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Burke와 Litwin(1992)의 조직개발모형을 토대로 제조업체에 종사하는 사무직과 생산직 단위조직(부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직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30061064
2002
Korean
325.000
학술저널
41-59(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Burke와 Litwin(1992)의 조직개발모형을 토대로 제조업체에 종사하는 사무직과 생산직 단위조직(부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직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
본 연구는 Burke와 Litwin(1992)의 조직개발모형을 토대로 제조업체에 종사하는 사무직과 생산직 단위조직(부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직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곳의 제조업체에 종사하는 사무직직원 92명과 생산직직원 249명으로부터 자료를 얻어 분석하였다. 각 변인의 평균을 살펴본 결과 사무직과 생산직에 상관없이 전체적으로 모든 변인의 값이 낮게 나타났으며, 변혁적 변인의 평균이 거래적 변인의 평균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상관분석결과 직종에 상관없이 모든 변인은 부서 성과와 유의하게 관련되었다.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사무직에서는 동기, 부서풍토, 개인의 욕구충족, 과업적합성, 조직구조 및 경영진 리더십이 부서 성과를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생산직에서는 동기, 과업적 합성, 환경변화 대처, 부서풍토, 그리고 관리자 리더십이 부서 성과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의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o influence group performance of both white collar and blue collar workers in manufacturing companies based on "Burke and Litwin(1992)'s organizational development model. Data were obtaine4d from 92...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o influence group performance of both white collar and blue collar workers in manufacturing companies based on "Burke and Litwin(1992)'s organizational development model. Data were obtaine4d from 92 white collar workers and 249 blue collar workers in two manufacturing companies.
Generally, means of all variables were low. Especially transformational variables had relatively lower means than transactional variables. All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group performance. Results of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in white collar workers, motivation, group climate, individual needs, job/skills match, organization structure, and leadership had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predict group performance. In blue collar workers, motivation, job/skills match, external environment, group climate, and manager leadership had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predict group performance.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A Curriculum Development For Information Security Manager Using DACUM
구매자-공급자간 관계적 특성이 협상전략의 활용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