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고당(紹古堂) 고단(高端, 1922~2009)은 제24회 서울 올림픽 경기대회(Games of the XXIV Olympiad Seoul 1988, 이하 88올림픽)를 소재로 하여, 1988년 가을에 172행 분량의 가사 <88올림픽찬가(讚歌)>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59019
2021
-
KCI등재
학술저널
133-171(3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소고당(紹古堂) 고단(高端, 1922~2009)은 제24회 서울 올림픽 경기대회(Games of the XXIV Olympiad Seoul 1988, 이하 88올림픽)를 소재로 하여, 1988년 가을에 172행 분량의 가사 <88올림픽찬가(讚歌)>를 ...
소고당(紹古堂) 고단(高端, 1922~2009)은 제24회 서울 올림픽 경기대회(Games of the XXIV Olympiad Seoul 1988, 이하 88올림픽)를 소재로 하여, 1988년 가을에 172행 분량의 가사 <88올림픽찬가(讚歌)>를 지었다. 이에 <88올림픽찬가>는 시기상 현대가사, 작가상 여성가사, 내용상 행사가사, 분량상 장편가사에 해당한다. <88올림픽찬가>의 내용은 88올림픽의 기본 이념, 참가 규모, 서울 유치, 준비 과정, 개회식, 경기 결과, 에피소드, 이슈, 폐회식, 성과 및 제25회 바르셀로나 올림픽 대비에 대한 의지로 파악된다. <88올림픽찬가>의 작가의식은 사실 지향적 기록의식, 국제화 의식 및 세계시민 의식, 민족의식 및 남북통일에의 염원, 국가주의 세계관 등 네 가지로 대별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godang Godan(高端, 1922~2009) composed on The 1988 Olympic Games Anthem, Games of the XXIV Olympiad Seoul 1988(The 1988 Olympic Games) in the fall of 1988, 172 lines of Gasa < The 1988 Olympic Games Anthem >. Accordingly, it is a Modern Ga...
Sogodang Godan(高端, 1922~2009) composed on The 1988 Olympic Games Anthem, Games of the XXIV Olympiad Seoul 1988(The 1988 Olympic Games) in the fall of 1988, 172 lines of Gasa < The 1988 Olympic Games Anthem >. Accordingly, it is a Modern Gasa in terms of time, Women’s Gasa in terms of author, Event Gasa in terms of content, and long-length Gasa in terms of volume. It has represented the basic ideology of the 1988 Olympic Games, the scale of participation in the Olympic Games, Seoul’s bid to host the 1988 Olympic Games, preparation process, opening ceremony, first half game results, episodes, issues, closing ceremony, achievements of the 1988 Olympic Games and preparation for the 25th Barcelona Olympics understood as a will. The author's consciousness of it can be divided into four main categories: fact-oriented recording consciousness,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 citizenship, national consciousness and aspiration for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pride in the success of the 1988 Olympic Game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화, "현대 규방가사의 문학적 특징과 시사적 의미" 한국고전문학회 (32) : 139-184, 2007
2 전재강, "태고 보우의 산문과 가음명시(歌吟銘詩)에 나타난 작가 의식의 성격" 국어국문학회 (178) : 103-135, 2017
3 "중앙일보"
4 "제5장:문화·외교, 한국외교 60년:1948~2008" https://www.mofa.go.kr/ 2009
5 "제24회 서울올림픽대회 백서 : SEOUL 1988" 서울도서관
6 정인숙, "소고당가사에 나타난 ‘평화’ ‘고현’ ‘산외’의 장소성과 그 의미" 국제어문학회 (81) : 83-111, 2019
7 "서울올림픽자료실"
8 "서울올림픽의 意義와 成果, 1989.3.,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국제스포츠대회"
9 이상우, "서울올림픽의 意義와 成果" 한국개발연구소 1989
10 정인숙, "근현대 여성 가사에 나타난 역사서술의 특징과그 의미 -은촌 조애영, 소고당 고단, 소정 이휘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회 (54) : 285-327, 2018
1 김정화, "현대 규방가사의 문학적 특징과 시사적 의미" 한국고전문학회 (32) : 139-184, 2007
2 전재강, "태고 보우의 산문과 가음명시(歌吟銘詩)에 나타난 작가 의식의 성격" 국어국문학회 (178) : 103-135, 2017
3 "중앙일보"
4 "제5장:문화·외교, 한국외교 60년:1948~2008" https://www.mofa.go.kr/ 2009
5 "제24회 서울올림픽대회 백서 : SEOUL 1988" 서울도서관
6 정인숙, "소고당가사에 나타난 ‘평화’ ‘고현’ ‘산외’의 장소성과 그 의미" 국제어문학회 (81) : 83-111, 2019
7 "서울올림픽자료실"
8 "서울올림픽의 意義와 成果, 1989.3.,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국제스포츠대회"
9 이상우, "서울올림픽의 意義와 成果" 한국개발연구소 1989
10 정인숙, "근현대 여성 가사에 나타난 역사서술의 특징과그 의미 -은촌 조애영, 소고당 고단, 소정 이휘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회 (54) : 285-327, 2018
11 성낙희, "紹古堂歌辭論" 숙명여자대학교 지역학연구소 3 : 1999
12 박요순, "紹古堂 高端과 그의 歌辭硏究" 한남대학교 한남어문학회 30 : 2006
13 허미자, "現代 女性歌辭에 나타난 傳統意識-趙愛泳·高端-" 돈암어문학회 8 : 1996
14 고단, "平化四時詞-소고당 고단 규방가사 선집" 시와 사람 93-101, 2013
15 김정화, "二隱村, 紹古堂, 素亭 歌辭의 主題 具現 樣相과 形態論的 硏究" 동아인문학회 (12) : 277-326, 2007
16 "’86아시아·’88올림픽 大會 總合計劃, 1982.8.,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국제스포츠대회"
17 "The 1988 Seoul Olympic Games" 국제올림픽위원회
18 "MBC뉴스"
19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 김기영, "<제주도(濟州道) 기행(紀行)>과 <제주여행가>의 작품 실상과 현대적 의미" 어문연구학회 102 : 59-84, 2019
21 고단, "<88올림픽찬가(讚歌)> : 고단, 『紹古堂歌辭集』上, 「紹古堂閨房歌辭集」 卷之上" 한국가사문학관 한국가사문학DB
22 "88올림픽 서울誘致 結果 報告, 1981.10.,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국제스포츠대회"
23 "88 올림픽과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서울도서관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9-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화학회 -> 한국시가문화학회영문명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The Society of Korean Poetry and Culture | ![]() |
2015-09-2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화연구 -> 한국시가문화연구외국어명 : The Studies in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The Studies in Korean Poetry and Culture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4-07-0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학회 -> 한국고시가문화학회영문명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 |
2014-07-0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고시가연구 -> 한국고시가문화연구외국어명 : The Society Korean Classic Poetry -> The Studies in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4 | 0.64 | 0.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8 | 0.45 | 1.123 | 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