "학업성취도의 대한 지능과 동기변인들의 상대적 예측력" 15 (15): 121-138, 2001

      2 이봉주, "학교생활이 즐거우면 성적도 오를까? -학교만족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287-306, 2009

      3 문은식,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관련변인의 탐색적 고찰" 23 (23): 153-167, 2002

      4 송현숙, "자율형사립고, 또 다른 특목고로 변질"

      5 송경오,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참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부모 및 학교의 지원 변인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103-124, 2009

      6 이소희, "부모의 학업지원이 지능에 대한 변화신념과 성취목표지향성을 매개로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관계 구조 모형 검증" 한국청소년학회 17 (17): 77-103, 2010

      7 문은식, "부모의 학습지원행동과 초·중학생의 학업동기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2003

      8 최숙현,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아동의 자아개념 및 학교적응" 한국예술치료학회 9 (9): 189-211, 2009

      9 김두환, "부모⋅친구⋅교사와의 사회적 관계와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한국사회학회 45 (45): 128-168, 2011

      10 이경민, "무용전공 여대생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행동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 59 (59): 169-184, 2009

      11 김아영, "교사효능감 및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층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2003

      12 이수현,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습관여 형태, 자아탄력성, 시험불안 및 학교적응의 관계"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321-337, 2007

      13 김종한,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에 대한 회귀분석" 39 (39): 349-366, 2001

      14 최상근, "고등학생의 학업생활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09

      15 Bandura, A.,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37 : 122-147, 1997

      16 Detris Honora Adelabu., "Time perspective and school membership as correlates to academic achievement among african american adolescents" 42 : 525-538, 2007

      17 Corno, L., "The role of cognitive engagement in learning from instruction" 18 : 88-108, 1983

      18 Goodenow, C., "The psychological sense of school membership among adolscents : Scale development and educational correlates" 30 : 79-90, 1993

      19 Astin, A. W., "The changing American college student :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olicy and practice" 22 (22): 129-143, 1991

      20 Bernadette Sanchez, "The Role of Sense of School Belonging and Gender in the Academic Adjustment of Latino Adolescents" 34 (34): 619-628, 2005

      21 Álfgeir Logi Kristjánsson, "The Role of Parental Support, Parental Monitoring, and Time Spent With Parents in Adolescent Academic Achievement in Iceland: A Structural Model of Gender Differences" 53 (53): 481-496, 2009

      22 Epstein, J. L.,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 the Quality of School Life" 13 (13): 15-30, 1976

      23 Moody, J., "Structural Cohesion and Embeddedness : A Hierarchical Concept of Social Groups" 68 (68): 103-127, 2003

      24 Elena Briones, "Social Cognitive and Demographic Factors Related to Adolescents' Intrinsic Satisfaction with School" 15 (15): 219-232, 2012

      25 Lloyd, J. E. V., "Sex Differences in Performance Attributions,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in Mathmatics : If I’m So Smart, Why Don’t I Know It?" 25 : 68-81, 2005

      26 Borkowslki, J. G., "Self-regul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 Issues and educational applications" 9 : 45-73, 1994

      27 Schunk, D. H., "Self-efficacy and Academic Motivation" 26 (26): 207-231, 1991

      28 Bandura,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84): 191-215, 1977

      29 Zimmerman, B. J., "Self-Motivation for Academic Attainment : The Role of Self-Efficacy Beliefs and Personal Goal Setting. American" 29 (29): 663-676, 1992

      30 Arcaro, J. S., "Quality in Education: An Implementation Handbook" St, Lucie Press 1995

      31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2005

      32 Huebner, E. Scott., "Preliminar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ultidimensional Life Satisfaction Scale for Children" 6 (6): 149-158, 1994

      33 Hair, J. F., "Multivariate data anaysis" I rentice Hall 1995

      34 Pintrich, R. R.,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82 : 33-40, 1990

      35 Stipek, D. J., "Economically disadvantaged preschoolers : Ready to learn but further to go" 33 : 711-723, 1997

      36 Harborg, W. J., "An exploration of school membership among middle-and high-school adolescents" 12 : 312-323, 1994

      37 Browne, M. W.,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Sage 1993

      38 교육과학기술부,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결과"

      39 안민석, "2011년 고교 신입생 과목별 이수단위 현황"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47 2.766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