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左溪裒談』의 구성과 서술방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570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좌계부담』의 체재와 구성, 서술방식과 내용의 검토를 통해 그 편찬 목적과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좌계부담』은 우선 구성면에서 약 16세기 말부터 18세기 중반까지의 인물을 시대 순으로 기록하였고, 그 안에서 인물 유형에 따라 근거리 배치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서술방식 면에서는 『사기열전』에 보이는 ‘互見法’과 같은 방식을 활용하여, 개인 및 동일 사건의 내용을 관련된 다른 사람들과 나누어 기록하여 주제를 입체화⋅집중화하는 한편, 인물의 평가를 객관화하는 효과를 획득하고 있다. 인물 형상화 방식에 있어서는 해당 인물의 일생의 특징적 면모에 초점을 맞춰서 그와 관련된 시 또는 일화 등을 기록하여 인물을 구체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또한 목차의 각 인물 이름 옆에 수록 내용의 핵심사항을 요약한 ‘부제’형식의 짧은 글을 부기하여 내용 파악 및 이해를 돕는다. 『좌계부담』은 견문을 자유롭게 엮어가는 방식의 필기 가운데, 인물중심으로 특화된 필기, 즉 ‘人物志’ 혹은 ‘傳記集’이며, 더 넓게는 ‘史書’ 및 ‘詩話’의 기능을 아우르는 필기이다. 이에 저자는 史家의 사명감으로 본서를 집필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18세기 말부터 19세기에 인물을 중심 내용으로 하는 人物誌 형태의 특화된 필기류가 등장하게 되는데, 『좌계부담』은 그보다 앞선 시기, 즉 18세기 중⋅후반에 편찬된 人物小傳型의 필기라는 점에 의미가 있다. 필기류의 역사적 전통 속에서 그 수록 방식 및 서술방식의 변화 시작점에 있는 것으로, 조선 후기 필기류가 점차 전문화된 형태로 이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좌계부담』의 체재와 구성, 서술방식과 내용의 검토를 통해 그 편찬 목적과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좌계부담』은 우선 구성면에서 약 16세기 말부터 18세기 중반까지의 인물을...

      본 논문은 『좌계부담』의 체재와 구성, 서술방식과 내용의 검토를 통해 그 편찬 목적과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좌계부담』은 우선 구성면에서 약 16세기 말부터 18세기 중반까지의 인물을 시대 순으로 기록하였고, 그 안에서 인물 유형에 따라 근거리 배치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서술방식 면에서는 『사기열전』에 보이는 ‘互見法’과 같은 방식을 활용하여, 개인 및 동일 사건의 내용을 관련된 다른 사람들과 나누어 기록하여 주제를 입체화⋅집중화하는 한편, 인물의 평가를 객관화하는 효과를 획득하고 있다. 인물 형상화 방식에 있어서는 해당 인물의 일생의 특징적 면모에 초점을 맞춰서 그와 관련된 시 또는 일화 등을 기록하여 인물을 구체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또한 목차의 각 인물 이름 옆에 수록 내용의 핵심사항을 요약한 ‘부제’형식의 짧은 글을 부기하여 내용 파악 및 이해를 돕는다. 『좌계부담』은 견문을 자유롭게 엮어가는 방식의 필기 가운데, 인물중심으로 특화된 필기, 즉 ‘人物志’ 혹은 ‘傳記集’이며, 더 넓게는 ‘史書’ 및 ‘詩話’의 기능을 아우르는 필기이다. 이에 저자는 史家의 사명감으로 본서를 집필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18세기 말부터 19세기에 인물을 중심 내용으로 하는 人物誌 형태의 특화된 필기류가 등장하게 되는데, 『좌계부담』은 그보다 앞선 시기, 즉 18세기 중⋅후반에 편찬된 人物小傳型의 필기라는 점에 의미가 있다. 필기류의 역사적 전통 속에서 그 수록 방식 및 서술방식의 변화 시작점에 있는 것으로, 조선 후기 필기류가 점차 전문화된 형태로 이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focused on objective and meaning of its compilation through reviewing system, composition, method of description, and content of 『Jwagyebudam』. 『Jwagyebudam』 has all round form of a history and character book by recording via arranging figures from the end of 16th century to the middle of 18th century in a chronological order. Figure were not only assigned at close range by steretyping people into groups to a degree in it, but also recorded in a chronological order. In view of method of description, 『Jwagyebudam』 concentrated a theme by recording via separating different people associated from a figure and content of the same event by using the same method like 'Hogeonbeom(互見法)' shown in 『Sagiyeoljeon(史記列傳)』. In addition, it obtained effect to objectify evaluation of figures included. In a method of embodying figures, it has described concretely and in a three dimensions figures by recording anecdotes and poems associated with them via focusing on lifelong characteristic aspect of corresponding figures. In other words, 『Jwagyebudam』 can be called by biographies or character books, writings specialized in characters center among writings of method to weave freely experience. In a broad sense, it can be called a writing to cover a function of history book, poem and picture. This was located to a starting point of variation of inclusive and descriptive method. Namely, several kinds of writings in late Joseon dynasty can show aspect to fulfill specialized aspect gradually.
      번역하기

      This paper is focused on objective and meaning of its compilation through reviewing system, composition, method of description, and content of 『Jwagyebudam』. 『Jwagyebudam』 has all round form of a history and character book by recording via arr...

      This paper is focused on objective and meaning of its compilation through reviewing system, composition, method of description, and content of 『Jwagyebudam』. 『Jwagyebudam』 has all round form of a history and character book by recording via arranging figures from the end of 16th century to the middle of 18th century in a chronological order. Figure were not only assigned at close range by steretyping people into groups to a degree in it, but also recorded in a chronological order. In view of method of description, 『Jwagyebudam』 concentrated a theme by recording via separating different people associated from a figure and content of the same event by using the same method like 'Hogeonbeom(互見法)' shown in 『Sagiyeoljeon(史記列傳)』. In addition, it obtained effect to objectify evaluation of figures included. In a method of embodying figures, it has described concretely and in a three dimensions figures by recording anecdotes and poems associated with them via focusing on lifelong characteristic aspect of corresponding figures. In other words, 『Jwagyebudam』 can be called by biographies or character books, writings specialized in characters center among writings of method to weave freely experience. In a broad sense, it can be called a writing to cover a function of history book, poem and picture. This was located to a starting point of variation of inclusive and descriptive method. Namely, several kinds of writings in late Joseon dynasty can show aspect to fulfill specialized aspect gradual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 요약>
      • Ⅰ. 머리말
      • Ⅱ. 인물의 시대 순 편차와 유형별 구성
      • Ⅲ. 사건의 서술과 인물의 형상화 방식
      • 1. 互見法을 활용한 입체적 서술과 객관적 평가
      • <논문 요약>
      • Ⅰ. 머리말
      • Ⅱ. 인물의 시대 순 편차와 유형별 구성
      • Ⅲ. 사건의 서술과 인물의 형상화 방식
      • 1. 互見法을 활용한 입체적 서술과 객관적 평가
      • 2. 특징 중심의 서술을 통한 인물의 형상화
      • Ⅳ. 저술의 목적과 의미 맺음말을대신하여
      • <참고 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두헌, "필기의 관점에서 본 『이목구심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2 윤재민, "중인층 ‘전’의 계층적 성격" 한국한문학회 12 : 1989

      3 안대회, "조선후기시화사" 소명출판 2000

      4 鄭煥局, "조선후기 人物記事의 전개와 그 성격" 한국한문학회 (29) : 291-320, 2002

      5 이지양, "이향견문록을 통해 본 겸산 유재건의 의식" 성균어문학회 30 : 1995

      6 유재건, "이향견문록" 글항아리 2008

      7 이상진, "이향견문록" 자유문고 1997

      8 전희진, "이규상의 『병세재언록』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0

      9 김영진, "규장각 소장 어문학자료〮;문학편 해설2" 태학사 2001

      10 "東谿裒譚(左溪裒談)"

      1 최두헌, "필기의 관점에서 본 『이목구심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2 윤재민, "중인층 ‘전’의 계층적 성격" 한국한문학회 12 : 1989

      3 안대회, "조선후기시화사" 소명출판 2000

      4 鄭煥局, "조선후기 人物記事의 전개와 그 성격" 한국한문학회 (29) : 291-320, 2002

      5 이지양, "이향견문록을 통해 본 겸산 유재건의 의식" 성균어문학회 30 : 1995

      6 유재건, "이향견문록" 글항아리 2008

      7 이상진, "이향견문록" 자유문고 1997

      8 전희진, "이규상의 『병세재언록』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0

      9 김영진, "규장각 소장 어문학자료〮;문학편 해설2" 태학사 2001

      10 "東谿裒譚(左溪裒談)"

      11 이관성, "左溪裒談" 문진 2013

      12 조정윤, "『左溪裒談』 연구 -저자 문제와 이본 검토를 중심으로-" 근역한문학회 35 : 237-269, 2012

      13 조정윤, "『左溪裒談』 所載 詩話의 양상과 성격 연구" 어문연구학회 76 : 67-95, 2013

      14 이규상, "18세기 조선 인물지" 창작과 비평사 1997

      15 정민, "18, 19세기 조선 지식인의 병세의식(幷世意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4) : 183-204,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2 1.05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