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으로 북한에서는 어떤 관용표현들이 있으며 그것은 어떻게 해석되고 또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가를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북한의 속담들이 남한의 그것들과 원천적으로 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상으로 북한에서는 어떤 관용표현들이 있으며 그것은 어떻게 해석되고 또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가를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북한의 속담들이 남한의 그것들과 원천적으로 동...
이상으로 북한에서는 어떤 관용표현들이 있으며 그것은 어떻게 해석되고 또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가를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북한의 속담들이 남한의 그것들과 원천적으로 동일한 것이며 속담에 대한 일반 서민의 이해에도 남과 북에 전혀 차이가 없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동안 우리는 언어문제를 두고 남북의 이질화 현상을 깊이 우려하였다. 그러나 그것은 관점의 문제가 아닌가 싶다. 용어사용에서, 또는 특정 어휘의 의미범주에서 남과 북이 서로 차이를 빚는 것은 사회체제의 독자성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것이며 그것이 곧 통일을 방해하는 기본 요인인 듯 우려하는 것은 지나치다는 느낌을 준다. 언어 사용상의 그러한 차이는 해면위에 떠 있는 빙산과 같은 것이요, 해면 밑에 보이지 않는 대부분의 빙암은 남과 북이 공통으로 지니고 있는 언어 자산(資産)들이다. 일부의 속담을 북한의 위정자들이 아무리 자기네 의도대로 활용한다고 해도 일반 서민들이 은연중에 암묵적(暗默的)으로 이해하는 속담의 기본 의미에는 변함이 없을 것이요, 그것은 그대로 남한의 일반 서민의 생활감정과 의식에도 직결되어 있을 것이다.
우리는 북한 관용어구표현의 검토를 통하여 민족의 동질성을 더욱 확실하게 볼 수 있었다. 그것은 이 글이 얻은 값진 수확이 아닐 수 없다. 정치 사회현상의 이질화를 언어 자체의 이질화로 확대 해석하는 태도는 앞으로 재고되어야 할 듯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