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말기 성리학자 醒菴 李喆榮의 성리론 연구-{泗上講說}역주를 통한 인물성동이론의 통합론 연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의 성리학 논변은 논변의 과정 자체가 성리학 이론의 심화․발전과정이었던 만큼 주요 논변에 대한 학계의 연구는 심도 있고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고, 훌륭한 연구 성과들이 도출되...

      조선의 성리학 논변은 논변의 과정 자체가 성리학 이론의 심화․발전과정이었던 만큼 주요 논변에 대한 학계의 연구는 심도 있고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고, 훌륭한 연구 성과들이 도출되었다. 한편 500여년에 이르는 조선의 성리학사에서 그 발전의 원동력이 된 논변에 대한 정리와 통합에 대한 연구는 학문적으로 중요한 논제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다.
      조선 말기에 이르면 몇몇 학자에 의해 그간에 이루어진 성리학적 논변을 정리하고, 당시까지 계속되며 복잡한 양상을 띠어가던 호락논쟁을 수렴․통합하려는 시도가 나타난다.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이루어진 중요 논변을 정리한 학자가 宋來熙이고, 조선 말기까지 이어지던 호락논쟁에 대한 정리와 통합을 시도한 학자가 李喆榮이다. 18세기 초기부터 벌어진 호락논쟁은 수많은 학자들이 참여하여 200여 년간에 걸쳐 이어지면서 조선 성리학 논쟁의 극치를 이루었다. 그러나 논쟁이 오랜 기간 지속되면서 피로감이 쌓이고 부작용이 드러나게 되었다. 그리하여 도학자들 사이에서 그간의 분열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논변을 정리하고 통합하려는 시도가 생겨나게 되었는데, 본 연구의 대상인 이철영도 그러한 사람 중 하나이다.
      * 1차년도 연구요약 : 1차년도 연구는 {사상강설}과 <성암·간재 왕복 서신>에 대한 역주작업과, 원문입력, 표점, 해제, 색인 등의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1차년도 연구 수행 내용 및 결과
      1) {사상강설} 역주와 관련 연구내용
      * {사상강설} 원문 입력과 표점
      * {사상강설} 해제와 번역
      * {사상강설} 장(章)·문단 구분 및 장 제목 설정
      * {사상강설} 색인 작업
      2) <성암·간재 왕복 서신> 역주와 관련 연구내용
      * <성암·간재 왕복 서신> 원문 입력과 표점
      * <성암·간재 왕복 서신> 해제와 번역
      * <성암·간재 왕복 서신> 색인 작업

      * 2차년도 연구 요약 : 2차년도에는 1차년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철영의 성리론을 밝히고, 그가 제시한 호락논쟁의 통합론을 정리하고 그 사상적 의미를 찾아보았다. 이철영은 호학과 낙학 모두 율곡에 근본을 둔 것이고, 그들의 학문적 목적 역시 같은 방향이라고 보아 통합의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그는 호락논쟁의 중요 문제를 첫 번째, 미발시의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의 관계, 두 번째, 인성과 물성의 오상과의 관계, 즉 인성과 물성의 동이에 관한 문제라고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호학과 낙학의 주장을 분석하였는데, 이들의 차이점은 性을 帶氣로 보느냐 不帶氣로 보느냐에서 생겼다고 보았다. 즉 같은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그 용어를 사용하는 관점은 완전히 다르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관점의 차이를 인지하고 차이를 넘어서면 이들은 다른 말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니며 그렇기 때문에 양자간의 통합의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보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이철영은 同位異時論과 性三樣說이라는 독창적 학설을 제시하였다. 이는 호학과 낙학의 논리적 불합리성을 지양하고, 그들의 이론을 참고하여 나온 이철영의 독창적 학설이다.
      이철영의 학설은 호학과 낙학을 통합할 수 있는 학설로서 충분한 논리적 타당성을 지니고 있다. 이철영의 학문은 율곡을 철저히 따르고 있고, 홍직필, 전우, 기정진, 이항로 등의 학설을 비판할 때도 그 기준은 항상 율곡이다. 율곡의 학설을 바탕으로 하여 호학과 낙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 Summary of first year study 1. Conduct research information and results. 1) {泗上講說} translation and related research. * {泗上講說} input Kanji text . * {泗上講說} commentaries and translations. * {泗上講說} sensitive and...

      * Summary of first year study
      1. Conduct research information and results.
      1) {泗上講說} translation and related research.
      * {泗上講說} input Kanji text .
      * {泗上講說} commentaries and translations.
      * {泗上講說} sensitive and subject content and paragraphs Setting.
      * {泗上講說} index.

      2) <Letter of 醒菴 and 艮齋> translation and related research.
      * <Letter of 醒菴 and 艮齋> input Kanji text.
      * <Letter of 醒菴 and 艮齋> commentaries and translations.
      * <Letter of 醒菴 and 艮齋> index.

      2. Summary of second year study :This dissertation was based on the outcomes of the study of first year. Reached at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some scholars have tried to organize a debate in the meantime. Some scholars have integrated the debate. There are many paper about the Ho-Rak debate. A study on integration theory of Hohak and Rakhak is a very few. The research about Neo Confucianism of Lee, Chul-young(李喆榮) is will fill the required parts. From the early 18th century, many Hohak and Rakhak scholars made debate. Lee, Chul-young(李喆榮) found the theoretical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Ho-Rak. And he was trying to overcome their differences. He had thought there was not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Hohak and Rakhak. Just had thought it was a matter of opinion about 性. So he was created. ​​a new theory based on Rahak and Hohak. It is theory of Dong-Wi- EI- Si(同位異時論) and theory of Seong-sam-yang(性三樣說) respectively. This new theory will be incorporate of differences of Ho-hak(湖學) and Rak-hak(洛學). The theory of Lee, Chul-young(李喆榮) is thoroughly has followed the theory of Lee-Yi(李珥). As a result, his new theory showed potential to be integrated of Ho-hak(湖學) and Rak-hak(洛學).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