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희의 格物致知說에 대한 고찰 - 『大學或問』傳五章과 ‘大學或問語類’의 비판적 이해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570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장구』, 『대학혹문』, 그리고 『주자어류』의 ‘대학혹문어류’를 중심으로, 선배 학자들의 격물치지설에 대한 주희의 비판적 이해를 고찰하였다. 주희는 『대학혹문』과 ‘대학혹문어류’에서 사마광, 정이의 제자(여대림, 사량좌, 양시, 윤돈), 호상학자(호안국, 호굉), 이동의 격물치지설을 비교적 자세히 서술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면서 정이의 격물치지설을 토대로 자기 학설을 체계화 하였다. 이처럼 주희는 선배 유학자들의 격물치지설을 비판하면서, 외물에 대한 강한 긍정을 토대로 외물에 대한 이치의 누적을 통해 마침내 하나로 관통하는 방법이 격물치지의 핵심임을 주장하였다. ‘격물보전장’과 관련한 주희의 이러한 기획은 주희 자신이 입론한 격물치지의 의미가 결국 정이의 격물치지설과 부합하며 유학 전통에 확고히 기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학장구』, 『대학혹문』, 그리고 『주자어류』의 ‘대학혹문어류’를 중심으로, 선배 학자들의 격물치지설에 대한 주희의 비판적 이해를 고찰하였다. 주희는 『대학혹문』...

      본 연구는 『대학장구』, 『대학혹문』, 그리고 『주자어류』의 ‘대학혹문어류’를 중심으로, 선배 학자들의 격물치지설에 대한 주희의 비판적 이해를 고찰하였다. 주희는 『대학혹문』과 ‘대학혹문어류’에서 사마광, 정이의 제자(여대림, 사량좌, 양시, 윤돈), 호상학자(호안국, 호굉), 이동의 격물치지설을 비교적 자세히 서술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면서 정이의 격물치지설을 토대로 자기 학설을 체계화 하였다. 이처럼 주희는 선배 유학자들의 격물치지설을 비판하면서, 외물에 대한 강한 긍정을 토대로 외물에 대한 이치의 누적을 통해 마침내 하나로 관통하는 방법이 격물치지의 핵심임을 주장하였다. ‘격물보전장’과 관련한 주희의 이러한 기획은 주희 자신이 입론한 격물치지의 의미가 결국 정이의 격물치지설과 부합하며 유학 전통에 확고히 기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tudies Zhu Xi’s critical comprehension about the theories of gewu zhizhi of senior Confucian scholars, focusing on the Daxue Zhangju, Daxue huowen, and Daxue huowen yulei of Zhuzi yulei. Zhu Xi described in depth the theory of gewu zhizhi of Sima Guang, disciples of the Cheng Yi(Lu Dalin, Xie Liangzuo, Yin Ch’un, Yang Shi), scholars of Hu-Xing province(Hu An-guo, Hu hong), Li Dong in the Daxue huowen and Daxue huowen yulei, by his understanding through a criticism of the theory of gewu zhizh, thereby formulating a theory of gewu zhizhi on the basis of Cheng Yi’s theory. Through this criticism of senior Confucian scholars, Zhu Xi explained that the theory of gewu zhizhi was departed from a positive affirmation of things. Zhu Xi claimed that the crux of gewu zhizhi was a thorough understanding like a sudden release achieved by accumulating Li of things. This plan of Zhu Xi with respect to “Supplementary Chapter on the Gewu Zhizhi” showed that the theory of gewu zhizhi which was set up by himself corresponded to the theory of Cheng Yi’s, and it was based on the Confucian tradition firmly.
      번역하기

      This paper studies Zhu Xi’s critical comprehension about the theories of gewu zhizhi of senior Confucian scholars, focusing on the Daxue Zhangju, Daxue huowen, and Daxue huowen yulei of Zhuzi yulei. Zhu Xi described in depth the theory of gewu zhizh...

      This paper studies Zhu Xi’s critical comprehension about the theories of gewu zhizhi of senior Confucian scholars, focusing on the Daxue Zhangju, Daxue huowen, and Daxue huowen yulei of Zhuzi yulei. Zhu Xi described in depth the theory of gewu zhizhi of Sima Guang, disciples of the Cheng Yi(Lu Dalin, Xie Liangzuo, Yin Ch’un, Yang Shi), scholars of Hu-Xing province(Hu An-guo, Hu hong), Li Dong in the Daxue huowen and Daxue huowen yulei, by his understanding through a criticism of the theory of gewu zhizh, thereby formulating a theory of gewu zhizhi on the basis of Cheng Yi’s theory. Through this criticism of senior Confucian scholars, Zhu Xi explained that the theory of gewu zhizhi was departed from a positive affirmation of things. Zhu Xi claimed that the crux of gewu zhizhi was a thorough understanding like a sudden release achieved by accumulating Li of things. This plan of Zhu Xi with respect to “Supplementary Chapter on the Gewu Zhizhi” showed that the theory of gewu zhizhi which was set up by himself corresponded to the theory of Cheng Yi’s, and it was based on the Confucian tradition firm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 요약>
      • Ⅰ. 들어가며
      • Ⅱ. 격물치지에 대한 『대학혹문』과 ‘대학혹문어류’의 이해
      • Ⅲ. 여러 격물치지설에 대한 비판적 이해
      • 1. 외물[物]에 대한 긍정 : 사마광 비판
      • <논문 요약>
      • Ⅰ. 들어가며
      • Ⅱ. 격물치지에 대한 『대학혹문』과 ‘대학혹문어류’의 이해
      • Ⅲ. 여러 격물치지설에 대한 비판적 이해
      • 1. 외물[物]에 대한 긍정 : 사마광 비판
      • 2. 이정 제자들의 격물치지설 비판
      • 3. 호상학자의 격물치지설 비판
      • 4. 스승 李侗의 격물치지설 이해
      • Ⅳ. 나오며
      • <참고 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광동, "呂本中의 格物說에 대한 주희의 비판— 『雜學辨』<呂氏大學解>를 중심으로 —" 한국철학사연구회 (38) : 275-302, 2013

      2 진래, "주희의 철학" 예문서원 2002

      3 錢穆, "주자학의 세계" 이문출판사 1996

      4 황금중, "주자의 공부론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5 서원화, "정·주 철학의 뿌리를 찾아서" 동과서 2000

      6 李侗, "스승 이통과의 만남과 대화" 이학사 2006

      7 이정환, "程學 전통에서의 格物·致知·窮理 ‒ 二程 4대 初傳弟子들의 해석과 주자 재해석의 의의 ‒" 동양학연구원 (60) : 177-193, 2015

      8 束景南, "朱熹年譜長編" 華東師範大學出版社 2001

      9 "朱子語類"

      10 束景南, "朱子大傳" 福建敎育出版社 1992

      1 성광동, "呂本中의 格物說에 대한 주희의 비판— 『雜學辨』<呂氏大學解>를 중심으로 —" 한국철학사연구회 (38) : 275-302, 2013

      2 진래, "주희의 철학" 예문서원 2002

      3 錢穆, "주자학의 세계" 이문출판사 1996

      4 황금중, "주자의 공부론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5 서원화, "정·주 철학의 뿌리를 찾아서" 동과서 2000

      6 李侗, "스승 이통과의 만남과 대화" 이학사 2006

      7 이정환, "程學 전통에서의 格物·致知·窮理 ‒ 二程 4대 初傳弟子들의 해석과 주자 재해석의 의의 ‒" 동양학연구원 (60) : 177-193, 2015

      8 束景南, "朱熹年譜長編" 華東師範大學出版社 2001

      9 "朱子語類"

      10 束景南, "朱子大傳" 福建敎育出版社 1992

      11 "晦庵先生朱文公文集"

      12 "延平答問"

      13 박완식, "大學講語" 이론과 실천 1993

      14 "大學纂疏"

      15 岑溢成, "大學哲學" 서광사 2000

      16 "四書或問"

      17 "二程集"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2 1.05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