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최경창(崔慶昌)의 시세계와 특성 = Choi, Gyeongchang (崔慶昌)'s Poetry World and Characterist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590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죽(孤竹) 최경창(崔慶昌,1539∼1583)이 생활했던 시기는 사대사화로 인한 붕당정치와 훈구파를 중심으로 화려한 시적 기교와 난삽한 수식으로 관료적 문학관이 배태되었고 신진 사림파를 중심으로는 기교를 반대하고 청징한 처사적(處士的) 문학의 정신세계를 추구하였으나, 이들은 도학적 자유로운 성정을 표현하고자 하였던 시기다.
      본 논문에서는 최경창의 작품세계를 통해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인생관 및 가치관을 알아보고자 하며, 이를 통해 작품에 나타난 작가의 풍격(風格)을 구하고자 한다. 풍격이란 작가의 인품이나 사상 등이 작품 속에 복합적으로 구체화 된 양상이기 때문에 최경창의 문학적 위상도 규명될 수 있다고 본다. 작품세계는 주제에 따라 연모에 정한, 선경의 동경, 현실에 대한 비판으로 분류해 살펴보았다.
      먼저 최경창의 작품 속에는 연정(戀情)을 대상으로 한 시가 상당히 있는데 이와같은 작품을 창작하게 된 동기는 아마 풍부하고 섬세한 여성의 감정에 자신의 낭만적 감정을 표출하는데 부합되어 자연스럽게 시적 표현의 대상이 되었다고 본다, 그리고 선계(仙界)를 동경하게 된 것은 당시 문단의 하나인 유선시(遊仙詩)를 모작(模作)하게 된 소단(騷壇)의 흐름과 관계가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되며, 현실의 좌절과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 초월적 선계를 동경하고 찬미하였다고 본다.
      최경창(崔慶昌)시의 풍격(風格)은 청신(淸新)한 풍격에 있다. 청(淸)은 대체로 맑고 깨끗할 뿐만 아니라 산뜻하며 순수한 자연의 산천경개, 나아가 일상세계를 초월한 선경(仙境)이나 선취(仙趣)를 느낄 수 있는 맑고 아름다운 정경을 묘사한 것과 관련된 시의 풍격(風格)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시에 쓰인 시어(詩語)는 일반적으로 2자의 용어법, 이미지 어휘의 사용, 악부시(樂府詩)계열 작품의 일상어 활용으로 사용한 것이 특징이라고 본다.
      번역하기

      고죽(孤竹) 최경창(崔慶昌,1539∼1583)이 생활했던 시기는 사대사화로 인한 붕당정치와 훈구파를 중심으로 화려한 시적 기교와 난삽한 수식으로 관료적 문학관이 배태되었고 신진 사림파를 중...

      고죽(孤竹) 최경창(崔慶昌,1539∼1583)이 생활했던 시기는 사대사화로 인한 붕당정치와 훈구파를 중심으로 화려한 시적 기교와 난삽한 수식으로 관료적 문학관이 배태되었고 신진 사림파를 중심으로는 기교를 반대하고 청징한 처사적(處士的) 문학의 정신세계를 추구하였으나, 이들은 도학적 자유로운 성정을 표현하고자 하였던 시기다.
      본 논문에서는 최경창의 작품세계를 통해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인생관 및 가치관을 알아보고자 하며, 이를 통해 작품에 나타난 작가의 풍격(風格)을 구하고자 한다. 풍격이란 작가의 인품이나 사상 등이 작품 속에 복합적으로 구체화 된 양상이기 때문에 최경창의 문학적 위상도 규명될 수 있다고 본다. 작품세계는 주제에 따라 연모에 정한, 선경의 동경, 현실에 대한 비판으로 분류해 살펴보았다.
      먼저 최경창의 작품 속에는 연정(戀情)을 대상으로 한 시가 상당히 있는데 이와같은 작품을 창작하게 된 동기는 아마 풍부하고 섬세한 여성의 감정에 자신의 낭만적 감정을 표출하는데 부합되어 자연스럽게 시적 표현의 대상이 되었다고 본다, 그리고 선계(仙界)를 동경하게 된 것은 당시 문단의 하나인 유선시(遊仙詩)를 모작(模作)하게 된 소단(騷壇)의 흐름과 관계가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되며, 현실의 좌절과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 초월적 선계를 동경하고 찬미하였다고 본다.
      최경창(崔慶昌)시의 풍격(風格)은 청신(淸新)한 풍격에 있다. 청(淸)은 대체로 맑고 깨끗할 뿐만 아니라 산뜻하며 순수한 자연의 산천경개, 나아가 일상세계를 초월한 선경(仙境)이나 선취(仙趣)를 느낄 수 있는 맑고 아름다운 정경을 묘사한 것과 관련된 시의 풍격(風格)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시에 쓰인 시어(詩語)는 일반적으로 2자의 용어법, 이미지 어휘의 사용, 악부시(樂府詩)계열 작품의 일상어 활용으로 사용한 것이 특징이라고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ld Meritorious Faction had bureaucratic literary view because of factional politics due to elite society splendid poetic techniques and difficult and distracted modification and new Neo-Confucian literati were opposed to techniques and sought the spiritual world of clear and clean literature of reclusive scholars (處士的) in the period that Gojuk (孤竹) Choi, Gyeongchang (崔慶昌,1539∼1583) lived. However, they tried to express ethical and free nature in the period.
      This thesis tried to examine the situations of the time, people's view of life, and values through Choi, Gyeongchang's works and seek his style (風格) shown in them. Because styles are the aspect that writers' personality or ideas are complexly embodied in their works, it is thought to investigate and reveal writers' literary status The works were examined by classifying them into a limited time of love, longing for fairylands, and criticism on reality according to subjects.
      First, there are many poems targeting love (戀情) in the works by Choi, Gyeongchang. The motive for creating the works like this is thought that women's delicate and rich feelings are naturally target of poetic expression because they accord with expression of his own romantic feelings. And the point that he longed for the heavenly world (仙界) is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flow of Sodan (騷壇) that got to imitate (模作) poems of wandering immortals (遊仙詩), one of literary circles of the time. And it is thought that he longed for and praised the transcendental realm as a way to solve frustrations and conflicts of reality.
      Choi, Gyeongchang (崔慶昌)'s poems have a clean and new (淸新) style (風格). Cleanness (淸) is generally fresh as well as clear and clean and is the style (風格) of poems related to descriptions of scenery or landscape or pure nature and furthermore, clear and beautiful scenes to feel the realm of immortals (仙境) or Seonchwi (仙趣) that transcended the everyday world. And poetic diction (詩語) used in the poems is thought to be characterized by the general use of pleonasm of two letters and image vocabularies and the utilization of everyday words in the works of music bureau ballad (樂府詩) series.
      번역하기

      The Old Meritorious Faction had bureaucratic literary view because of factional politics due to elite society splendid poetic techniques and difficult and distracted modification and new Neo-Confucian literati were opposed to techniques and sought the...

      The Old Meritorious Faction had bureaucratic literary view because of factional politics due to elite society splendid poetic techniques and difficult and distracted modification and new Neo-Confucian literati were opposed to techniques and sought the spiritual world of clear and clean literature of reclusive scholars (處士的) in the period that Gojuk (孤竹) Choi, Gyeongchang (崔慶昌,1539∼1583) lived. However, they tried to express ethical and free nature in the period.
      This thesis tried to examine the situations of the time, people's view of life, and values through Choi, Gyeongchang's works and seek his style (風格) shown in them. Because styles are the aspect that writers' personality or ideas are complexly embodied in their works, it is thought to investigate and reveal writers' literary status The works were examined by classifying them into a limited time of love, longing for fairylands, and criticism on reality according to subjects.
      First, there are many poems targeting love (戀情) in the works by Choi, Gyeongchang. The motive for creating the works like this is thought that women's delicate and rich feelings are naturally target of poetic expression because they accord with expression of his own romantic feelings. And the point that he longed for the heavenly world (仙界) is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flow of Sodan (騷壇) that got to imitate (模作) poems of wandering immortals (遊仙詩), one of literary circles of the time. And it is thought that he longed for and praised the transcendental realm as a way to solve frustrations and conflicts of reality.
      Choi, Gyeongchang (崔慶昌)'s poems have a clean and new (淸新) style (風格). Cleanness (淸) is generally fresh as well as clear and clean and is the style (風格) of poems related to descriptions of scenery or landscape or pure nature and furthermore, clear and beautiful scenes to feel the realm of immortals (仙境) or Seonchwi (仙趣) that transcended the everyday world. And poetic diction (詩語) used in the poems is thought to be characterized by the general use of pleonasm of two letters and image vocabularies and the utilization of everyday words in the works of music bureau ballad (樂府詩) ser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묵, "한국한시의 전통과 문예미" 태학사 2002

      2 안병학, "최경창의 시세계와 삶의 안정성에 대한 회의"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 : 91-124, 1986

      3 이수광, "지봉유설" 아세아문화사영인 1973

      4 김종서, "옥봉 백광훈 시의 풍격" 한국한시학회 3 : 189-229, 1995

      5 허 균, "성소부부고" 민족문화추진회 1985

      6 조영임, "삼당시인의 시세계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2004

      7 허 균, "국조시산" 아세아문화사 1980

      8 최경창, "고죽유고" 민족문화추진회 1990

      9 최창주, "고죽 최경창의 시문학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0

      10 김명주, "고죽 시의 품격 연구" 연세대학교 1999

      1 이종묵, "한국한시의 전통과 문예미" 태학사 2002

      2 안병학, "최경창의 시세계와 삶의 안정성에 대한 회의"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 : 91-124, 1986

      3 이수광, "지봉유설" 아세아문화사영인 1973

      4 김종서, "옥봉 백광훈 시의 풍격" 한국한시학회 3 : 189-229, 1995

      5 허 균, "성소부부고" 민족문화추진회 1985

      6 조영임, "삼당시인의 시세계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2004

      7 허 균, "국조시산" 아세아문화사 1980

      8 최경창, "고죽유고" 민족문화추진회 1990

      9 최창주, "고죽 최경창의 시문학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0

      10 김명주, "고죽 시의 품격 연구" 연세대학교 1999

      11 鄭淑仁, "詩話集에 나타난 '淸新' 風格"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9 (29): 162-177, 2001

      12 金鍊秀, "漢詩 風格 연구 : 허균의 ‘국조시산’ 비와 평에 근거하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7

      13 변종현, "崔慶昌 漢詩의 風格 硏究" 동양학연구원 (31) : 85-102, 2001

      14 金鍾西, "孤竹 崔慶昌 詩의 風格" 한국한시학회 (12) : 227-266, 2004

      15 金順子, "孤竹 崔慶昌 硏究"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1986

      16 정 민, "16,7세기 학당풍의 성격과 그 풍정" 19 : 189-222,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9-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화학회 -> 한국시가문화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The Society of Korean Poetry and Culture
      KCI등재
      2015-09-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화연구 -> 한국시가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Studies in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The Studies in Korean Poetry and Cultur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7-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학회 -> 한국고시가문화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KCI등재
      2014-07-0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고시가연구 -> 한국고시가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Society Korean Classic Poetry -> The Studies in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5 1.123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