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식량안보화: 글로벌-걸프국가 식량안보 넥서스 = Food Securitization: The Global-Gulf Food Security Nexu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691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식량 불안’(food insecurity)은 사회경제적 자원이 부족한 국가 뿐만 아니라 사우디아라비아나 UAE와 같은 중견국에서도 큰 안보 위협으로 간주되고있다. 특히 팬데믹과 우크라이나 사태를 경...

      ‘식량 불안’(food insecurity)은 사회경제적 자원이 부족한 국가 뿐만 아니라 사우디아라비아나 UAE와 같은 중견국에서도 큰 안보 위협으로 간주되고있다. 특히 팬데믹과 우크라이나 사태를 경험하며 많은 중견국들이 식량안보를 정책적 우선순위로 설정하고있다. 본 논문은 걸프국가들을 사례로 하여 식량 안보의 정치학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안보에 대해 구성주의적 접근방식을 취하는 코펜하겐학파의 안보화이론을 비판적으로 원용하고 글로벌 식량안보화 궤적을 재검토한다. 이후 글로벌 식량레짐과 식량불안에 대한 걸프 국가들의 대응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걸프국가들이 국제적으로 지배적인 식량레짐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행위자가 아닌 글로벌식량레짐 (재)구성 과정에 능동적이고 전략적으로 참여하는 주체임을 지적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od insecurity has been considered to be an emerging threat not only in countries that suffer the lack of social and economic resources, but also in so-called middle power countries. What makes the latter promote food security? How is their notion of...

      Food insecurity has been considered to be an emerging threat not only in countries that suffer the lack of social and economic resources, but also in so-called middle power countries. What makes the latter promote food security? How is their notion of food security (dis)connected to the global food regime that has evolved since the 1970s? This article explores the politics of food security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Gulf countries. In doing so, it deploys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security by critically engaging with the Copenhagen School's securitization theory. Analyzing Gulf countries' responses to global food security challenges, the paper shows how, rather than remain passive actors accepting the dominant food regime, they actively and strategically engaged with and intervened in the global food regime for their own domestic and regional interest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