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청구영언』(김천택본)에 수록된 ‘만횡청류’ 작품들의 분화 양상을 살펴보고 그것을 통해 찾을 수 있는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청김』의 ‘만횡청류’ 작품들은 전승되면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59018
2021
-
『청구영언』 ; 만횡청류 ; 분화 ; 애호 ; 유동성 ; Cheongguyeongeon ; Manhoingcheongryu ; Differentiation ; Affection ; Liquidity
KCI등재
학술저널
111-131(2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청구영언』(김천택본)에 수록된 ‘만횡청류’ 작품들의 분화 양상을 살펴보고 그것을 통해 찾을 수 있는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청김』의 ‘만횡청류’ 작품들은 전승되면서 ...
본고는 『청구영언』(김천택본)에 수록된 ‘만횡청류’ 작품들의 분화 양상을 살펴보고 그것을 통해 찾을 수 있는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청김』의 ‘만횡청류’ 작품들은 전승되면서 여러 가지 모습으로 변화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변화의 모습을 본고에서는 ‘만횡청류’의 분화라고 칭하였으며, ‘만횡청류’ 작품들의 분화의 모습을 ① 가집 내 같은 악곡에 수록되지만 두 곡씩 수록되는 경우 ② 가집 내에 같은 작품이 수록되지만 다른 악곡으로 수록되는 경우 ③ 같은 악곡으로 전해지기는 하나 다른 군집으로 나눠질 정도로 내용이 분화한 경우로 나누어 보았다.
그 결과 ‘만횡청류’의 분화는 우선 ①, ② 분화 양상의 경우, 19세기까지 전해지던 ‘만횡청류’가 창자의 성별이 다르고, 불리는 악곡명이 다르다 할지라도 연행 현장 속에서 일부 만횡청류 작품들에 대한 애호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먼저 인용한 작품처럼 최초 전해지던 ‘만횡청류’ 작품을 연행연장의 애호에 맞게 내용을 수정하여 연행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③ 분화 양상도 앞의 두 분화 양상과는 다소 다른 모습을 보이긴 하나 결국 이 경우에도 앞서 언급했던 향유자들의 애호나 취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분화 양상은 ‘만횡청류’의 내용 분화와 악곡 분화가 이뤄진 후 19세기에 이르러 그것들이 통일된 모습을 찾을 수 있지만 20세기 즈음에 이르러 연행 현장 속에서 불리는 노래의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기존에 통일성을 보였던 노래들도, 악곡이 됐든 장르가 됐듯, 그것들의 변화가 있었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연행 현장의 변화도 충분히 그것에 영향을 줬다는 것이나 향유층의 애호·취향의 변화 역시도 예상해볼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examined the aspect of differentiation and significance of ‘Manhoengcheongryu’ works contained in 『Cheongguyeongeon』(by Kim Cheon-Taek). The ‘Manhoengcheongryu’ works of 『Cheongguyeongeon』(by Kim Cheon-Taek) were changed in...
This thesis examined the aspect of differentiation and significance of ‘Manhoengcheongryu’ works contained in 『Cheongguyeongeon』(by Kim Cheon-Taek). The ‘Manhoengcheongryu’ works of 『Cheongguyeongeon』(by Kim Cheon-Taek) were changed into many different looks in the process of transmission. In this thesis, this changed look was called the differentiation of ‘Manhoengcheongryu’, and the differentiated looks of ‘Manhoengcheongryu’ works were divided into ① a case in which two songs were contained in the same musical piece within the collection of poems, ② a case in which the same work was contained as a different musical piece within the collection of poems, and ③ a case in which it was handed down as the same musical piece, but the contents were differentiated a lot enough to be classified into another group.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tiation of ‘Manhoengcheongryu’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case of the differentiation aspect shown in ① & ②, even when the ‘Manhoengcheongryu’ transmitted till the 19th century showed the different sex of singers, and the name of musical piece was different, it was possible to see the preference for some Manhoengchengryu works in the site of performance. Just as the work quoted earlier, the ‘Manhoengcheongryu’ work initially transmitted was performed after modifying its contents suitable for the preference in the site of performance. Even though the differentiation aspect shown in ③ was a bit different from those two above differentiation aspects, eventually, this case wa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preference or taste of the enjoyers mentioned earlier.
Those differentiation aspects showed the unified look in the 19th century after the contents and musical piece of ‘Manhoengcheongryu’ were differentiated. When the kinds of songs sung in the site of performance were diversified in the 20th century, there were some changes in them just as the existing songs with the unity became a musical piece or a genre. Also, the changes in the site of performance and the changes in the preference/taste of enjoyers probably affected them.
참고문헌 (Reference)
1 "청구영언(김천택본)"
2 김용찬, "조선 후기 시조문학의 지평" 월인 2007
3 이상원, "만횡청류의 운명-『청구영언』 수록 전과 후" 한국시가학회 43 : 117-150, 2017
4 신경숙, "고시조 문헌 해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5 신경숙, "『가곡원류』 여창사설 확대의 의미" 국립국악원 14 : 2002
6 송안나, "18세기 중‧후반 가집의 특징과 변모 양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2017
1 "청구영언(김천택본)"
2 김용찬, "조선 후기 시조문학의 지평" 월인 2007
3 이상원, "만횡청류의 운명-『청구영언』 수록 전과 후" 한국시가학회 43 : 117-150, 2017
4 신경숙, "고시조 문헌 해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5 신경숙, "『가곡원류』 여창사설 확대의 의미" 국립국악원 14 : 2002
6 송안나, "18세기 중‧후반 가집의 특징과 변모 양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2017
소고당 고단 <88올림픽찬가(讚歌)>의 내용과 작가의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9-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화학회 -> 한국시가문화학회영문명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The Society of Korean Poetry and Culture | ![]() |
2015-09-2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화연구 -> 한국시가문화연구외국어명 : The Studies in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The Studies in Korean Poetry and Culture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4-07-0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학회 -> 한국고시가문화학회영문명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 |
2014-07-0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고시가연구 -> 한국고시가문화연구외국어명 : The Society Korean Classic Poetry -> The Studies in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4 | 0.64 | 0.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8 | 0.45 | 1.123 | 0.25 |
Differentiation: Adult Support
Teachers TV Teachers TVDifferentiation: Differentiating the Starter
Teachers TV Teachers TVDifferentiation: Differentiating Tasks
Teachers TV Teachers TVDifferentiation: Engaging All Learners
Teachers TV Teachers TVDifferentiation in Action: Secondary
Teachers TV Teacher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