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복지법인 운영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047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복지법인이 설립․운영됨으로써 지역사회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산업연관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대구광역시 소재 사회복지법인 운영의 지역경제파급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총생산유발효과가 43,445억원, 총부가가치유발효과가 19,400억원, 총고용유발 효과가 37,411명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사회복지법인 및 산하 시설 · 기관에 대한 소비지향적인 인식을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복지법인 및 산하 시설 · 기관에서 제공하는 사회서비스와 연계한 고용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이를 위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별도의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복지법인 및 산하 시설 · 기관에서 창출되는 부가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확대시킬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넷째, 사회복지법인 및 산하 시설 · 기관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지역사회로 적절히 홍보함으로써 사회서비스 제공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책임성을 확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사회복지법인이 설립․운영됨으로써 지역사회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산업연관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대구광역시 소재 사회복지법인 운...

      본 연구는 사회복지법인이 설립․운영됨으로써 지역사회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산업연관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대구광역시 소재 사회복지법인 운영의 지역경제파급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총생산유발효과가 43,445억원, 총부가가치유발효과가 19,400억원, 총고용유발 효과가 37,411명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사회복지법인 및 산하 시설 · 기관에 대한 소비지향적인 인식을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복지법인 및 산하 시설 · 기관에서 제공하는 사회서비스와 연계한 고용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이를 위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별도의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복지법인 및 산하 시설 · 기관에서 창출되는 부가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확대시킬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넷째, 사회복지법인 및 산하 시설 · 기관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지역사회로 적절히 홍보함으로써 사회서비스 제공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책임성을 확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rasp the economic effects of the social welfare foundation by establishing and operating it. For this purpose, the effects of the social welfare law of Daegu Metropolitan City on the regional economy were analyzed using the input-output analysis model. As a result, the effects of GDP was 43,445 billion won, the total value-added effect was 1,940 billion won, and the total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was 37,411. Based on these results, the future direction of the social welfare corporation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hift the perception of consumer-oriented welfare toward welfare that contributes to the activation of the local economy. Second, efforts should be made to continuously expand employment linked to social welfare services,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jobs can be created from a long-term perspective, and to establish a separate support system. Third, the value-added created by the social welfare foundation should be newly recognized and sought to be expanded in various fields. Fourth, efforts should be made to secure the legitimacy of social service provision and ensure accountability by appropriately promoting the economic ripple effects of social welfare foundation to the local community.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rasp the economic effects of the social welfare foundation by establishing and operating it. For this purpose, the effects of the social welfare law of Daegu Metropolitan City on the regional economy were analyzed using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rasp the economic effects of the social welfare foundation by establishing and operating it. For this purpose, the effects of the social welfare law of Daegu Metropolitan City on the regional economy were analyzed using the input-output analysis model. As a result, the effects of GDP was 43,445 billion won, the total value-added effect was 1,940 billion won, and the total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was 37,411. Based on these results, the future direction of the social welfare corporation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hift the perception of consumer-oriented welfare toward welfare that contributes to the activation of the local economy. Second, efforts should be made to continuously expand employment linked to social welfare services,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jobs can be created from a long-term perspective, and to establish a separate support system. Third, the value-added created by the social welfare foundation should be newly recognized and sought to be expanded in various fields. Fourth, efforts should be made to secure the legitimacy of social service provision and ensure accountability by appropriately promoting the economic ripple effects of social welfare foundation to the local commun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방법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방법
      • 4. 결과분석
      • 5.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