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민인문강좌는 “빛과 환희의 인문세상” 이라는 대주제 아래 인문학의 거의 모든 영역, 즉 문학 · 역사 · 철학 및 언론학 분야의 유익하고도 흥미로운 담론들이 제공될 것이다. 특�...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83283
2013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번 시민인문강좌는 “빛과 환희의 인문세상” 이라는 대주제 아래 인문학의 거의 모든 영역, 즉 문학 · 역사 · 철학 및 언론학 분야의 유익하고도 흥미로운 담론들이 제공될 것이다. 특�...
이번 시민인문강좌는 “빛과 환희의 인문세상” 이라는 대주제 아래 인문학의 거의 모든 영역, 즉 문학 · 역사 · 철학 및 언론학 분야의 유익하고도 흥미로운 담론들이 제공될 것이다. 특히 수강자들이 인문학적 담론을 바탕으로 자아의 정체성과 자존감을 확립하고, 나아가 이를 통해 진정한 행복감을 맛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주제들이 중점적으로 마련되었다. 강사진 구성에 있어서도 특정 지역 내지 지역 내 교육기관에 편중되지 않고, 이번 인문강좌의 대주제를 잘 소화할 수 있는 인문학자와 사회과학자들을 중심으로 전국적인 차원에서 섭외가 이루어졌다. 특히 이번 시민인문강좌에서는 저소득층이나 다문화 가정의 구성원들에게 위로와 희망을 제공하고, 나아가 수강생들이 스스로 ‘실존적 삶에 대한 성찰’로 나아갈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준비하였다. 이상과 같은 강연취지에 따라 준비된 ‘문·사·철’ 강좌(총 20강좌)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꿈이 있어요(I have a dream)’
2. ‘진화와 언어적 인간’
3. ‘괴테의 <서동시집>에 나타난 동·서 교류의 모티프’
4. ‘관용의 역사 - 우리의 '관용'에서 그들의 '권리'로’
5. ‘성(性)과 사랑의 철학적 이해’
6. ‘키에르케고르와 실존론적 인간교육’
7. ‘쇼펜하우어와 니체: 삶을 대하는 두 가지 태도’
8. ‘로마 제국과 그리스문화(Hellenism)’
9. ‘대전지역 독립운동의 효시, 유성의병’
10. ‘문학적 상상력과 환희의 순간들’
11. ‘예술과 아름다움’
12. ‘TV 드라마의 진화와 즐거움’
13. ‘철학(함)이란 무엇인가?’
14. ‘슬픔과 고통의 치유’
15. ‘시인과 여성과 생태’
16. ‘중국 소수민족 문화산책’
17. ‘카뮈의 『페스트』와 운명의 극복’
18. ‘정의로운 전쟁(bellum justum)은 가능한가?’
19. ‘플라톤의 <국가>를 통해 본 정의와 행복의 상관성’
20. ‘사마천의 <사기>를 통해 본 역사의 새로운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